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울시아파트와주택분석/서울시 인구와 주택 142

서초구 가구주 연령 및 세대원별 가구수-1인가구보다 3인 이상 가구 많음.

통계청 가구주의 성,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일반가구)-시군구 자료를 기준으로 서울시 서초구 가구주의 성,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일반가구)-시군구 자료를 기준으로 서울시 서초구의 2023년 가구주 연령별, 세대구성별 가구수 정보를 살펴보고, 주요한 세대구성별 가구수를 중심으로 해당지역의 인구적 특성과 주택의 수요 현황들을 유추해 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구수에 포함되는 이러한 연령대별, 세대특징별 가구들이 자가 거주인지, 전세, 월세와 같은 방식인지, 또한 주택유형이 아파트인지, 빌라인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추정가능한 정보는 인구마이크로데이터에 주택거래량과 함께 제공한다. 서울시 서초구 인구수와 세대수, 아파트 거래량 최신자료 (https://www.popin.kr) 서초구 ..

송파구 가구주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수-송파구 1인가구

통계청 가구주의 성,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일반가구)-시군구 자료를 기준으로 서울시 송파계청 가구주의 성,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일반가구)-시군구 자료를 기준으로 서울시 송파구의 2023년 가구주 연령별, 세대구성별 가구수 정보를 살펴보고, 주요한 세대구성별 가구수를 중심으로 해당지역의 인구적 특성과 주택의 수요 현황들을 유추해 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구수에 포함되는 이러한 연령대별, 세대특징별 가구들이 자가 거주인지, 전세, 월세와 같은 방식인지, 또한 주택유형이 아파트인지, 빌라인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추정가능한 정보는 인구마이크로데이터에 주택거래량과 함께 제공한다. 서울시 송파구 인구수와 세대수, 아파트 거래량 최신자료 (https://www.popin.kr) 송파구..

강남구 가구주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수-강남구 1인가구

통계청 가구주의 성,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일반가구)-시군구 자료를 기준으로 서울시 강남구의 2023년 가구주 연령별, 세대구성별 가구수 정보를 살펴보고, 주요한 세대구성별 가구수를 중심으로 해당지역의 인구적 특성과 주택의 수요 현황들을 유추해 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서울시 강남구 인구수와 세대수, 아파트 거래량 최신자료 (https://www.popin.kr) 강남구 부동산 거래량 마이크로데이터강남구의 아파트 매매거래, 전세거래, 월세거래 현황과 선호되는 거래유형 의 아파트 거래유형(매매,전세,월세)의 월별 현황 시각화www.popin.kr 1. 강남구-가구주 연령대별 가구수강남구의 총 일반가구수는 2023년 기준 218,895가구.전체 연령대에서 가장 많은 가구수를 보이는 연령은 5..

강남구 대치동 아파트 전용84㎡ 매매, 전세, 월세 거래가격대

본 자료는 국토부실거래가정보 2025년 5월 1일 자료를 기준으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1. 강남구 대치동 전용84 아파트 실거래 가격대대치동에서 가장 가격이 비싼 아파트는 래미안대치팰리스대치동에서 가장 거래량이 많은 아파트단지는 은마아파트(전용76타입)대치동에서 실거래된 아파트들의 가격대는 25억~35억원 사이에 가격대가 많음. 단지명매매가(최고)매매가(평균)매매가(최저)개포우성1343,000319,000302,000개포우성2387,000331,667287,000대치SKVIEW370,000328,750305,000대치르엘350,000323,600275,000대치삼성290,000248,429221,000대치아이파크360,000315,367268,000대치우성아파트1동~7동330,000281,400240,0..

서울시 아파트거래량-아파트 가격상승과 하락 거래율-3

국토부실거래가 2025년 5월 1일 자료기준 최근 4개월 아파트 실거래가격의 전월과 이전 실거래 가격의 상승과 하락 거래율 기준 향후 서울시 아파트 가격방향을 예측한다. 서울시 아파트 동별 평균상승가격, 평균하락가격 정보를 기재하고, 상승거래의 동별 상승거래평균과 하락거래의 하락평균가격을 제시한다. 서울시 전체 평균과 구별 평균치가 합산되며 평균가격이 의미 없기 때문에 세부동별로 평균가격과 그 가격의 상승, 하락 가격을 살펴본다. 언론에서 서울시 아파트 가격이 들썩인다고 떠드는 것은 바로 오르는 가격의 아파트만 보도하기 때문이다. 기자로썬 진실의 취사선택으로 진실성을 확보하지만, 서울시에서도 하락거래량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점을 양지해야 한다. 서울시 실거래 아파트 타입 : 1504개 ( 실거래 가..

