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통계보고서는 통계청의 2025년 1월 말 주민등록인구수와 행정안전부의 세대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대한민국 각 시군구별 인구수를 기준으로 하며, 여성인구수를 기준으로 인구문제의 근본적인 이유를 찾고자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번 문서부터 각 시군구의 유소년, 고령인구와 생산연령의 부양비율을 산출하여 각 시군구의 생산연령대 인구의 삶의 무게를 살펴보는 시도를 포함하며, 매월 전국평균과 비교하도록 한다.
인구 피라미드상 71세 이하의 세대는 원주로 유입된 인구로 보인다. 여성인구 71세 전과 후의 인구수 규모가 확연히 다름으로 유추할 수 있다. 아니라면 71세 인구가 갑자기 원주가 아닌 타 지역으로 대거 전출되었을 수 있지만, 그럴 가능성은 낮다.
52세~64세 연령대의 인구는 2008년 1월 이후 매년 가파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는 이 연령대의 인구가 특정 시점에 강원도 원주시로 전입되어 계속 거주하며 누적되어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향후 이 연령대의 인구가 강원도 원주시의 고령화 문제에 큰 영향을 끼치게 될 것이 확실해 본다. 인구수도 많으며, 비율도 너무 높다.
1. 강원도 원주시 인구피라미드와 주요 특징
1) 강원도 원주시 인구피라미드
- 강원도 원주시는 362,159명으로 강원도 최대 인구수의 도시.
- 다만, 향후 3년 간인 2025~2027년까지 매년 6000명 이상의 고령인구 진입이 예정되어 있다. 현재 고령화율은 19.1%이지만, 2025년 당장 올해 20%를 넘어설 것이 확실한 상태다. ( 다만, 올해 신생아 출산이 급증한다면 다를 수 있다. )
- 전반적으로 원주시는 반곡관설동, 단구동, 무실동, 지정면, 단계동 지역에 인구가 밀집된 도시를 구성하고 있다.
- 원주시 중앙동 지역은 인구수도 적고 세대당 평균 인구도 가장 적은 지역이다. ( 데이터상 상업, 업무지역 거주민이 적을 수 있다. 그렇지 않다면 세대당 인구수가 이렇게 적을 수 없다. 거의 1인 세대 수준이다.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79,271 | 182,888 | 362,159 | 102.0% |
2) 강원도 원주시 주요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 강원도 원주시의 경우 52세 이후 인구수 비율이 총인구수에서 41.4%로 비교적 낮으며 강원도에선 가장 낮다.
3) 강원도 원주시 고령화율
- 원주시의 고령인구수는 69,331명으로 총인구수 대비 19.1%의 상대적으로 낮은 고령비율
- 21세 이하 젊은 층 총인구 65,561명과 대조적인 65세 이상 인구수를 보인다.
고령화율 | 총인구 | 65세이상 | 고령비율 |
362,159 | 69,331 | 19.1% |
4) 여성인구와 양육비율
- 여성인구에서 출산 및 양육을 실제로 할 수 있는 연령은 기준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 다만, 현실적으로 25세 미만과 60세 초과연령에서 가능성을 낮게 생각한다. (또한 남성 홀로 자녀를 키우는 조건도 배제)
- 오직 해당연령대 여성인구가 21세 이하 인구를 양육하고 있다고 가정한 양육비율이다. (양육비율 68~72%선)
- 남성 홀로 육아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으나, 여성인구가 양육하고 있다는 전제하의 양육비율이다.
여성인구 | 25세~60세 | 21세이하 | 양육비율 |
94,960 | 65,561 | 69.0% |
5) 가임기 여성인구수와 비율
- 통계적 가임기 여성인구(15세~49세)는 다소 비현실적이다.
- 다만 이는 다른 여타 통계와의 비교를 위한 수단으로써 표시한다.
- 매우 높은 가임기 여성인구비율을 보이고 있다.
여성인구 | 총인구 | 가임기여성 | 여성인구비율 |
362,159 | 76,940 | 21.2% |
2. 강원도 원주시 세대수와 부양비율
1) 강원도 원주시 행정동별 총인구와 세대수
- 원주시에서 가장 인구수가 많은 동은 반곡관설동과 단구동, 무실동 순으로 인구가 많이 거주한다.
- 하지만 세대당 인구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지정면으로 세대당 인구수가 2.43명으로 가장 3인 이상 가족거주 많은 지역이다.
