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통계보고서는 통계청의 2025년 4월 말 주민등록인구수와 행정안전부의 세대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인천시의 2024년 5월과 2025년 5월 인구수의 변화를 비교하여 지역의 인구증가현황과 인구피라미드를 살펴봅니다. 2025년 4월 주민등록인구수를 기준으로 경기도와 인천시는 유의미한 인구수 증가가 있는 지역으로 그중에서도 "서구"의 인구수 변화를 살펴보고 성장하는 도시의 인구적 특성을 살펴봅니다.
인천시 서구 2024년 5월 인구피라미드와 성, 연령별 인구수
인천시 서구-인구 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 분석(젊은 도시)
통계청 2024년 5월 7일 주민등록인구수 자료를 기준으로 [인천시 서구]의 2024년 4월 주민등록인구수를 인구 피라미드와 인구의 성별, 연령대별 인구수를 비교하고, 주요 연령대별 구분 인구수를
apt-micro.tistory.com
1. 인천광역시 서구 인구피라미드와 주요 특징
1) 인천광역시 서구 인구피라미드
- 인천시 서구에서 가장 많은 인구수 연령은 43세 ( 남/녀 공통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322,112 | 318,225 | 640,337 | 98.8% |
2) 주요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 인천광역시 서구의 경우 64세 이전 인구수 비율이 총인구수에서 상당히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 특히나 영유아 인구수 비율은 5.3%로 매우 높은 수치이며, 학령인구도 14.9%로 상당히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 추정한다면 1차, 2차에 걸쳐 인천시 서구로 전입한 인구들은 30대 초중반이었을 것이다. ( 그들이 지역에서 계속 거주)
3) 인천광역시 서구 고령화율
- 인천시 서구의 고령인구수는 87,781명으로 총 인구수 대비 13.7% 비율이다. ( 전국 20%인 점을 고려하면 상당히 낮다. )
-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기존 인천시 서구에 거주하던 인구, 그 이전의 연령대들은 서구로 유입된 인구로 추정된다.
- 자연상태에서 이런 연령별 인구수 격차는 어려워 보인다.
고령화율 | 총인구 | 65세이상 | 고령비율 |
640,337 | 87,781 | 13.7% |
4) 인천광역시 서구 여성인구와 양육비율
- 여성인구에서 출산 및 양육을 실제로 할 수 있는 연령은 기준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 다만, 현실적으로 25세 미만과 60세 초과연령에서 가능성을 낮게 생각한다. (또한 남성 홀로 자녀를 키우는 조건도 배제)
- 오직 해당연령대 여성인구가 21세 이하 인구를 양육하고 있다고 가정한 양육비율이다.
여성인구 | 25세~60세 | 21세이하 | 양육비율 |
179,935 | 129,892 | 72.2% |
- 통계적 가임기 여성인구(15세~49세)는 다소 비현실적이다.
- 다만 이는 다른 여타 통계와의 비교를 위한 수단으로써 표시한다.
- 고령인구수를 제한다면 가임기 여성인구수 비율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
여성인구 | 총인구 | 가임기여성 | 여성인구비율 |
640,337 | 151,703 | 23.7% |
2. 인천광역시 서구 세대수와 부양비율
1) 인천광역시 서구 행정동별 총 인구와 세대수
- 인천시 서구에서 세대당 평균 인구수가 가장 높은 동은 "아라동"으로 평균 2.67명 ( 이 지역의 아파트는 조금 넓은 평수 추정 )
- 1 인구가구가 가장 많은 비율은 세대당 1.87명 가좌1동 지역으로 추정된다.
- 총인구수가 가장 많은 지역은 아라동, 검암경서동 순으로 나타났다.
행정구역 | 총인구수 | 세대수 | 세대당 인구 |
검암경서동 | 54,064 | 23,822 | 2.27 |
연희동 | 36,812 | 18,405 | 2 |
청라1동 | 30,439 | 11,989 | 2.54 |
청라2동 | 47,882 | 18,243 | 2.62 |
청라3동 | 36,075 | 14,114 | 2.56 |
가정1동 | 41,538 | 17,581 | 2.36 |
가정2동 | 17,056 | 7,129 | 2.39 |
가정3동 | 8,484 | 4,142 | 2.05 |
석남1동 | 19,872 | 10,303 | 1.93 |
석남2동 | 11,747 | 5,799 | 2.03 |
석남3동 | 13,108 | 6,661 | 1.97 |
신현원창동 | 28,996 | 12,436 | 2.33 |
가좌1동 | 12,520 | 6,688 | 1.87 |
가좌2동 | 18,254 | 7,518 | 2.43 |
가좌3동 | 15,021 | 7,814 | 1.92 |
가좌4동 | 12,082 | 5,732 | 2.11 |
검단동 | 32,351 | 15,302 | 2.11 |
불로대곡동 | 32,955 | 13,136 | 2.51 |
원당동 | 24,523 | 10,435 | 2.35 |
당하동 | 28,398 | 12,192 | 2.33 |
오류왕길동 | 24,920 | 10,453 | 2.38 |
마전동 | 21,233 | 8,130 | 2.61 |
아라동 | 72,007 | 26,990 | 2.67 |
2) 인천광역시 서구 유소년 부양비율, 고령인구 부양비율 및 총 부양비율
- 유소년(0세~14세)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낮으면 유소년이 적다는 것 )
- 고령인구(65세 이상)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높으면 고령인구가 많다는 것 )
- 합계부양(유소년+고령인구)은 생산연령인구가 짊어진 삶의 무게와도 같다.
- 유소년을 많이 부양하고 있으며, 고령자 부양비율은 낮다.
3. 인천광역시 서구 성별, 연령별 인구수
1) 인천광역시 서구 영유아(0세~6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7,539 | 16,683 | 34,222 | 95.1% |
2) 인천광역시 서구 학령인구(7세~2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49,157 | 46,513 | 95,670 | 94.6% |
3) 생산연령 1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 22세~31세까지 젊은 인구수가 점증한 것으로 보이는 인천시 서구의 남녀 인구수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39,607 | 38,386 | 77,993 | 96.9% |
4) 생산연령 2단계 - 인구 (32세~4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51,933 | 49,816 | 101,749 | 95.9% |
5) 생산연령 3단계 - 인구 (42세~5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57,150 | 53,903 | 111,053 | 94.3% |
6) 생산연령 4단계(은퇴연령) - 인구 (52세~64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66,362 | 65,507 | 131,869 | 98.7% |
7) 전기 고령인구 (65세~74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8,317 | 29,002 | 57,319 | 102.4% |
7) 후기 고령인구 (75세 이상)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2,047 | 18,415 | 30,462 | 152.9% |
'인천시아파트와주택분석 > 인천시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시 아파트 가격전망-가격 상승한 아파트 비율이 높다. (3) | 2025.04.30 |
---|---|
아파트 단기 가격 전망 근거자료-아파트 타입 산출과 표준화 가격전망 (1) | 2025.04.27 |
인천시 아파트 단기 가격전망-45%vs55%로 가격 상승세다. (0) | 2025.04.27 |
인천과 부산-인구의 거울반사처럼 좌우반전 (0) | 2025.03.06 |
인천시와 부산시 아파트 거래량 비교-2025년 1월 (0) | 2025.03.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