서울시 아파트거래량-아파트 가격상승과 하락 거래율-2

국토부실거래가 2025년 5월 1일 자료기준 최근 4개월 아파트 실거래가격의 전월과 이전 실거래 가격의 상승과 하락 거래율 기준 향후 서울시 아파트 가격방향을 예측한다. 서울시 아파트 동별 평균상승가격, 평균하락가격 정보 서울시 실거래 아파트 타입 : 1504개 ( 실거래 가격 상승거래량이 48% 많음. )서울시에서 행정동(법정동), 아파트단지, 전용면적을 묶어서 1개의 타입을 만들고, 2024년 12월 ~ 2025년 3월까지의 실거래 타입들과 2025년 4월의 실거래가격을 비교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다. 2025년 4월 실거래가격은 2024년 12월보다 실거래가격 상승타입이 적었다. ( 2024년 12월이 더 비쌌다는 의미다. )2024년 12월 이후 실거래가격 하락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다. ( 총 거..

서울시 아파트거래량-아파트 가격상승과 하락 거래율-1

국토부실거래가 2025년 5월 1일 자료기준 최근 4개월 아파트 실거래가격의 전월과 이전 실거래 가격의 상승과 하락 거래율 기준 향후 서울시 아파트 가격방향을 예측한다. 또한 서울시 구와 동별 평균 실거래가격을 제시한다. 서울시 실거래 아파트 타입 : 1504개 ( 실거래 가격 상승거래량이 48% 많음. )서울시에서 행정동(법정동), 아파트단지, 전용면적을 묶어서 1개의 타입을 만들고, 2024년 12월 ~ 2025년 3월까지의 실거래 타입들과 2025년 4월의 실거래가격을 비교한 데이터를 기준으로 한다. 2025년 4월 실거래가격은 2024년 12월보다 실거래가격 상승타입이 적었다. ( 2024년 12월이 더 비쌌다는 의미다. )2024년 12월 이후 실거래가격 하락 거래량이 증가하고 있다. ( 총 거..

서울시 아파트 가격 변동분석-단기전망 30% vs 70%비율로 가격하락

국토교통부의 부동산실거래가격 정보의 2025년 4월 25일 자 자료를 기준으로 서울시에서 거래량이 가장 많은 동, 아파트단지, 전용면적을 종합하여 최상위 50% 이상의 타입의 아파트 거래가격을 전월, 전전월과 비교하여 추후 가격변화를 살펴본다. 역시나 경제신문사에서 말하는 서울시 아파트에서 가격상승이 일어나고 있다면 그것은 10개 타입 중 3개 타입에 불과하다. 나머지 7개 타입의 아파트들은 전월, 전전월보다 가격이 하락한 거래를 보이고 있다. ( 4월 25일까지 4월 데이터를 기준으로 3월, 2월과 비교한 것이다. ) 서울시에서 실거래된 상위 50%의 동네, 아파트단지, 전용면적별 타입 개수상 전월인 2025년 3월을 기준으로 서울시 아파트 가격은 3 : 7 비율로 하락하고 있다. 물론 3의 상승이 전..

강북구 미아동 전세 거래량 가장 많은 에스케이북한산시티 전용84

강북구 미아동에서 전세 거래량 탑티어 에스케이북한산시티 전용 84 타입. 매매 거래량과 마찬가지로 전세 실거주 수요도 높은 것으로 보아, 강북구 미아동에서 가장 인기 있는 아파트 단지인 것으로 보인다. 매매거래에서 전용 59 타입이 1위였던 것과 달리 전세 실거주 수요는 전용 84 타입이 1위로 나타났다. 전용 84 타입의 전세 거래량은 10년간 1278건, 전용 59 타입의 전세 거래량은 10년간 1189건이었다.  에스케이북한산시티 거래량 순위 1위, 2위매매 거래량확실한 것은 아무리 전세 선호도가 높은 아파트 단지라도, 전용 59 타입의 가격 상승은 제한적인 것을 볼 수 있다.가격에 맞춰서 매매하는 것과 달리 대체할 아파트들이 있다면 궂이 전용 59 타입의 작은 아파트를 "선호" 하지 않는다는 의미..

