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토부실거래가 2025년 1월 11일 자 자료를 기준으로 2025년 현재 부동산 거래량에서 "오피스텔"의 매매, 전세, 월세 거래량의 분위기를 살펴보기 위한 자료임. 본 기간의 마감은 2월 28일까지 집계되어야 하는 상황이며 현시점에서 분위기 파악을 위한 자료. 특히 인구가 유입되는 지역에서의 전, 월세 거래량 비율이 높은 것과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에서의 매매 거래량이 높은 것을 위주로 살
펴본다.
전국 시도별 오피스텔 2025년 1월 10일 차 거래량과 특징
1) 전국 오피스텔 거래량과 시도별 특징
- 2025년 1월 실거래등록 전국 오피스텔 거래량은 매매, 전세, 월세를 합친 3316건 ( 아파트 16,047건 )
- 거래량 순으로 서울시 1091건, 경기도 915건, 부산시 402건 순으로 많다.
- 오피스텔 전세 거래량이 월세보다 많은 지역은 "인천시"로 월세 117건 / 전세 131건으로 전세가 더 많음
- 특이한 것은 강원도 오피스텔 매매비율이 55.9%로 총 거래량이 적은 가운데, 매매비율이 높다.
시도 | 매매 | 월세 | 전세 | 총합계 |
강원도 | 38 | 16 | 14 | 68 |
경기도 | 78 | 494 | 343 | 915 |
경상남도 | 17 | 67 | 21 | 105 |
경상북도 | 6 | 20 | 6 | 32 |
광주시 | 7 | 25 | 21 | 53 |
대구시 | 8 | 55 | 43 | 106 |
대전시 | 11 | 13 | 10 | 34 |
부산시 | 22 | 262 | 118 | 402 |
서울시 | 105 | 625 | 361 | 1091 |
세종시 | 2 | 19 | 4 | 25 |
울산시 | 9 | 16 | 8 | 33 |
인천시 | 22 | 117 | 131 | 270 |
전라남도 | 14 | 22 | 12 | 48 |
전라북도 | 4 | 20 | 2 | 26 |
제주도 | 3 | 18 | 6 | 27 |
충청남도 | 6 | 26 | 27 | 59 |
충청북도 | 6 | 10 | 6 | 22 |
총합계 | 358 | 1825 | 1133 | 3316 |
2) 전국 오피스텔 거래유형(매매, 전세, 월세)과 비율
- 2025년 연초이며 겨울이 주택 매매에 있어서 비수기
- 확실히 오피스텔은 월세 거래비율이 높다. ( 총 거래량에서 55%가 월세 거래량, 전세 34.2%다 )
- 총거래량에서 10.8%만이 매매 거래량으로 매우 낮은 매매거래량 비율을 보이고 있다. ( 매매 자산으로 비선호 현상 )
시도 | 매매 | 월세 | 전세 | 총합계 |
총합계 | 358 | 1825 | 1133 | 3316 |
거래비율 | 10.8% | 55.0% | 34.2% | 100.0% |
반응형
3) 전국 빌라 매매거래 상위 지역( 임차거래량 비율 낮은 시도 )
- 강원도에서 오피스텔 매매 거래량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 2025년 1월 10일 차 기준 )
- 오피스텔 거래량에서 매매 거래량이 20% 이상인 지역은 아래 강원, 대전, 전남, 울산, 충북이다.
- 거래량이 매우 저조한 지역들이며, 본격적인 전세, 월세 거래량이 나타나기 전에 일시적 매매거래비율 상승으로 보인다.
시도 | 매매 | 총합계 | 매매거래 |
강원도 | 38 | 68 | 55.9% |
대전시 | 11 | 34 | 32.4% |
전라남도 | 14 | 48 | 29.2% |
울산시 | 9 | 33 | 27.3% |
충청북도 | 6 | 22 | 27.3% |
4) 전국 빌라 임대거래 상위 지역( 전월세 거래량 비율 높은 시도 )
- 주택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고 인구가 특정연령에서 계속 유입되는 지역
- 서울은 젊은 청년층 인구 증가지역, 경기, 인천은 30~40대 인구 증가 지역 ( 주로 서울 이탈 / 부산에서 유입된 인구 )
- 아래 지역은 오피스텔 거래에서 전세, 월세의 거래량이 90%를 넘는 지역으로 거래 10건에 1건만 매매이고, 이외 전월세.
- 투자 시 월세는 월세소득이 있을 수 있으나, 전세는 수익을 어떻게 만드는지 알 수 없다. ( 지가 상승기대는 하지 않아야 함. )
- 또한 오피스텔의 경우엔 재개발, 재건축등이 호재가 아님. ( 대지 지분이 너무 하찮은 수준 )
- 매매량은 있으나, 총거래량에서 10% 수준이므로 추후 환금성에도 문제 가능성 있다.
시도 | 월세 | 전세 | 총합계 | 전월세비율 |
부산시 | 262 | 118 | 402 | 94.5% |
대구시 | 55 | 43 | 106 | 92.5% |
세종시 | 19 | 4 | 25 | 92.0% |
인천시 | 117 | 131 | 270 | 91.9% |
경기도 | 494 | 343 | 915 | 91.5% |
서울시 | 625 | 361 | 1091 | 90.4% |
반응형
'252개 시군구 아파트 가격현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www.popin.kr (0) | 2025.03.26 |
---|---|
전국 다가구(단독)주택 거래량과 지역별 특징-2025년1월10일 (0) | 2025.01.11 |
전국 빌라(다세대) 거래량과 특징-2025년1월10일 (0) | 2025.01.11 |
전국 아파트 거래량으로 살펴본 2025년 거래량과 특징 (0) | 2025.01.11 |
안양시 동안구 아파트 전용 면적별 전세 거래량과 전세 평균 가격 (0) | 2024.07.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