행정구역 | 총인구수 | 세대수 | 세대당 인구 |
문막읍 | 17,200 | 8,932 | 1.93 |
소초면 | 8,078 | 4,446 | 1.82 |
호저면 | 3,338 | 1,799 | 1.86 |
지정면 | 32,836 | 13,508 | 2.43 |
부론면 | 2,128 | 1,290 | 1.65 |
귀래면 | 2,095 | 1,218 | 1.72 |
흥업면 | 9,456 | 5,473 | 1.73 |
판부면 | 7,059 | 3,769 | 1.87 |
신림면 | 3,573 | 2,028 | 1.76 |
중앙동 | 2,231 | 1,486 | 1.5 |
원인동 | 3,817 | 2,165 | 1.76 |
개운동 | 12,010 | 5,807 | 2.07 |
명륜1동 | 7,771 | 3,678 | 2.11 |
명륜2동 | 18,386 | 9,042 | 2.03 |
단구동 | 42,449 | 19,982 | 2.12 |
일산동 | 8,192 | 4,633 | 1.77 |
학성동 | 4,218 | 2,317 | 1.82 |
단계동 | 27,573 | 13,172 | 2.09 |
우산동 | 13,103 | 6,704 | 1.95 |
태장1동 | 12,758 | 6,346 | 2.01 |
태장2동 | 23,623 | 11,420 | 2.07 |
봉산동 | 7,307 | 3,805 | 1.92 |
행구동 | 8,686 | 3,621 | 2.4 |
무실동 | 36,602 | 16,375 | 2.24 |
반곡관설동 | 47,670 | 20,666 | 2.31 |
2) 유소년 부양비율, 고령인구 부양비율 및 총 부양비율
- 유소년(0세~14세)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낮으면 유소년이 적다는 것 )
- 고령인구(65세 이상)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높으면 고령인구가 많다는 것 )
- 합계부양(유소년+고령인구)은 생산연령인구가 짊어진 삶의 무게와도 같다.
현재인 2025년 1월 말을 기준으로 원주시는 고령자 수보다 생산연령인구의 비율이 상당히 높다. ( 어르신 적다는 의미 )
또한 유소년 비율도 높은 수준으로 전국평균보다 더 높은 수준의 유소년 부양비율을 보이고 있다. ( 아이 많이 키운다는 의미 )
반응형
3. 강원도 원주시 성별, 연령별 인구수
1) 강원도 원주시 영유아(0세~6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7,782 | 7,613 | 15,395 | 97.8% |
2) 학령인구(7세~2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5,898 | 24,268 | 50,166 | 93.7% |
3) 생산연령 1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2,947 | 20,333 | 43,280 | 88.6% |
4) 생산연령 2단계 - 인구 (32세~4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3,585 | 22,687 | 46,272 | 96.2% |
5) 생산연령 3단계 - 인구 (42세~5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7,984 | 28,985 | 56,969 | 103.6% |
6) 생산연령 4단계(은퇴연령) - 인구 (52세~64세) 인구
- 올해를 포함하여 3년간 대거 연평균 6200명 이상의 고령인구가 "노인" 기준인 65세에 도달하게 된다.
- 당장 2025년 초고령화사회에 진입하며, 2028년과 2029년을 제외하면 거의 매년 6000명 이상 고령자가 증가하게 된다.
- 이는 매우 특이한 인구 모형이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40,176 | 40,570 | 80,746 | 101.0% |
7) 전기 고령인구 (65세~74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0,342 | 21,432 | 41,774 | 105.4% |
7) 후기 고령인구 (75세 이상)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0,557 | 17,000 | 27,557 | 161.0% |
반응형
'인구와 주택통계 > 강원도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강원도 춘천시 최근 아파트 거래량과 인구수 특징 (0) | 2025.02.20 |
---|---|
강원도 고성군은 아파트 거래량 대부분이다. 기숙사 거주자가 많은 듯 보인다. (1) | 2024.12.20 |
강원도 고성군 인구수와 병원수와 남녀, 연령대별 인구수 (2) | 2024.12.20 |
강원특별자치도 시군별 총 인구수와 세대수-2024년10월 (0) | 2024.12.02 |
강원도 주요 5개 도시 영유아인구와 집중되는 영유아 인구 (강릉시) (0) | 2024.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