강북구 미아동에서 가장 선호하는 아파트 : 에스케이북한산시티

본 자료는 국토부실거래가자료를 기준으로 2014년 1월 ~ 2025년 4월 6일까지의 데이터를 집계하여 10년간 가장 거래량이 많은 아파트 단지와 평형 2개를 소개하는 자료입니다. 거래량이 많다는 것은 가장 선호된다는 것이며, 강북구 미아동에서 가장 선호되는 아파트는 에스케이북한산시티 전용 59 타입이 누적 거래량 1160건으로 가장 많은 거래량을 보였다. 두 번째로 선호되는 아파트는 에스케이북한산시티 전용 84 타입으로 10년 누적거래량은 1101건이었다. 미아동에서 가장 선호하는 아파트단지 : 에스케이북한산시티1) 가장 거래량이 많은 전용59타입강북구 미아동에서 거래량 기준 가장 선호되는 아파트는 에스케이북한산시티 전용 59 타입이다. 2014년 이후 총거래량은 1160건으로 미아동 타 아파트들에 비..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 누적 거래량 1위 삼성동힐스테이트1단지 전용84

국토부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2014년~2025년 4월 6일까지의 매매 거래량 합계를 기준으로 평가. 서울시 강남구 삼성동에서 10년이 넘는 기간 동안 거래된 아파트와 전용면적에서 가장 거래량이 많은 아파트는 삼성동힐스테이트 1단지, 전용 84 타입으로 2014년부터 누적된 매매 거래량은 총 248건, 두 번째로 많은 거래량을 나타낸 단지는 삼성동 현대힐스테이트 2단지 전용 84 타입으로 239건 거래되었다.  서울시 강남구 아파트시세와 강남구 인구(주요 연령대 인구와 총인구)현황 부동산 마이크로데이터2025년4월 0 93,141.0 0.0 N/Awww.popin.kr  강남구 삼성동 거래량 탑티어 : 삼성동 힐스테이트 1단지 전용 84상당히 많은 기간 동안 거래량이 1건 혹은 거래 없는 기간이 다수 있었..

송파구 방이동 코오롱아파트 전용84 금융채 수익률과 시세

최근 한국은행이 경기침체 가능성에 따라서 기준금리 인하를 통하여 부동산 경기를 부양하고 있는 것을 강하게 의심한다. 물론 기준금리 인하가 부동산 부양만을 위한 수단은 아닐 것이나, 서울시의 토허제 해제와 더불어 서울시의 부동산 부양에 일조한 것이 사실인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경기 방어보다는 서울시 부동산 가격 상승의 부작용만 발생시킨 현 상황에서 서울, 수도권의 대표적인 지역의 대표적 아파트들에 대한 금리에 따른 가격변화를 살펴본다. - 이번엔 송파구 거여동 e 편한 세상 송파파크센트럴이다.  송파구 인구수와 총 인구, 연령별 인구수(성별 인구수)  송파구 방이동 코오롱아파트 전용 84㎡ 금융채 수익률과 매매시세 1) 은행채 금리(금융채 5년, AAA)와 코오롱아파트 매매가격금융채(AAA, 5년) 수..

송파구 문정동 올림픽훼밀리타운 전용84㎡ 금융채와 아파트가격

최근 한국은행이 경기침체 가능성에 따라서 기준금리 인하를 통하여 부동산 경기를 부양하고 있는 것을 강하게 의심한다. 물론 기준금리 인하가 부동산 부양만을 위한 수단은 아닐 것이나, 서울시의 토허제 해제와 더불어 서울시의 부동산 부양에 일조한 것이 사실인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경기 방어보다는 서울시 부동산 가격 상승의 부작용만 발생시킨 현 상황에서 서울, 수도권의 대표적인 지역의 대표적 아파트들에 대한 금리에 따른 가격변화를 살펴본다. - 이번엔 송파구 거여동 e 편한 세상 송파파크센트럴이다. 기준금리 인하로 시중 유동성 증가에 효과가 있을까?제한적이다. 오늘(2025/4/2) "우리은행"의 신용대출을 알아봤는데, 은행이 기준으로 삼는 금리는 2.85%에 가산금리 3.3%를 붙인 6.11~15%의 금리..

