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계청의 취업자 현황정보와 주민등록인구수 통계를 기준으로 경기도 김포시의 총인구, 생산연령인구, 취업자수를 집계하여 김포시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지역 외 취업을 직주근접 비율로 추정하여, 김포시에 거주하는 취업자들의 삶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서 취업자현황의 통계 기준인 반기와 주민등록인구수 집계를 반기에 맞춘 6월, 12월 인구수로 대비하여 계산했다. 공식통계들이지만, 두 개를 합친 경우엔 공식 집계가 아님을 양지해 주시고, 참고자료로 살펴봐 주십시오.
경기도 김포시는 정주여건에 비하여 아파트 거래가격과 전세의 시세가 상당히 높아, 지역내 핵심 연령대인 32세~41세의 인구가 2024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이들 연령대 인구의 감소는 유소년 인구 감소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부동산 마이크로데이터
www.popin.kr
경기도 김포시 주요인구현황과 아파트 매매, 전세, 월세 거래량 및 국민평형 아파트 시세
부동산 마이크로데이터
2025년3월 47,468 31,172.0 1.52 65.67%
www.popin.kr
경기도 김포시 총 인구수와 취업자수
1) 김포시 총인구수 증가와 취업자수 증가
- 김포시에 유입된 총인구수의 증가는 아마도 서울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이 서울이 아닌 경기도로 유입한 것으로 봐야 한다.
- 그들의 주된 일자리는 여전히 서울시나 인근 김포 외 지역에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 또한 취업자수의 지속적 증가에도 직주 근접률은 2014년 하반기 최대 63.86% 이후 계속 하락하고 있다.
2) 김포시 생산연령인구의 취업률 추정과 직주근접률
- 김포시 거주하는 총인구에서 생산연령(15세~64세) 인구수 대비 취업자 비율은 2017년 하반기, 2020년 전반기 큰 폭의 감소가 있었으나, 2014년부터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 김포시 자체 내에서 취업요인이 있었다고 가정할 수 있지만, 그보다는 외지에 직장을 둔 사람들이 김포시에 이사 와서 살고 있다고 보는 게 합리적일 것으로 생각한다.
3) 김포시 취업자들의 직주근접과 거주지 외 취업자수(2024년 하반기 266,000명)
- 총 취업자 중 김포시 내에서 취업된 사람들의 숫자는 2014년 전반기 95,000명 -> 2024년 하반기 152,000명으로 증가
- 총 취업자중 김포시 외에서 취업된 사람들의 숫자는 2014년 전반기 59,000명 -> 2024년 하반기 114,000명으로 증가
- 김포외 지역에 취업된 사람들의 비율은 38.3%% -> 42.8%로 그 비율이 증가했다.
- 이는 김포시에 거주하며 서울에 취업한 사람들도 있었지만, 이미 서울지역에 일자리가 있는 상태에서 김포시로 거주지를 변경한 상황이 증가한 것으로 추정한다.
- 이들은 지하철이든, 차량이든, 버스등을 이용해 외지로 출퇴근하는 사람이 114,000명이 있다는 얘기가 된다. (물론 직주근접이라도 버스등을 이용해서 출퇴근할 것이다. )
4) 김포시 아파트 거래(매매, 전세, 월세) 분위기와 인구, 세대수 변화
- 2024년 9월 ~ 12월까지 아파트 월세 거래량이 크게 증가한 것을 볼 수 있다.
- 이 시기에 김포시 총인구수, 세대수의 증가는 크지 않았다. ( 거주자의 갱신, 유입과 유출인구수에서 유입인구가 조금 더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 김포시에서 2024년 9월~11월 사이엔 인구가 증가했다. ( 2024년 9월 486,258명 -> 2024년 11월 486,905명 )
- 2024년 12월 인구수도 감소하고 세대수는 수평으로 약간 감소한 상태가 되었다.
- 2025년 2월엔 485,728명으로 인구가 크게 감소했다. 이는 2024년 2월과 유사한 패턴으로 인구감소가 이 시기에 일어나는 것은 학령인구들이 졸업 후 대학진학 등으로 김포를 떠나는 이유도 있을 것이다.
- 헌데 김포시는 그런 이유가 아니다. ( 혼인, 출산율이 높은 인구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
5) 김포시 중요 연령대의 인구 감소(32세~41세)
- 이 연령대를 따로 관리하는 이유는 이 연령대가 혼인, 출산율이 가장 높은 시기이기 때문이다.
- 매우 중요한 연령대이며, 이들은 자녀의 양육을 위해서 서울에서 경기도로 유출되는 주요 연령이기 때문이다.
- 헌데 경기도 김포에서 이들 연령이 상당히 큰 감소를 보이고 있다. ( 그것도 지속적으로 감소한다. )
반응형
'경기도아파트와주택분석 > 경기도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파주시 취업인구와 직주근접율, 생산연령인구 취업율 (0) | 2025.03.19 |
---|---|
경기도 아파트 전세, 월세 거래량과 매매 거래량 변화 (0) | 2025.03.01 |
용인시 기흥구 인구피라미드와 성,연령별 인구수 분석 (0) | 2025.02.07 |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 아파트 전용84㎡ 단지 가격 비교 (0) | 2025.01.30 |
안양시 동안구 호계동 호계럭키아파트 전용84㎡가격과 주변시세 (0) | 202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