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her's View

윤석열 12.3 비상계엄은 내란이다. - 1 지금까지 밝혀진 팩트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4. 12. 13. 14:19
반응형

역사의 기록으로 2024년 12월 3일 밤 10시 23~30분사이에 벌어졌던 윤석열 당시 대통령의 비상계엄선포(12/3 내란사태)에 대한 조각들을 하나씩 풀어보려 한다. 또한 앞으로 계속되는 정보를 토대로 12.3내란사태의 그날을 역사적 시점에서 기록할 것이다.

 

일자 시간 주요 행적 주요 키워드/인물
2024.9.6 김용현 국방장관 취임 김용현
김용현 수도방위사령부 B-1벙커 공사 B-1벙커
2024.12.1 특전사령관 곽종근 (계엄진행 사실 사전 인지 시점) 곽종근
비상계엄 인지시점
2024.12.3
19시20분
삼청동 안전가옥 (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윤석열 )
1. 국회의원을 포함한 국회 탄핵, 종북세력 체포지시
2. 국회, MBC등 언론사, 여론조사 꽃 등 10여곳 접수(점령)기관 명령(A4용지)
조지호 경찰청장
김봉식 서울경찰청장
2024.12.3
22시17분
국무회의 관련 발언 : 반대했다고 언론에 말한 건 "한덕수" 뿐

한덕수 - 당시 국무회의 흠결 인정, 계엄 반대발언 주장
송미령 - 찬성 반대를 논할 수 없이 빠르게 이석 후 계엄 발표
박성재 - 이런 저런 의견있었다 함.


계엄관련 국무회의 5분이내 진행했다 함. ( 회의록 없으며, 국회 통고절차 없음. )

윤석열
한덕수총리
김용현 국방장관
조태열 외교부장관
이상민 행안부장관
김영호 통일부장관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장관
조규홍 보건복지부장관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성재 법무부장관
최상목 기재부장관 ( 공식확인 거부 )
헌법 : 77조 4항 (헌법위반)
 - 계엄발령시 국회 통고하지 않았음.

헌법 : 88조 6항 (헌법위반)
 - 군사에 관한 중요사항 심의한 사실이 없음.

국무회의 기록 없고, 국무위원은 한덕수 빼고는 확실하게 반대했다는 위원 없음.
2024.12.3
22시23분~30분
윤석열 : 비상계엄선언 ( 이하 사람들은 TV보고 알았다고 함. )

1. 707특임단장 김현태
2. 방첩사령관 여인형
3. 육군참모총장 박안수 ( 이후 계엄사령관 )
4. 특전사령관 곽종근 ( 이후 사전 인지했다고 사실 밝힘. ) 
 
2024.12.3
계엄령이후
방첩사령관 여인형 - 국방부 조사본부(군사경찰) 체포조 수사관 100명 파견 지시
방첩사령관 여인형 - 구금시설 준비요청 
방첩사령관 여인형 -> 국방부 조사본부장 박헌수 ( 수사관 10명 출동 )
방첩사령관 여인형 -> 경찰청 조지호 (정치인체포, 방첩수사 수사관 100명 지원요청)
B-1벙커,
군경찰, 체포조
박헌수
조지호

헌법: 제44조 국회의원 체포 또는 구금(헌법위반)
체포대상 :
우원식 국회의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한동훈 국민의힘 당대표
조국 주국혁신당 당대표

김어준, 이학영, 박찬대, 김민석, 정청래, 양정철, 조해주, 양경수, 김민웅, 김명수 전대법원장, 
계엄령 발표했던 박안수는 병력이동 지시안했다 진술 (이 시점 경찰이 국회 통제)
1. 계엄사령관 박안수 -> 국회장악, 선관위장악, 여론조사꽃 장악 지시안했다 진술
2. 이미 이 시점에 선관위 병력 투입, 여론조사 꽃 병력 투입 시작
 
윤석열 -> 특전사령관 곽종근 (비화폰 2번째 전화)
1. 국회 제적인원 150명 미만이니, 본회의장 문 부수고, 국회의원 끌어내라 지시
2. 특전사령관 곽종근 항명( 본회의장 진입지시 안했다고 진술 )
윤석열 명령
비화폰
곽종근
2024. 12. 3
22시30분
특전사령관 곽종근  -> 707특임단장 김현태
1. 특전사령관 곽종근 ( 헬기 12대 도착 및 출동준비 지시 )
김현태
곽종근
2024. 12. 3
23시00분
계엄사령부 계엄 포고령 제1호 발표
1. 국회, 지방의회, 정당의 활동, 정치적 결사, 집회, 시위 등 일체의 정치활동 금지
(국회의 정치활동 금지는 위헌)
계엄사령관 박안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