송파구 헬리오시티 은행채 금리와 매매, 전세가격 변화

최근 한국은행이 경기침체 가능성에 따라서 기준금리 인하를 통하여 부동산 경기를 부양하고 있는 것을 강하게 의심한다. 물론 기준금리 인하가 부동산 부양만을 위한 수단은 아닐 것이나, 서울시의 토허제 해제와 더불어 서울시의 부동산 부양에 일조한 것이 사실인 상황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경기 방어보다는 서울시 부동산 가격 상승의 부작용만 발생시킨 현 상황에서 서울, 수도권의 대표적인 지역의 대표적 아파트들에 대한 금리에 따른 가격변화를 살펴본다.  송파구 헬리오시티 아파트 전용84타입 1) 은행채 금리(금융채 5년, AAA)와 헬리오시티 매매가격금융채(AAA, 5년) 수익률은 아파트 가격과 역방향을 보이고 있다. 최근 금리 인하와 더불어 토허제 버프까지 받은 송파구 헬리오시티 아파트의 가격은 직전 최고가격을 넘어..

강서구 가양동 빌라 매매, 전세, 월세 시세 비교

강서구 가양동 2019년~2025년 3월 매매 시세가양동에 위치한 빌라들의 매매 가격대는 거의 2억 원~2억 5천만 원 사이에 많이 있다.본 자료는 평형을 고려하지 않은 주소지에 위치한 빌라(다세대)건물의 거래가격 범위를 말한다.예를 들어서 강서로 76길 10-3에 위치한 건물의 가격범위는 12,000만원 ~ 27,000만 원인데, 이 경우 평형대가 달라서 가격차이가 발생된 것일 가능성이 높다. ( 전용 13㎡와 전용 33㎡의 가격은 다를 수밖에 없다. )6년간 거래 가격대가 매우 좁게 형성된 것은 거래가 없다고 판단하면 된다.  강서구 가양동 2024년~2025년 3월 전세 시세앞서 말했듯 과거 매매가격대가 2억에서 2억 5천만 원 사이에 대부분 형성되었던 가격대로 전세거래가 되고 있다.빌라 시세가 2..

강서구 화곡동 빌라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비교, 전세가율 80% 이상

아래 리스트는 2019년 1월 ~ 2025년 3월 초순까지 강서구 화곡동에서 매매, 전세 거래된 빌라들의 이름과 매매 최고가격, 전세 최고가격을 비교한 자료다. 최고가 시점을 구분하지 않은 것은 의미가 없기 때문이다.  매매를 2019년에 한 후, 주변 시세에 따라서 전세가격이 상승한 것이라고 말하며 전세입자에게 말한다면 속지 않을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아래 리스트는 이에 따라서 해당 지역의 2019년 이후 빌라이름에 해당하는 "최고 매매가격"을 기재하고, 해당 빌라의 "최고 전세가격"을 비교해 놓은 것이다. 전셋집을 구하시는 분들이라면, 강서구 화곡동에서 빌라 전세를 얻기 전 아래 단지에서의 전세는 주의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최고가격이라고 하더라도 이 가격에 매매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은 별개의 의미입..

강남구 삼성동 단독다가구 전세 시세

본 정보는 국토부실거래가격 2025. 3. 10일 자 자료를 기준으로 강남구 삼성동 다가구주택, 단독주택, 단독 내 월세 주택의 전세와 월세 시세를 2024년 1월부터 2025년 3월 10일까지 거래정보를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강남구 삼성동 단독다가구 전세, 월세 시세1) 삼성동 단독, 다가구 주택들의 도로명 주소를 기준으로 시세봉은사로68길의 전세 시세가 가장 비싸게 형성되어 있다.삼성동 인근의 단독/다가구 주택들의 중위 전세 가격은 2억 원~3억 원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 평수에 따라 다름 ) 강남구 삼성동에서 가장 선호하는 지역은 삼성로107길과 선릉로 112길에 위치한 단독/다가구 주택의 전세.최고 전세가격은 봉은사로68길 지역이지만, 가장 선호하는 지역에서 삼성로 107길이 19건의 전세 계..

