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청 : 2024년 6월 주민등록인구수 기준 ( 19세~28세 해당연령 여성인구가 증가한 지역 순위 )
* 압도적 쏠림의 젊은 청년들... 그리고 그들이 겪고 있을 열악한 주거조건과 과잉 경쟁... 젊음을 불태우다 죽을 것인가?

1. 여성(19세~28세) 인구 남성보다 많은 지역
[1] 전국 252개 시군구에서 여성인구수가 남성보다 1000명 이상 많은 지역리스트
[2] 해당 연령대에 국한한 것으로 이들 지역은 모두 5월에 비하여 6월에 인구수가 감소했다. ( 연령증가에 따른 자연감소 )
[3] 여성인구가 남성인구보다 많은 지역에서 "부산진구", "부산수영구"의 2개를 제외한다면 모두 "서울시"다.
대지역명 | 중지역명 | 남성 | 여성 | 여성인구비율 |
서울시 | 마포구 | 23,450 | 30,524 | 7,074 |
서울시 | 강서구 | 31,883 | 38,730 | 6,847 |
서울시 | 영등포구 | 22,481 | 27,957 | 5,476 |
서울시 | 관악구 | 45,217 | 50,000 | 4,783 |
서울시 | 송파구 | 36,533 | 41,011 | 4,478 |
서울시 | 광진구 | 24,670 | 28,884 | 4,214 |
서울시 | 서대문구 | 20,710 | 24,852 | 4,142 |
서울시 | 은평구 | 26,469 | 30,508 | 4,039 |
서울시 | 성북구 | 29,351 | 33,341 | 3,990 |
서울시 | 강남구 | 30,786 | 34,115 | 3,329 |
서울시 | 동대문구 | 25,228 | 28,533 | 3,305 |
서울시 | 동작구 | 28,073 | 30,726 | 2,653 |
부산시 | 부산진구 | 21,777 | 24,269 | 2,492 |
서울시 | 용산구 | 11,814 | 14,274 | 2,460 |
서울시 | 서초구 | 22,750 | 25,077 | 2,327 |
서울시 | 중랑구 | 21,273 | 23,539 | 2,266 |
서울시 | 강북구 | 16,487 | 18,649 | 2,162 |
서울시 | 강동구 | 25,067 | 27,187 | 2,120 |
서울시 | 구로구 | 22,135 | 23,786 | 1,651 |
서울시 | 중구 | 7,016 | 8,643 | 1,627 |
서울시 | 성동구 | 17,946 | 19,567 | 1,621 |
서울시 | 종로구 | 9,373 | 10,802 | 1,429 |
서울시 | 금천구 | 14,695 | 16,108 | 1,413 |
부산시 | 수영구 | 9,478 | 10,626 | 1,148 |
[4] 19세에서 28세의 비교적 어린 연령대의 인구들이 주택을 매입하거나, 고가의 전세를 감당하며 서울시에서 거주할 리 만무할 것으로 생각된다. ( 이 지역의 월세가 이 연령대 인구의 주 거주처 일 것이다. )
[5] 이 연령대의 해당지역 인구수는 1,166,370명이다. 여성인구 연령대 19세에서 28세의 인구가 거의 서울시에 모두 몰려 있는 것이다.
2. 서울시가 자행하는 국가 소멸적 경쟁 유도 -1
[1] 서울시를 지칭하는 것은 지역적이며 명칭에 해당하는 내용으로 정부와 지자체를 칭하는 것이 아니다.
[2] 전국 시도에서 유일하게 남성보다 여성 총인구가 많은 지역은 서울시다.
- 서울시에서 나고 자란 여성인구가 아니다. 전국에서 서울로 몰려든 인구이며 한창인 나이다.
[3] 경기도의 경우엔 여성인구가 19세~21세부터 해당 지역에서 유출되는 지역이 많다. ( 성남/ 과천은 제외다. )
- 해당 시군구에서 해당 연령 인구가 감소하는 추세가 대략 28세까지 이어진다.
