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와 주택통계

전국에서 영유아(0세~6세)인구 비율이 비교적 높은 지역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4. 7. 4. 22:39
반응형

* 통계청 주민등록인구수 기준 ( 2024.7.4 ) - 2024년 6월 말 주민등록인구수

* 영유아보육법 [ 시행 2024. 2. 17 ] 제2조(정의) 1항 : "영유아"란 7세 이하의 취학 전 아동을 말한다.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7세 이하를 영유아에 포함하려 했으나, 통상적으로 만7세는 기존 우리나라의 나이에서 8세 연령대에 속하여 취학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따라서 본 통계의 영유아 연령은 영아와 유아의 연령대를 0세~6세까지로 하여 집계한다.

 

1. 영유아 인구가 지역 인구대비 5% 초과하는 지역 17곳

[1] 부산시 강서구와 경기도 과천시가 총 인구수가 적은 것도 사실이긴 하지만, 인구수 대비하여 높은 영유아 비율을 가지고 있다. ( 특히 부산시 강서구의 경우는 지역 분석도 해본 만큼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다. )

 

[2] 다만 부산시 강서구의 구 인구수 대비 영유아 인구수 비율이 점차 낮아지고 있는 것은 좋지 않은 신호로 보인다.

 

[3] 이곳에 거주하는 사람들이 인구수 대비하여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에 비해서 아이들을 많이 낳고, 양육하고 있는 지역.

 

[4] 경기도 과천시를 제오하고는 전반적으로 주거에 큰 어려움이 적은 곳이다.

 - 부산시 강서구는 주위 지역으로 일자리들이 많고, 강서구 자체가 주택가격이 해운대구의 투기판 가격이 아니다.

 

[5] 일단 둥지를 마련할 저렴한 주택이 있고 양육하기 위한 돈벌이 수단이 지역 혹은 그 돈벌이를 하러 갈 수 있는 지역이라면 인구수 대비하여 영유아가 비율상 높다. 

 

전국 영유아(0세~6세) 인구가 지역 인구대비 높은 비율인 지역 17곳

 

 

2. 영유아 인구가 지역 인구대비 4% 이상 지역 64곳

[1] 총 64곳의 출산 및 영유아 양육환경이 모두 같을 수는 없으나, 이들 지역에서 영유아 비율이 총인구수 대비하여 높은 수준을 나타내는 것을 잘 연구해야 한다.

 

[2] 어느 지역은 말도 안되는 높은 주택(아파트 가격)을 나타내면서도 영유아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 것은 그들 지역에서 비교적 젊은 세대의 엄마, 아빠들이 거주하고 있다는 것이기도 하다.

 

[3] 서울시에서 4%를 넘는 영유아 비율 4% 초과 지역은 "서울시 강동구가 4.09%"로 유일했다.

  - 가장 가까운 수치인 서울시 성동구의 영유아 인구비율은 3.98%였다.

 

[4] 젊은 엄마, 아빠가 희망을 갖지 못하는 한, 이 비율은 지속적인 하락이 불가피해 보인다. 

 

순위 시점 총인구 0~6세(영유아) 영유아비율
1 부산시 강서구 142,292 9,803 6.89%
2 경기도 과천시 84,921 5,814 6.85%
3 세종시 세종특별자치시 387,940 25,722 6.63%
4 경기도 화성시 953,615 57,887 6.07%
5 대구시 달성군 259,280 14,608 5.63%
6 경기도 하남시 330,003 18,051 5.47%
7 대전시 유성구 369,288 20,069 5.43%
8 인천시 서구 630,949 34,265 5.43%
9 울산시 북구 216,893 11,748 5.42%
10 충남도 아산시 351,686 18,811 5.35%
11 경기도 김포시 486,017 25,799 5.31%
12 대구시 중구 92,659 4,856 5.24%
13 경기도 양주시 280,188 14,479 5.17%
14 충북도 청주흥덕구 280,385 14,449 5.15%
15 경기도 평택시 594,191 30,294 5.10%
16 경기도 시흥시 518,716 26,314 5.07%
17 인천시 연수구 395,060 19,883 5.03%
18 충남도 천안서북구 397,728 19,557 4.92%
19 경기도 수원영통구 361,875 17,733 4.90%
20 인천시 중구 164,129 7,982 4.86%
21 경기도 파주시 506,269 24,450 4.83%
22 전남도 나주시 116,968 5,603 4.79%
23 부산시 기장군 177,119 8,476 4.79%
24 충북도 청주청원구 189,473 8,911 4.70%
25 전남도 영광군 51,376 2,408 4.69%
26 강원도 인제군 31,769 1,487 4.68%
27 경기도 오산시 236,847 11,049 4.67%
28 충북도 진천군 86,751 4,026 4.64%
29 전남도 광양시 153,164 7,107 4.64%
30 경기도 용인수지구 375,984 17,401 4.63%
31 제주도 제주시 489,621 22,451 4.59%
32 경기도 광주시 393,286 18,010 4.58%
33 경기도 의왕시 155,593 7,120 4.58%
34 경남도 양산시 356,268 16,278 4.57%
35 충남도 계룡시 46,687 2,108 4.52%
36 전남도 무안군 90,544 4,088 4.51%
37 충북도 청주상당구 199,217 8,984 4.51%
38 경북도 구미시 404,871 18,223 4.50%
39 광주시 광산구 393,954 17,719 4.50%
40 충남도 당진시 170,375 7,556 4.43%
41 경기도 고양덕양구 493,791 21,889 4.43%
42 경북도 예천군 54,954 2,422 4.41%
43 전북도 전주덕진구 315,140 13,888 4.41%
44 강원도 원주시 361,430 15,793 4.37%
45 광주시 동구 106,462 4,634 4.35%
46 경기도 안양동안구 317,535 13,773 4.34%
47 전남도 순천시 276,986 11,936 4.31%
48 강원도 양구군 20,890 891 4.27%
49 경남도 창원진해구 189,647 8,085 4.26%
50 충남도 서산시 175,657 7,455 4.24%
51 경기도 남양주시 733,279 30,979 4.22%
52 경기도 용인기흥구 437,729 18,384 4.20%
53 충북도 증평군 37,316 1,562 4.19%
54 경남도 김해시 532,132 22,255 4.18%
55 강원도 철원군 40,888 1,683 4.12%
56 서울시 강동구 462,646 18,936 4.09%
57 광주시 북구 423,982 17,342 4.09%
58 경기도 성남분당구 470,942 19,212 4.08%
59 경기도 부천소사구 228,864 9,283 4.06%
60 경기도 수원권선구 364,758 14,775 4.05%
61 경기도 이천시 222,614 8,945 4.02%
62 강원도 춘천시 286,537 11,503 4.01%
63 경북도 포항북구 269,373 10,787 4.00%
64 경남도 거제시 232,973 9,329 4.0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