2025년 아파트 거래현황-서울시 강서구 아파트 선호지역

본 자료는 2025년 3월 8일 국토부실거래가 자료를 기준으로 서울시 강서구 아파트의 거래량과 거래동향을 살펴봅니다. 특히 강서구에서 전용 59 타입 아파트의 평균 전세가격이 2024년 8월 최저점을 기록한 후 3월까지 상승하는 흐름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내용을 살펴보기 위한 것입니다.  강서구 아파트 전용 59㎡ 타입의 평균 전세가격은 2024년 1월 이후 최고 평균가격 강서구 아파트 전용84㎡ 타입의 평균 전세가격은 2025년 8월 이후 최근 최고 평균가격 특히 주목할 점은 강서구 총인구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시점인 2024년 1월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하고 있으며, 세대수 2024년 10월 이후로 계속 하락하고 있는 점입니다. 다른 지역의 경우엔 인구는 감소해도 세대수는 유지 혹은 증가하지만, 강서..

서울시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월세 보증금과 월세금

본 문서는 2025년 3월 1일 국토부실거래가 자료를 기준으로 2024년 1월부터 2025년 2월 말일까지 등록된 실거래 등록자료에서 "계약해지"건을 제외한 실제 실거래 가격의 평균가격을 기준으로 한 통계자료입니다. 2025년 2월의 경우 3월 말일까지 집계되므로 현재의 2월 평균가격은 추후 변경될 수 있습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이 자료는 현재 진행형 자료로 참고용입니다.  서울시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 흐름과 임대 가격(2024년 1월~2025년 2월 말)1) 서울시 거래유형별 아파트 평균 가격통계서울시 전체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2025년 2월 말 기준으로 11억7천만원으로 약간 하락한 상황입니다.전체 서울시 아파트 전세에서 평균가격은 하향세로 보입니다. (이 부분은 주 거래 평형인 24평, 34..

서울시 아파트 전세, 월세 거래량과 매매 거래량 변화

본 정보는 2025년 3월 1일 국토부실거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서울시 전체 아파트 거래량과 매매, 전세, 월세 거래량을 집계하여 서울시 내에서 아파트 거래량의 변화를 살펴보는 자료입니다. ( 자료의 기간은 2024년 1월 ~ 2025년 2월 말일까지 )  서울시 아파트 전세, 월세 거래량과 매매 거래량1) 서울시 아파트 거래유형별/월별 거래량 데이터아래 데이터에서 매매건수는 "계약해지"에 해당하는 자료는 제외된 실거래량을 기준으로 함. ( 데이터 2025.3.1 )계약년월매매건수전세건수월세건수2024년1월2,57613,9139,9602024년2월2,59812,1838,7902024년3월4,26213,56610,1502024년4월4,46211,2687,6822024년5월5,09512,0328,9892..

서울시 소형아파트 전월세 거래량과 월세 거래비중

소형아파트-서울시 전월세 거래량과 월세 거래비중1) 서울시 소형아파트 전월세 거래량 데이터서울시 소형아파트에 도시형 생활주택이 포함되어 그런 것인지 아파트 월세 거래량이 많아서인지 더 확인이 필요하다.다만, 아파트에서도 소형은 이미 월세 거래비중이 평균 76%를 넘어선 것이 의미하는바 크다. ( 통상 아파트는 전세 거주가 더 많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소형 아파트에서 월세 거래량이 80% 수준으로 높다.아래 데이터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서울시 소형아파트 월세 거래량은 34,000건  vs 전세 10,580건으로 월세 거래량이 월등히 많다. 그것이 아파트라도 말이다.서울시전세월세총임대량월세비중20240110142,9413,95574.4%2024028572,7353,59276.1%2024039333,3404,..

