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보와정책/경제관련 정보

근로자가구(부부 공통) 유자녀와 무자녀 교육비 비교-월 교육비지출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4. 30. 15:34
반응형

2025.04.30 - [경제정보와 정책/경제 관련 정보] - 현실적 자녀 교육비(교육비+사교육비)-준비할 수 없는 노년

 

현실적 자녀 교육비(교육비+사교육비)-준비할 수 없는 노년

사교육비와 관련한 통계들이 말하는 월평균 사교육비는 너무나 비현실적인 기준을 보여주고 있어서 이런저런 통계들을 살펴보던 중 가장 현실적인 통계가 있어서 그 수치를 공유해 보고자 한

apt-micro.tistory.com

 

이전 글에서 현실적 자녀 교육비 참고자료를 작성했었는데, 이제 세부적으로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에서 근로자가구(부부/유자녀)와 근로자 외가구(부부/유자녀)의 비용 지출의 증감을 통해서 소득활동의 차이로 인한 교육격차와 분기별로 교육비가 감소하는 패턴을 살펴본다.

 

  1. 이 통계는 전국을 기준으로 하고 있으므로, 도시지역의 교육비 지출은 산간벽지 지역의 교육비 지출을 압도할 것을 의미한다.
  2. 교육비 지출이 거의 없는 근로자, 근로자외 소득활동인구의 월평균 지출에서 평균이 이 정도로면 수도권과 광역시 지역의 교육비는 정말 상상을 초월하는 비용을 지불하고 있을 것으로 당연히 추정이 가능하다. ( 전국평균이 이 정도이니 말이다. )

 

근로자가구(부부/미성년자녀)와 딩크족의 교육비 비교

  1. 아래의 표는 동일한 근로자가구를 기준으로 미성년자녀가 있는 가구와 없는 가구의 교육비 지출이다.
  2. 자녀가 없는 가구는 부부 2명이 거주하는 가운데 교육비 지출 평균이다. ( 자기계발비 지출일 수 있다. )
  3. 일반적으로 유자녀 가구의 경우엔 자기계발비 지출이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 일부 있는 가구도 있다. 극히 소수예상 )
  4. 유자녀 가구의 교육비 지출은 자녀에 대한 교육비 지출로 전액 수렴될 것으로 예상한다.
분기 자녀없음 유자녀 자녀교육비
2019.1/4 99,765 574,428 474,663
2019.2/4 23,747 410,741 386,994
2019.3/4 104,255 572,741 468,486
2019.4/4 23,319 390,486 367,167
2020.1/4 67,724 480,784 413,060
2020.2/4 21,655 325,882 304,227
2020.3/4 68,625 517,091 448,466
2020.4/4 42,664 324,220 281,556
2021.1/4 52,730 486,409 433,679
2021.2/4 31,790 417,836 386,046
2021.3/4 88,884 576,533 487,649
2021.4/4 35,220 417,929 382,709
2022.1/4 83,102 608,067 524,965
2022.2/4 15,138 457,316 442,178
2022.3/4 108,784 600,460 491,676
2022.4/4 41,752 493,156 451,404
2023.1/4 112,163 696,491 584,328
2023.2/4 54,529 488,997 434,468
2023.3/4 97,293 704,245 606,952
2023.4/4 39,917 497,390 457,473
2024.1/4 116,313 655,693 539,380
2024.2/4 39,915 483,147 443,232
2024.3/4 109,115 681,218 572,103
2024.4/4 43,764 550,092 506,328

 

 

반응형

근로자 가구의 교육비 지출 패턴

1. 근로자가구(부부/자녀없음) 교육비

  • 근로자 가구의 무자녀일 경우의 교육비 지출 패턴은 2/4분기, 4/4분기에 교육비 지출이 크게 감소하는 모습을 보인다.
  • 1/4분기, 3/4분기에 교육비가 증가하는데, 연초에 의욕적으로 시작했던 어학, 기술교육이 아닐지 예측해 본다. (대분은 포기)
  • 1월~3월, 7월~9월인데, 여름인 3/4분기는 특정해보기 어렵다. 
  • 다만 통계적으로 교육비 징출이 거의 사라지는 2/4분기, 4/4분기와 대조적인 1/4분기, 3/4분기 교육비 지출은 특이사항이다.

근로자가구(부부/무자녀) 교육비지출액(월평균)

 

 

 

2. 근로자가구(부부/자녀없음) 교육비

  • 유자녀 가구의 경우엔 코로나 팬데믹 시기라 해도 교육비 지출이 감소는 해도 "일정규모 금액"을 유지한다.
  • 교육비 관련하여 무자녀 교육비와 비슷한 패턴을 보이지만, 주의할 것은 무자녀 가구의 교육비 지출은 "거의 없다"시피한 지출 감소고, 유자녀 가구의 경우엔 일정 수준이상의 교육비 지출이 항상 나타난다는 것이다.
  • 통계상에서 근로자가구는 근로자외가구에 비하여 경상소득이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이다. ( 다수이기도 하다. )
  • 이번 통계에서 잡히지 않는 집단은 "근로자와 근로자외 소득활동이 없는" 집단으로 이들은 "사교육비 지출"과 관련하여 "없음"을 대답한 집단일 가능성이 매우 높아 보인다. 
  • 이 통계에서 근로자가구에서 최소한의 교육비도 지출하지 않는 가구는 아마 극단적으로 적을 것이다.

근로자가구(부부/미혼 유자녀) 교육비지출액(월평균)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