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와 주택통계

전국 노인 인구와 노인인구, 총 252개 시군구의 세부 고령화율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4. 8. 7. 14:23
반응형

* 노인 : 위키피디아를 근거로 통상 65세 이상 인구를 지칭한다는 의미로 사용함. ( 고령자는 조금 애매한 의미 )

* 통계청 주민등록인구수 자료 ( 통계청 발표 2024. 8. 2 자료 기준 )

* 서울시 고령화율과 경기도 고령화율, 부산시 고령화율을 비교한 이유는 수도권으로 불리는 지역의 고령화 인구의 특성과 비 수도권인 대도시에서의 고령화가 어떻게 진척되는지 확인해 보고자 했다.

* 부산시의 경우엔 초고령화 도시가 되어, 이들의 의료와 주거, 생활환경의 개선이 따라야 할 것으로 보이지만, 최근의 뉴스에서는 있던 대형마트 마저 없애고 아파트를 짓는다는 뉴스를 봤다. 노인들의 생활권역이 점점 넓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노인실비보험, 요양보험 등을 철저히 준비하지 않는다면 향후 의료에 의한 비용지출에 애로사항이 클 것으로 보인다.

* 설마 대형마트처럼 병원도 부수고 아파트를 짓는다는 정치인과 시장이 나오진 않을리라 본다. 

 

1. 전국 고령화율 현황 ( 252개 시군구 중 154개가 고령화율 20% 초과 )

1) 전국 기준 고령화율 초과 지역 시군구 개수

(1) 세부적인 총 252개 시군구(분구지역 분류)에서 154개 시군구가 고령화율 20% 이상 지역비율은 61.1%

(2) 서울시 25개 구중, 10개의 구가 고령화율 20%를 넘어선 상태로 나타남. ( 젊은 인구들이 서울을 떠났기 때문임 )

(3) 특히 부산시는 16개 시군구에서 14개 지역의 고령화율(20%)을 초과하였다.

   - 부산시 시군구 88%가 고령화된 지역을 넘어 초고령화 도시가 되었다.

   - 특히 젊은 사람일수록 부산을 떠나는 경향이 보이고, 부산에 주거지를 마련하며 내려올 사람이 있을지는 모른다.

   - 부산시에서 그나마 아이와 젊은 이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은 "부산시 강서구" 뿐이다.

시도 초고령화 시군구 개수 평균 고령화율
경북도 21 28.29%
전남도 20 29.55%
강원도 17 26.73%
경남도 16 28.11%
부산시 14 24.02%
전북도 13 28.66%
충남도 12 29.55%
서울시 10 21.25%
충북도 9 28.62%
경기도 8 24.57%
대구시 4 25.66%
인천시 4 23.50%
대전시 3 22.18%
광주시 2 21.73%
제주도 1 22.41%

 

 

2) 서울시 지역 고령화율 20% 초과지역 ( 10곳 )

[1] 노원구와 도봉구는 지난달 예상대로 초고령화 지역이 되었다. 

[2] 특징적인 것으로 중로구, 중구, 동대문구를 제외한 나머지 구 들은 서울시의 강북과 강서지역 끝 자락이다.

[3] 강남3구와 강동구 지역에 집중된 정부의 지원 사업들과 "둔촌주공 살리기"와 같은 대책들로 점철된 지역과 대조적.

  - 강서구와 노도강 지역의 주택가격 상승은 기존 고령 주택보유자들과 젊은 무주택자사이의 간극을 만들었다.

  - 젊은 사람들은 그 가격에 노도강을 선택하느니, 양주, 의정부와 같은 경기권으로 빠져나간다.

시점 총인구 고령인구 고령화율
강북구 284,579 69,901 24.6%
도봉구 305,091 72,551 23.8%
중구 121,407 26,122 21.5%
중랑구 380,912 81,288 21.3%
종로구 139,093 29,151 21.0%
은평구 464,004 96,104 20.7%
구로구 389,869 80,385 20.6%
금천구 226,526 46,009 20.3%
동대문구 341,086 68,369 20.0%
노원구 494,451 98,727 20.0%

 

서울시 고령화율 20% 이상 지역 ( 단위 : % )-통계지리정보서비스-https://sgis.kostat.go.kr/statexp/view/index

 

 

3) 경기도 지역 고령화율 20% 초과지역 ( 10곳 )

[1] 예상대로 노도강과 마포, 은평 지역에서의 인구들은 그 인접 경기도권으로 밀려났다.

 - 서울 외곽 지역의 고령화율 20% 초과지역과 대조적으로 인접한 경기도 지역은 초고령화율에서 빗겨 났다.

[2] 이제 경기도에서 서울과 인접한 지역이 아닌, 그 오고 가 지역의 인구들은 서울 인접지역으로 몰려들고 있다.

 - 서울 인접 외곽지역의 인구가 연천, 포천, 가평으로 이동하는 비율은 적으며, 오히려 그 외곽 지역에서 안쪽으로 젊은 이들이 이동하는 것이다. 

시도 시점 총인구 고령인구 고령화율
경기도 연천군 41,035 13,189 32.1%
경기도 가평군 62,445 19,347 31.0%
경기도 양평군 126,668 38,361 30.3%
경기도 여주시 114,696 29,858 26.0%
경기도 포천시 142,135 36,235 25.5%
경기도 동두천시 87,321 21,940 25.1%
경기도 안성시 192,293 39,653 20.6%
경기도 안양시만안구 228,360 45,848 20.1%

경기도 고령화율 20% 이상 지역 ( 단위 : % ) -통계지리정보서비스-https://sgis.kostat.go.kr/statexp/view/index

 

 

4) 제2의 수도 부산시-지역 고령화율 20% 초과지역 ( 14곳 - 총 16개 시군구 )

[1] 부산시 강서구 14.6%와 기장군 19%를 제외한 부산시 전체는 초고령화 도시에 진입함.

[2] 부산시는 젊은 사람들의 타 지역으로의 이동을 제어하지 못하고 있으며, 그들이 거주비 상승을 용인하고 있다.

  - 부산 수영구, 해운대구등의 초고가 아파트 단지들이 들어서며 주변의 집값을 상승시키며 자산을 마련하지 못한 청년들이 부산이 아닌 지역으로 떠나도록 방치하고 있다.

[3] 그나마 강서구 지역이 주택가격이 저렴하며, 이 지역 시군구 인구대비 영유아 비율이 전국에서 수위권이다. (1~2위)

부산시 고령화율 20% 이상 지역 ( 단위 : % ) -통계지리정보서비스-https://sgis.kostat.go.kr/statexp/view/index

 

[4] 아래의 표는 강서구, 기장군이 제외된 부산시 고령인구 비율 20% 초과지역의 정보.

시도 시점 총인구 고령인구 고령화율
부산시 영도구 105,136 34,281 32.6%
부산시 중구 38,090 12,059 31.7%
부산시 동구 86,719 25,419 29.3%
부산시 서구 102,859 29,820 29.0%
부산시 금정구 212,340 55,243 26.0%
부산시 수영구 172,945 43,401 25.1%
부산시 사하구 293,776 71,061 24.2%
부산시 남구 255,774 60,505 23.7%
부산시 사상구 200,627 47,264 23.6%
부산시 북구 270,327 61,191 22.6%
부산시 부산진구 361,820 81,642 22.6%
부산시 연제구 212,192 47,820 22.5%
부산시 동래구 269,048 59,072 22.0%
부산시 해운대구 377,122 81,785 2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