소형아파트 월세 거래량과 평균 월세금-서울,경기,인천 아파트 월세

본 자료는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의 2025년 2월 15일까지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며, 2024년 1월 ~ 2025년 2월 15일까지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이 지표를 살펴보는 이유는 소형 아파트에서의 전세, 월세 거래량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과정으로 일단, 전세 거래량을 우선하여 살펴본다. 소형아파트 : 전용면적 기준 40㎡ 미만의 아파트를 일컫는다.전용 평수를 계산할 경우 해당 전용면적 * 0.3025를 통해서 평환산이 가능하다. ( 전용 40은 전용 12평 이하로 보면 된다. )  수도권에 상경한 지방 청년세대들은 무조건 LH, SH 등의 매입전세, 매입월세, 공공임대 아파트를 신청하라. 임대아파트 신청하여 대기번호라도 받아두길 권한다. 주거비를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서..

소형아파트 전세 거래량과 평균 보증금-서울,경기,인천 지역 전세

본 자료는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의 2025년 2월 15일까지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된 것이며, 2024년 1월 ~ 2025년 2월 15일까지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것입니다. 이 지표를 살펴보는 이유는 소형 아파트에서의 전세, 월세 거래량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한 과정으로 일단, 전세 거래량을 우선하여 살펴본다. 소형아파트 : 전용면적 기준 40㎡ 미만의 아파트를 일컫는다.전용 평수를 계산할 경우 해당 전용면적 * 0.3025를 통해서 평환산이 가능하다. ( 전용40은 전용 12평 이하로 보면 된다. ) 서울, 경기 지역의 소형 아파트 전세 거래량과 평균 전세가격1) 소형 아파트 전세 거래량은 서울시가 근소하게 더 많다.2024년 1월 ~ 2025년 2월 15일까지 등록된 전세 거래량은 누계2025..

서울시 아파트 거래량 전년 수준은 불가능하다-주택별 매매 현황

본 자료는 2025년 2월 14일 08:00 기준 국토부실거래가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자료이며, 이 시점에서 계약해지건은 제외한 통계자료입니다. 본 통계는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를 기준으로 아파트, 빌라(다세대/연립주택), 오피스텔, 단독(다가구)을 대상으로 하므로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서울시 전체 주거용 주택의 매매 거래량1) 서울시 아파트 매매 거래량 (서울 주택거래량 1위 : 아파트)서울시에서 거래된 아파트 매매  거래량의 14개월 현황입니다. 2025년 1월은 2월 말까지 집계되는 기간임을 감안하면 2024년 1월에 비하여 매매 거래량이 증가했다.1월~3월 사이의 매매 거래량은 전년과 비슷하거나 소폭 감소한 거래량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으나 1월은 전년보다 매매 거..

서울시 세대수 감소로 지역 내 주택 수요 감소할 지역들

쉽게 생각할 경우, 집이나 방(취가 가능)이 분리되어 있을 경우에 세대분리가 가능하다. 보통은 주민등록을 할 수 있는 주택(아파트, 빌라, 다가구, 단독, 오피스텔 등등)을 기반으로 세대를 구분한다. 전월세를 통해서 계약을 한 주택(단칸방이라도 가능)을 기반으로 세대를 분리한다.  아래의 그래프들은 통계청의 주민등록세대수를 기준으로 서울시 전체에서 확연하게 구분될 정도로 세대수가 감소한 지역만을 다룬다. 세대수 감소가 확연히 보이는 지역은 강북구, 양천구, 성동구, 용산구, 종로구와 같은 지역이다. 확연한 세대수 감소와 상당기간 정체된 지역들이 있는가 하면, 서초구, 영등포구, 강남구, 강동구, 동대문구, 중랑구, 금천구등은 상당히 꾸준하게 세대수가 증가해 가고 있다. 이외 지역은 세대수가 상당기간 유지..

강남구 연령별 인구 증가와 감소수-인구증가 연령과 감소 연령대 분석

서울시 강남구 연령대별 인구와 인구피라미드 비교 ( 2025년 1월과 전년동월 )강남구는 전년동월인 2024년 1월 대비 인구수가 7,961명 증가했다.정체적인 연령에서 감소보다 증가가 더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추정컨데, 45세 주변 연령대의 남녀 부부가 중학생~고등학생까지 자녀와 함께 살고 있을 것이다. ( 이사 왔을 수 있다. )비교적 저연령의 초기 유소년 아이들을 키우고 있는 40세 주변 연령대는 강남구를 떠났다.45세, 57세, 72세의 연령대 인구집단이 강남구에 특히 많이 거주한다.이들 연령대의 사람들은 내년 2026년이 되면 46세, 58세, 73세가 될 것이다. ( 그냥 계속 강남거주하는 것이다. )본 비교는 강남구의 2025년 1월과 2024년 1월의 연령대별 인구수를 비교하는 것으로..

