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아파트와주택분석/경기도 인구와 주택

아파트를 살꺼라면? 경기도 아파트 평균 매매 가격과 지리적 위치 비교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1. 27. 18:56
반응형

경기도 지역에서 2024년 12월을 기준으로 전년동월대비 가격이 소폭이라도 상승한 지역과 반대로 하락한 지역을 비교해 봤다. 지리적으로 가깝지도 않으며 개별 아파트들의 거래가격도 서로 상이하지만, 추세를 보기 위한 것으로 이는 아파트를 투자목적이 강한 매수와 실거주 목적이 강한 매수로 나눠볼 가치가 있어 보였다.

 

그래서 연말 비상계엄과 같은 경제적 큰 충격에 대응하는 사람들의 모습을 볼 기회로 삼았다. 우선 성남시 분당구, 수원시 영통구, 용인시 수지구, 수원시 권선구, 파주시와 같은 지역에서 연말에도 가격은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지역은 실거주 성격이 강한 아파트 매수로 판단한다. 이와 달리, 안양시 동안구, 용인시 처인구, 기흥구, 부천시 오정구, 안양시 만안구, 의정부시, 의왕시 지역은 투자성격이 강한 아파트 매수지역으로 판단한다. 

 

심플하게 생각해서 어차피 거주하며 자녀를 키우고 살아야 할 주택을 구입하는 거라면 투자목적처럼 향후의 수익성에 대한 고려 부분이 상당 부분 약화된다. 실거주자들은 그냥 살면 되기 때문이다. 너무 무리한 대출을 끼고 매수하는 게 아니라면 그냥 살면 된다. 하지만 투자적 성격의 매수는 경기 상황에 매우 민감할 것으로 추정했다.

 

 

 

1. 경기도 아파트 2023년에서 2024년 평균가격

  • 경기도의 아파트 평균가격대는 서울시와의 인접도와 접근성을 기준으로 가격이 형성되고 있다.
  • 일단 3선지역인 "연천군", "포천시", "가평군", "양평군", "여주시", "이천시", "안성시", "평택시"는 직주 근접이 필수조건.
  • 경기도 전체적으로 모든 자원이 경기 남부권에 집중되어 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 경기도 남부권 )
  • 경기도 전체적으로 코어(핵심지역)는 "과천시", "성남시 분당구", "성남시 수정구", "하남시", "구리시", "안양시 동안구", "광명시"가 서울시 강남권과의 인접성으로 상당히 고가의 가격을 형성하고 있다.
  • 경기도 2선 지역으로 고양시는 서울 강북의 업무지구와의 접근성을 갖는다. 남양주는 서울 강남권의 접근성을 지닌다.
  • 무조건 서울과 가깝다고 능사가 아닌 것은 "양주시", "의정부시"는 서울의 가장 낙후된 지역인 노도강과 접근성을 지닌다.

경기도 시군구별 2년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단위 : 만원)

 

 

반응형

2. 경기도의 전혀 상관없을 것 같은 지역의 비교

  • 아래의 두개의 그래프는 연말의 비상시국에도 가격이 전년동월대비 가격상승세를 보인 지역과 정반대로 하락하는 모습을 보이는 지역을 직접 비교한 것이다. ( 물론 기초가격인 아파트 평균가격은 지역마다 다르다. )

 

1) 전년동월대비 연말 기준 상승한 지역 (실거주지역)

  • 상승세가 크던 작던 연말의 비상시국에 즈음하여 아파트의 매매가격이 상승방향으로 보이는 지역이다.
  • 가장 강하게 상승한 지역은 수원시 영통구로 연말에 전년 동월대비 15% 가까운 가격상승을 보인다.
  • 이외 파주시와 수원권선구는 전년동월대비 마이너스를 보이다가 연말에 상승한 지역이다.

2024년 연말 가격 상승세 지역

 

 

2) 전년동월대비 연말 기준 하락한 지역 (투자지역)

  • 하락율이 가장 큰 지역은 부천시 오정구 지역이다. ( 급등락을 보이는 이유는 신축 비싼 아파트와 구축 저렴한 아파트 거래 때문일 것으로 강하게 추정되는 지역이다. )
  • 그 외 안양동안구, 요인처인구, 기흥구, 만안구, 의정부, 의왕시의 평균 전년동월대비 가격은 약간의 하락세였다.
  • 하지만 2024년 12월이 되며 전년동월보다 모두 하락세로 접어들었다. 

2024년 연말 가격 하락세 지역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