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와 주택통계/전라도 인구와 주택

전남 광양시 아파트 월별 거래량과 월별 인구 증감수 비교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1. 22. 22:03
반응형

본 내용은 통계청 주민등록인구수 2023년 12월 ~ 2024년 12월까지 13개월의 인구수 정보를 기준으로 하며, 국토부 실거래가격 정보시스템의 2024년 연간 아파트 거래(매매, 전세, 월세) 거래량을 기준으로 작성한 글이다.

 

아파트 월별 총거래량을 기준으로 인구수가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된 기간은 2024년 3월과 7월, 8월로 예상되었다.
하지만, 실상은 조금 다르다. 광양시에서 아프트 총거래량은 5589건인데, 매매의 경우엔 투자나 팔고 타 지역으로 떠난 인구가 다수인 것으로 추정된다. (투자니 직접 거주할 이유는 없이 월세, 전세를 두었을 것이다. )

실제로 광양시 아파트 거래량에서 전월세 거래량만 3428건인데, 이 시기 인구수 증감에서 신생아로 인한 인구증가가 이 지역에서 살던 사람들의 인구감소를 상쇄할 수준이었다는 것이다. ( 실제로 광양시 영유아 인구비율은 총인구대비 4.8%로 높다. ) 하지만 그래봤자, 총인구를 증가시키는 것은 몇백 명 수준이었다.

정체된 인구구조를 가지지만, 상당히 안정적 모양의 인구피라미드 를 갖고 있는 지역인 것은 확실하다. 

 

 

더 놀라운 것은 광양시 아파트 전용 59 타입과 전용 84 타입의 매매가격보다 전세가격이 평균이긴 하지만, 더 높다는 사실이다.

전세가 더 비싼데도 아파트 전세를 택한다는 것은 계속 거주의사가 그다지 없다는 것과 큰 차이가 없어 보인다. 이 부분은 개선되어야 할 부분으로 보인다.

전남 광양시에서 선호하는 아파트 전용면적

 

 

1. 전남 광양시 아파트 거래량

1) 전남 광양시 주택거래 총량과 주택 유형

  • 광양시에서 거래된 주택의 총 거래량은 6266건 ( 이중 아파트는 5589건으로 총거래량의 89.2% )
  • 거래된 주택 전체보다는 아파트 거래량만을 살피는 것으로도 인구변동과 충분히 매칭될 수 있다.
구분 다가구 빌라 아파트 오피스텔
총거래량 376 298 5589 3

 

 

2) 전남 광양시 월별 아파트 거래량

  • 아래 그래프는 아파트 매매와 전세, 월세 거래량을 합산한 총 거래량을 나타낸다.
  • 거래량에서 3월에 가장 많은 거래량을 보였고, 7월, 8월에 다시한번 거래량이 증가했다. 

전남 광양시 아파트 월별 총 거래량(단위 : 건)

 

 

3) 진짜 실거주 거래량인 아파트 전세와 월세 거래량

  • 아래 그래프에서 광양시의 아파트 전세, 월세 거래량을 월로 구분한 것이다. 
  • 아파트 전세와 월세를 투자목적으로 계약하진 않을 것이므로 아파트 전월세는 실제 인구 변동에 영향.

전남 광양시 아파트 월별 임대차 거래량(단위 : 건)

 

 

 

2. 전남 광양시 총인구 증감과 성별 인구증감

1) 전남 광양시 월별 총 인구수 변동과 전월 대비 인구 증감수

  • 광양시는 2024년 2월 ~ 4월까지 순감소 했다. ( 인구 유출보다는 자연감소일 가능성이 높다.-노환/고령사망 등 )
  • 이외 5월부터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 앞서 살핀 2월~4월을 제외한 전 기간 전월 대비 인구수는 순증하고 있다. )

전남 광양시 총인구와 전월대비 인구수 증감

 

 

2) 전남 광양시 월별 성별 인구수 전월대비 증감수

  • 조심스럽지만 6월~9월 사이에 남여 인구수가 증가한 것은 신생아 출산의 영향일 수 있다.
  • 연초엔 학업, 취업등의 이유로 지역에서의 인구유출이 자연스레 발생한다. ( 물론 해당지역에서 해결되는 지역도 있다.)
  • 6월~9월 사이의 인구수 순증은 말그대로 신생아 출산으로 영향을 보는 게 옳을 것 같다.

광양시 월별/성별 인구수 증감 ( 영유아 증가가 인구수 순증 이유 )

 

 

3) 전남 광양시 월별 성별 0~6세 영유아 인구수 변동

  • 영유아 총인구가 감소하는건 고령자와 다르다. ( 이들은 6세에서 7세가 되며, 학령인구로 구분이 변경된다. )
  • 확실히 영유아의 인구수가 6월부터 증가했다. ( 영유아에서 여아의 비중이 증가해 간다. )
  • 이 말은 이전 영유아 비율에서 남아가 많았음을 의미하며 아래 그래프는 그것을 보여준다. ( 남아->7세 학령인구 이동)

전남 광양시 0-6세 인구수 증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