행 레이블 | 남성 | 여성 | 총인구 | 남성-여성인구 |
서울시 | 588,363 | 661,216 | 1,249,579 | 72,853 |
세종시 | 18,567 | 17,847 | 36,414 | -720 |
제주도 | 37,363 | 32,512 | 69,875 | -4,851 |
대전시 | 98,388 | 90,861 | 189,249 | -7,527 |
광주시 | 94,137 | 86,453 | 180,590 | -7,684 |
부산시 | 180,492 | 172,306 | 352,798 | -8,186 |
인천시 | 175,836 | 164,461 | 340,297 | -11,375 |
대구시 | 139,413 | 126,179 | 265,592 | -13,234 |
전북도 | 98,857 | 83,591 | 182,448 | -15,266 |
울산시 | 65,391 | 49,554 | 114,945 | -15,837 |
충북도 | 94,095 | 76,980 | 171,075 | -17,115 |
강원도 | 86,856 | 68,806 | 155,662 | -18,050 |
전남도 | 94,631 | 75,083 | 169,714 | -19,548 |
충남도 | 119,514 | 97,550 | 217,064 | -21,964 |
경북도 | 134,738 | 101,506 | 236,244 | -33,232 |
경남도 | 172,507 | 134,453 | 306,960 | -38,054 |
경기도 | 828,655 | 756,055 | 1,584,710 | -72,600 |
소계 | 3,027,803 | 2,795,413 | 5,823,216 | -232,390 |
3. 서울시가 자행하는 국가 소멸적 경쟁 유도 -2
[1] 19세~28세의 젊은 청년 세대가가 서울, 경기도에 몰려 있고, 부산시에 6% 있는 수준이다.
- 지금 걱정인 건 70세 이상의 고령인구가 아니다. 힘든 세상을 살아왔고, 그 대가를 현재 젊은 이들에게 충분히 뽑아내고 있는 세대다. 그들이 더 원한다면 그건 "탐욕"이다.
[2] 진짜 다음세대를 보라. 19세~28세의 인구가 서울, 경기에 50% 수준으로 몰려있다.
- 이 경쟁상황은 앞서 말했던 60~70세 세대가 만들어 놓은 수도권 공화국과 아파트 공화국에 의한 폐해다.
- 도시국가들처럼 19세~28세의 젊은 청년세대가 비좁은 지역에 50%가 몰려 있다는게 상상이 가는가?
[3] 지방의 청년들이 서울과 경기권으로 몰릴 수 밖에 없는 구조가 되었다. 그리고 현재 정치권과 기득권은 이 상황을 개선하려 하거나, 고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자들이다.
[4] 이 젊은 이들은 경쟁에서 뒤쳐지고, 상처받고, 도태될 것이다. ( 혹자는 노력하면 잘 살 수 있다는 거짓된 주장을 한다. )
- 자본주의 세상에서 모두가 1등인 건 불공평한 세상이다. 그건 그들이 더 잘 알 것이다. 1등이 있다면 꼴등은 필수적인 조건이다. 이 젊은 세대들이 스치며 만나고 교류할 수 있겠으나, 지치고 경쟁에 치여서 도태되지 않길 바란다.
[5] 결국 성장이 뒷받침 되어야 하는데, 수출만이 경제성장을 주도하고 있고, 현 정권 들어서 해외 공장을 짓는 직접투자가 역대급으로 성장하고 있다. (특히 미국) -> 이로 인해서 한국 국내의 미래성장동력 자체가 "공동화"의 길로 걸어가고 있다.
시도 | 남성 | 여성 | 총인구 | 시도인구비 |
경기도 | 828,655 | 756,055 | 1,584,710 | 27.21% |
서울시 | 588,363 | 661,216 | 1,249,579 | 21.46% |
부산시 | 180,492 | 172,306 | 352,798 | 6.06% |
인천시 | 175,836 | 164,461 | 340,297 | 5.84% |
경남도 | 172,507 | 134,453 | 306,960 | 5.27% |
대구시 | 139,413 | 126,179 | 265,592 | 4.56% |
경북도 | 134,738 | 101,506 | 236,244 | 4.06% |
충남도 | 119,514 | 97,550 | 217,064 | 3.73% |
대전시 | 98,388 | 90,861 | 189,249 | 3.25% |
전북도 | 98,857 | 83,591 | 182,448 | 3.13% |
광주시 | 94,137 | 86,453 | 180,590 | 3.10% |
충북도 | 94,095 | 76,980 | 171,075 | 2.94% |
전남도 | 94,631 | 75,083 | 169,714 | 2.91% |
강원도 | 86,856 | 68,806 | 155,662 | 2.67% |
울산시 | 65,391 | 49,554 | 114,945 | 1.97% |
제주도 | 37,363 | 32,512 | 69,875 | 1.20% |
세종시 | 18,567 | 17,847 | 36,414 | 0.63% |
소계 | 3,027,803 | 2,795,413 | 5,823,216 | 100.00% |
'인구와 주택통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7월 전월대비 인구수 증감한 시도와 세부 252개 시군구 분석 (0) | 2024.08.05 |
---|---|
영유아와 학령인구기준, 여성 1인당 육아와 양육 인구수 (0) | 2024.07.18 |
2024년 6월 전국에서 인구가 증가한 곳과 감소한 곳 (0) | 2024.07.16 |
여성 인구와 아기의 비율, 혼인 연령과 엄마들의 연령 기준 출산비율 분석 (0) | 2024.07.06 |
전국 학령인구 많은 지역 20곳과 인구 비율-2024년6월(교육사업자 참고) (0) | 2024.07.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