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보와정책/통계자료 설명

가구주 연령별 평균 경상소득과 증가액과 증가율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1. 31. 16:39
반응형
경상소득(가구소득) : 통계청 용어설명

가구에서 한 해 동안 경상적(정기적, 규칙적, 예측 가능한)으로 벌어들이는 소득으로, 일시적 또는 우연히 발생하는 비 경상소득(복권, 경조금 등)은 제외됨.

 

* 통계표명 : 가구주연령계층별(10세) 자산, 부채, 소득 현황 - 출처 : 가계금융복지조사(통계청, 한국은행, 금융감독원)

* 통계조사 : 전국 약 20,000 가구 조사. 

* 본 통계의 조사기법은 통계청의 방식대로 했을 것이고, 다만 그 결과 통계수치만을 제시한다.

* 본 통계는 능동적 조사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즉 조사에 참여한 2만여 가구는 최소한 조사에 응할 시간적 여유와 기타 사회적 여유가 있는 집단으로 애초에 사회 전체에 경상소득의 실제와는 거리가 있는 통계를 작성해야 하는 목적상의 기록일 뿐이다.

* 본 통계에서 나온 조사 년도와 경상소득 연도는 차이가 있다. 2021년에 표기된 경상소득은 전년도(2020년)의 경상소득이다.

 

1. 한국의 가구주 연령대별 평균 경상소득

1) 연도별 가구주 연령대별 경상소득

  • 본 통계표의 골자는 가구의 소득이다. ( 전체 평균 2017년 2.8명 -> 2024년 2.4명 감소함. )
  • 아래의 통계에서 각 가구의 소득이 사회적 상식과 매우 배치되는 평균 경상소득이지만, 수치 그대로 봐야 할 것이다.
  • 또한 당 통계에서 아래의 표의 평균 가구원은 ( 통계표의 전체 평균에 해당하는 기준이다. )
  • 즉 2021년을 기준으로 29세 이하에서 가구원이 2.6명이 아니라, 전체 연령대의 해당 가구원 평균이다.(각 연령대별 가구원수는 서로 상이하므로 참고만 하면 된다. )
  • 또한 당 통계에서 예를 들어서 30~39세 연령의 가구주의 2022년 가구 경상소득 평균은 6829만 원 / 가구원 2.5명 = 1인 2732만 원 소득이 되는 방식이다. 그러므로 통계상 수치는 참고만 하면 된다.
행 레이블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29세 이하 3,697 3,992 4,123 4,720
30~39세 6,719 6,995 7,241 7,199
39세 이하 6,242 6,464 6,590 6,664
40~49세 7,690 7,925 8,397 9,083
50~59세 7,771 8,143 8,404 8,891
60세 이상 4,347 4,656 5,013 5,512
65세 이상 3,520 3,778 4,054 4,375

 

반응형

2) 연도별 가구주 연령대별 경상소득 증감률

  • 2024년 30~39세 가구주의 전년 대비 소득 -0.58% 감소를 제외한 가구주 전 연령대에서 전년 대비 경상소득 상승
  • 심지어 65세 이상 가구는 2021년 이후 평균 경상소득이 한해도 감소한 적이 없다.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65세 이상 10.12% 7.05% 7.79% 8.04%

가구주 연령대별 전년대비 경상소득 증감율

 

  • 평균 경상소득이 많이 증가한 가구주의 연령대는 60세~64세 연령이 연평균 8.18% 경상소득 증가, 65세 이상 가구주 연령대의 경상소득이 8.08% 증가, 29세 이하 가구소득은 7.49%가 증가하며 큰 증가세를 보였다. 
  • 아래표는 전년 대비 가구주 연령대별 평균 경상소득 증감률이다. 모든 가구주 연령대에서 일부를 제외하고 다 상승했다.
구분 2021년 2022년 2023년 2024년 평균
29세 이하 4.23% 7.98% 3.28% 14.48% 7.49%
30~39세 4.90% 4.11% 3.52% -0.58% 2.99%
39세 이하 4.26% 3.56% 1.95% 1.12% 2.72%
40~49세 0.07% 3.06% 5.96% 8.17% 4.31%
50~59세 2.29% 4.79% 3.21% 5.79% 4.02%
60세 이상 7.97% 7.11% 7.67% 9.95% 8.18%
65세 이상 9.76% 7.33% 7.31% 7.92% 8.08%

 

 

3) 연도별 가구주 연령대별 경상소득 증감율 ( 2017년 ~ 2024년 )

  • 이 평균 수치만 봐도 배가 불러오는 느낌을 받는다. ( 이 평균대로면 우리나라엔 가난이 없을 것이다. )
  • 평균은 평균일 뿐이며, 이후 가구주의 연령대별 중위 경상소득을 추가로 살펴볼 계획이다.

기간별 연령대별 평균 경상소득-연도별(2017년~2024년) -단위 : 만원

 

 

2. 가구주 연령대별 경상소득(전체)

  • 해당 조사 사항은 부채를 지닌 가구와 부채가 없는 가구로 나뉜 조사이며, 부채가 있는 가구의 경상소득은 부채가 없는 가구에 비하여 소득이 증가했다는 점을 알아야 한다. 
  • 특히 고령으로 갈수록 부채를 보유한 가구의 소득과 부채가 없는 가구의 소득은 크게 차이가 난다. 
  • 이 부분도 살펴봐야할 부분으로 보인다.

아래 그래프들은 경상소득 평균액과 전년 대비 증가율을 말한다. 2024년 29세 이하 가구주들의 가구 경상소득 평균이 급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들의 소득상승에 기여한 부분이 무엇인지는 알 수 없지만, 투자 결과로 인한 소득상승일 가능성은 있다. 하지만, 평균 경상소득을 끌어올릴 정도로 우리나라 29세 이하 가구주의 투자수익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지 않는다. 

 

그렇다면 경상이전소득일 가능성이 있는데, 쉽게 말해서 부모도움을 받는 세대일 가능성이다. 너무 큰 폭으로 상승해서 조금 의아하다. 2024년 경기가 그렇게 좋았으며 청년 고용률이 그렇게나 활황세였는지 말이다.

2023년 경상소득(전체) 2024년 경상소득(전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