반응형
본 통계보고서는 통계청의 2025년 1월 말 주민등록인구수와 행정안전부의 세대수 자료를 기준으로 충청남도 청양군의 인구피라미드와 인구수, 성, 연령별 인구수를 분석한 보고서입니다.
대한민국 각 시군구별 인구수를 기준으로 하며, 여성인구수를 기준으로 인구문제의 근본적인 이유를 찾고자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번 문서부터 각 시군구의 유소년, 고령인구와 생산연령의 부양비율을 산출하여 각 시군구의 생산연령대 인구의 삶의 무게를 살펴보는 시도를 포함하며, 매월 전국평균과 비교하도록 한다.
1. 충청남도 청양군 인구피라미드와 주요 특징
1) 충청남도 청양군 인구피라미드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33,041 | 34,216 | 67,257 | 103.6% |

2) 충청남도 청양군 주요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 충청남도 청양군의 경우 52세 이후 인구수 비율이 총인구수에서 65.8%
- 청양군의 총 고령화율은 40.9%이며, 이중 후기 고령인구인 75세 이상 인구가 20.5%로 전기 고령자보다 많음.

3) 충청남도 청양군 고령화율
- 청양군의 고령인구수는 12,100명으로 총인구수 대비 40.9%의 극단적으로 높은 고령화율 보임.
- 고령자들의 사망 및 기타 인구감소는 이 지역을 일반 "읍면동" 수준으로 격하시키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음.
고령화율 | 총인구 | 65세이상 | 고령비율 |
29,551 | 12,100 | 40.9% |
4) 충청남도 청양군 여성인구와 양육비율
- 여성인구에서 출산 및 양육을 실제로 할 수 있는 연령은 기준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 다만, 현실적으로 25세 미만과 60세 초과연령에서 가능성을 낮게 생각한다. (또한 남성 홀로 자녀를 키우는 조건도 배제)
- 오직 해당연령대 여성인구가 21세 이하 인구를 양육하고 있다고 가정한 양육비율이다. ( 가구 구성에서 여성이 핵심임. )
여성인구 | 25세~60세 | 21세이하 | 양육비율 |
4,611 | 3,269 | 70.9% |
- 통계적 가임기 여성인구(15세~49세)는 다소 비현실적이다.
- 다만 이는 다른 여타 통계와의 비교를 위한 수단으로써 표시한다. 매우 낮은 수준이다.
여성인구 | 총인구 | 가임기여성 | 여성인구비율 |
29,551 | 3,300 | 11.2% |
2. 충청남도 청양군 세대수와 부양비율
1) 충청남도 청양군 행정동별 총인구와 세대수
- 1인 세대가 매우 많으며, 가구 구성에서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가구가 적음.
- 결국 자녀를 낳고 양육할 수 있는 가구는 이미 한계이며, 더 이상 인구가 자연 증가할 수 없는 지역.
- 앞서 살펴봤던 여성 25세~60세 총 인구는 4611명이고, 21세 이하 인구는 3269명으로 최대치 양육비율임.(70.9%)
- 아이를 낳고 양육한다고 해도, 이 지역에서 교육 및 의료등을 기대하긴 어려움. ( 규모의 경제 불성립 )

행정구역 | 총인구수 | 세대수 | 세대당 인구 |
청양읍 | 10,041 | 5,537 | 1.81 |
운곡면 | 1,981 | 1,197 | 1.65 |
대치면 | 2,175 | 1,240 | 1.75 |
정산면 | 3,358 | 1,885 | 1.78 |
목면 | 1,434 | 803 | 1.79 |
청남면 | 1,739 | 986 | 1.76 |
장평면 | 2,189 | 1,213 | 1.8 |
남양면 | 2,561 | 1,486 | 1.72 |
화성면 | 2,015 | 1,161 | 1.74 |
비봉면 | 2,058 | 1,180 | 1.74 |
2) 유소년 부양비율, 고령인구 부양비율 및 총 부양비율
- 유소년(0세~14세)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낮으면 유소년이 적다는 것 )
- 고령인구(65세 이상)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높으면 고령인구가 많다는 것 )
- 합계부양(유소년+고령인구)은 생산연령인구가 짊어진 삶의 무게와도 같다.
전국 평균에 비하여 합계부양 비율은 3배 수준으로 부모를 부양하며 자녀를 양육한다면 경제적, 사회적으로 매우 고단한 삶을 살 것으로 보인다. ( 경제적으로 부유하다면 모르겠으나, 지역이 자체적 순환경제를 갖기 어렵다. )

반응형
3. 충청남도 청양군 성별, 연령별 인구수
1) 영유아(0세~6세) 인구
- 청양군 내에서 초등학교가 운영은 될지 의문스러운 수준이다. ( 향후엔 운영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54 | 275 | 529 | 108.3% |

2) 학령인구(7세~2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460 | 1,280 | 2,740 | 87.7% |

3) 생산연령 1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284 | 843 | 2,127 | 65.7% |

4) 생산연령 2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979 | 834 | 1,813 | 85.2% |

5) 생산연령 3단계 - 인구 (42세~5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675 | 1,225 | 2,900 | 73.1% |

6) 생산연령 4단계(은퇴연령) - 인구 (52세~64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4,033 | 3,309 | 7,342 | 82.0% |

7) 전기 고령인구 (65세~74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3,101 | 2,933 | 6,034 | 94.6% |

7) 후기 고령인구 (75세 이상)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323 | 3,743 | 6,066 | 161.1% |

반응형
'인구와 주택통계 > 충청도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북 보은군 인구변화 전년동월 분석과 연령 계층별 인구 변화 (0) | 2025.02.08 |
---|---|
충청북도 인구수와 시군별 인구 변화 분석(2024년11월말) (0) | 2024.12.05 |
충북 청주시 중심의 아파트 거래량과 시군구별 평균 가격대 (0) | 2024.12.02 |
충청북도 시군구별 총인구수와 세대수(2024년10월) (0) | 2024.12.02 |
충청남도 시군구별 총 인구수와 지역별 인구 분포도 (0) | 2024.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