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4년 5월 7일 주민등록인구수 자료를 기준으로 인천시의 인구피라미드와 인구의 성별, 연령대별 인구수를 비교하고, 주요 연령대별 구분 인구수를 분석한다. -영유아, 학령인구, 혼인율 높은 연령대, 생산가능인구, 고령인구-
[Report Version - 240213] 인천시
1. 인천시 인구피라미드 구성
[1] 인천시 총 연령대별 인구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는 성별, 연령별 인구수
여성 55세 | 남성 52세 |
27,766명 | 27,150명 |
[2] 중심축을 기준으로 왼편 붉은색은 여성, 오른편 남색은 남성. ( 여성인구의 마이너스 표시는 무시하십시오. )
[3] 전체적인 성별, 연령대별 인구가 좌, 우 균형잡힌 상황과 하단의 영유아 인구(미래), 상부의 고령층이 중요함.

2. 인천시 총인구수와 연령대별 세부 분류
*통계청 2024. 5. 7 공개 : 주민등록인구수-시군구-1세 단위 ( 통계기간 2024. 4월 인구수 )
(1) 총 인구수와 성비율
[1] 인천시 전체의 인구에서 남성인구대비 여성인구 비율이 100.0% 였다. 남/녀가 거의 동일한 숫자다.
[2] 인천시는 0세~53세까지 여성인구 비율이 상대적으로 적다. ( 남성들이 많고, 이후 여성인구 증가한다. )
[3] 상당히 견고한 "생산가능인구"대가 형성되어 있고, 고령층 인구가 상대적으로 적다(젊은 사람이 많다.)
통계연월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4년4월 | 1,504,078 | 1,504,406 | 3,008,484 | 100.0% |

(2) 영유아 인구수와 성비율 (0세~5세)
[1] 해당 연령에서 여성의 인구비율이 남성보다 94.9%로 적은 편이다.(통계상 출생아의 남아 비율은 105%로 정상범주)
[2] 인천시 전체 영유아 인구수는 102,312명으로 총 인구대비 3.4% 수준이다. ( 서울시, 부산시보다 높다 )
통계연월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4년4월 | 52,501 | 49,811 | 102,312 | 94.9% |

(3) 학령인구와 성비율 (6세~21세)
[1] 6세~18세까지 남성인구가 여성인구보다 더 많다. ( 남성비율이 높다. )
[2] 여성의 인구비율이 남성보다 높아지는 시기는 19세부터다. ( 서울/부산과 비슷함 )
통계연월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4년4월 | 218,568 | 206,943 | 425,511 | 94.7% |

(4-1) 22세~30세 인구와 성비율(혼인율 높은 연령대-1)
[1] 해당 연령 전반에 걸쳐 여성인구가 남성인구보다 적은 92.9% 다.
[2] 인천시는 현재 30세까지 연령이 늘어나며 인구가 많아지고 있다.
통계연월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4년4월 | 180,649 | 167,774 | 348,423 | 92.9% |

(4-2) 31세~39세 인구와 성비율(혼인율 높은 연령대-2)
[1] 혼인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인데, 22세부터 이어진 여성인구 부족이 나아지지 않고 있다.
[2] 33세 이후에 상당히 평이한 연령대별 인구수를 나타내고 있고, 여성의 경우 32세보다 33세 여성의 인구가 적다.
[3] 해당 연령대에 결혼 후, 이주를 통하여 인천시에 유입된 인구가 있다고 본다면, 상당수 남성들은 짝이 없다.
통계연월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4년4월 | 193,938 | 178,177 | 372,115 | 91.9% |

(5) 40세~50세 인구와 성비율 (생산가능인구)
[1] 45세~48세 사이 인구수가 상대적으로 적다. ( 이 시기에 뭔일이 있긴 했나보다. )
[2] 추세적으로 해당 연령부터 여성인구 비율이 상승하기 시작하는데, 인천은 그렇지 않다.
- 여전히 남성인구의 비율이 높다.
통계연월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4년4월 | 272,594 | 258,552 | 531,146 | 94.8% |

(6) 51세~64세 인구와 성비율 (생산가능인구)
[1] 이 연령대에 다다라서 드디어 여성인구수와 남성인구수가 동율(100.9%)을 이뤘다.
[3] 남녀 인구수가 전 연령에서 아주 비슷한 숫자를 나타내고 있지만, 55세부터는 여성인구수가 더 많다.
통계연월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4년4월 | 358,147 | 361,231 | 719,378 | 100.9% |

(7) 65세~80세 인구와 성비율 (고령층)
[1] 확실한 국민연금 수령세대. ( 2024년은 64세부터 국민연금 수령세대 )
[2] 인천시 주민등록 통계상 고령층 전체 인구수 : 509,599명 / 총인구 : 3,008,484명 ( 고령비율 : 16.94% )
[3] 69세와 70세의 인구차이가 크며, 0세~69세까지 연령대의 인구수 비율이 높고, 고령비율은 상대적으로 낮다.
- 젊은 사람들이 유입되는 지역이라는 의미다.
통계연월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4년4월 | 194,765 | 215,887 | 410,652 | 110.8% |

(8) 81세 이상 초고령 인구와 성비율
[1] 여성인구수가 남성인구수의 2배에 달하는 비율은 인천시에서 처음으로 봤다.
[2] 여성고령층이 비율상 많다는 것이다.
통계연월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4년4월 | 32,916 | 66,031 | 98,947 | 200.6% |

'인천시아파트와주택분석 > 인천시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시 부평구 인구 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 분석 (0) | 2024.06.10 |
---|---|
인천시 구별 인구수와 고령화율, 인천시 지역별 고령 인구수 (0) | 2024.06.03 |
인천시 서구-인구 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 분석(젊은 도시) (0) | 2024.05.24 |
인천시 연수구 인구수와 생산가능인구, 여성비율과 인구통계 (0) | 2024.03.16 |
인천시 인구 수와 생산가능인구, 남녀 성비 불균형 (0) | 2024.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