서울시 구 총인구와 생산연령, 고령인구 비율-2025년1월

통계청 2025년 1월 말 주민등록인구수 기준 서울시의 강남구를 비롯한 25개 지역구의 총인구수와 생산연령비율, 고령인구비율을 살펴보고, 서울시의 고령화율이 상당히 심각해져 가고 있음을 확인한다.  서울시의 2025년 1월 총 인구수는 9,330,658명(고령인구는 1,822,790명)으로 고령인구 비율은 19.54%  1. 2025년 1월 서울시 인구의 구별 현황과 3 분위 인구연령 비율1) 서울시 구별 유소년 비율서울시에서 유소년(0세~14세) 비율이 높은 지역은 "서초구"로 12.1% ( 강남구 11.7%, 강동구 11.0% 순 ) 2) 서울시 구별 생산연령 비율서울시에서 생산연령(15세~64세) 비율이 높은 지역은 "관악구"로 76.1% ( 마포구 74.6%, 광진구 74.5% 순 ) 3) 서울시..

2025년 1월 서울시 아파트 거래량 전년대비 거래량 증감

서울시 강북구에서 아파트 월세 거래량이 전년동월대비 12% 상승한 것을 제외한 서울시 전체 지역의 아파트 매매, 전세, 월세 거래량은 전년동월인 2024년 1월에 비하여 -55.7% 감소하였다.  1. 2024년 대비 2025년 1월 서울시 아파트 거래량 비교서울시 전체 아파트의 매매, 전세, 월세 거래량에서 44.3% 수준의 거래량임 ( 아파트 총 거래량 급감 )특히 거래량이 많이 감소한 거래 영역은 아파트 월세 부분으로 전년동월대비 42.4%로 가장 낮은 거래량 보임.구분매매월세전세총합계2024년2,5769,94413,88926,4092025년1,1924,2166,28511,693전년대비46.3%42.4%45.3%44.3%  2. 2024년 대비 2025년 1월 서울시 아파트 거래 증감률총 거래량 증..

강남구 수서동 까치마을 전용49㎡ 매매 가격은 상승 추세, 전세는 조정.

강남구 수서동 746에 위치한 수서까치마을 아파트는 전용면적 3 타입으로 1993년식 아파트다. 최근 매매 거래에서 10층 13억 9천만 원 실거래 등록 후, 취소 거래가 있었다. 결국 11층 13억 9천만 원 최종 실거래가격으로 해당 단지에 대한 재건축 혹은 이에 준하는 정부의 혜택이 있을 것으로 전망하거나, 정부나 지자체에서 뭔가 정보를 취득한 고가 거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1. 수서동 까치마을 아파트 기본정보단지명수서까치마을주  소서울특별시 강남구 수서동 746건물동수7최고층수15공급형태분양복도타입복도식승인일1993/09/08건물분류아파트분양세대1403주차대수534공공임대0전기차(지상)해당없음민간임대0전기차(지하)해당없음시행사.건설사진흥기업건물구조철근콘크리트구조관리업체율산개발 유한회사관리소0..

서울에서 아파트 거래량 많은 지역 분석과 아파트 월세 거래량-2025년1월

1. 서울시 구별 아파트 거래량 종합집계(2025년 1월)1) 서울시 전체 지역구의 종합 거래량2025년 1월 26일 국토부 실거래가 통계를 기준으로 거래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송파구(1323건-이중 매매는 59건)본 집계에서 거래량은 아파트 매매, 전세, 월세를 모두 포함한 것이며, 서울시 전체에서 매매 거래건은 1192건  2) 서울시 아파트 전체 종합 거래량과 거래량 비율2025년 1월 서울시 전체지역에서 매매 거래량은 10.2% 비율이며, 전월세 임대차 비율은 89.8%시군구매매월세전세총합계총합계11924216628511693비율10.2%36.1%53.8%100.0% 서울시 전체 전월세 거래에서 월세 거래비율이 특히 높은 4개 구가 눈에 띈다. 이중 3개 구는 평균 매매비율인 10.2%보다 높은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