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와 주택통계/전라도 인구와 주택

전라남도 고흥군 인구피라미드와 인구수의 연령, 성별 특징 보고서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2. 4. 08:51
반응형

본 통계보고서는 통계청의 2024년 12월 말 주민등록인구수와 행정안전부의 세대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대한민국 전라남도 고흥군의 인구수를 기준으로 하며, 여성 인구수를 기준으로 인구문제의 근본적인 이유를 찾고자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번 문서부터 각 시군구의 유소년, 고령인구와 생산연령의 부양비율을 산출하여 각 시군구의 생산연령대 인구의 삶의 무게를 살펴보는 시도를 포함하며, 매월 전국평균과 비교하도록 한다.

 

 

1. 전라남도 고흥군 인구피라미드와 주요 특징

1) 전라남도 고흥군 인구피라미드

  • 고흥군 인구에서 여성인구가 남성인구보다 1천 명가량 많은 것으로 보이며, 대부분 고령 여성인구다.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29,597 30,593 60,190 103.4%

전라남도 고흥군 인구피라미드-통계청 2024년12월 말

 

 

2) 주요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 전라남도 고흥군의 경우 52세 이후 인구수 비율이 총인구수에서 69.7%
  • 후기 고령인구(75세 이상)의 인구수가 총 인구수에서 가장 많은 인구비율을 갖는다.

전라남도 고흥군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3) 전라남도 고흥군 고령화율

  • 고흥군의 고령인구수는 27,498명으로 총 인구수 대비 45.7%의 높은 고령화율 보임.
  • 거의 절반의 인구가 65세 이상인 지역이다. 
고령화율 총인구 65세이상 고령비율
60,190 27,498 45.7%

 

 

4) 여성인구와 양육비율

  • 여성인구에서 출산 및 양육을 실제로 할 수 있는 연령은 기준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 다만, 현실적으로 25세 미만과 60세 초과연령에서 가능성을 낮게 생각한다. (또한 남성 홀로 자녀를 키우는 조건도 배제)
  • 오직 해당연령대 여성인구가 21세 이하 인구를 양육하고 있다고 가정한 양육비율이다.
여성인구 25세~60세 21세이하 양육비율
8,789 5,874 66.8%

 

  • 통계적 가임기 여성인구(15세~49세)는 다소 비현실적이다.
  • 다만 이는 다른 여타 통계와의 비교를 위한 수단으로써 표시한다. (가임기 여성인구비율)
여성인구 총인구 가임기여성 여성인구비율
60,190 5,844 9.7%

 

 

 

2. 전라남도 고흥군 세대수와 부양비율

1) 문경시 행정동별 총 인구와 세대수

행정동별 총인구수와 세대수( 세대당 인구수 )

 

  • 총 세대수 35,280세대 ( 총인구 60,190명 ) = 세대당 인구 1.706명 ( 독거세대 다수 )
행정구역 총인구수 세대수 세대당 인구
고흥읍 12,425 6,140 2.02
도양읍 9,369 5,123 1.83
도양읍소록출장소 522 383 1.36
도양읍시산출장소 191 135 1.41
풍양면 2,879 1,783 1.61
도덕면 2,713 1,677 1.62
금산면 4,008 2,473 1.62
도화면 3,584 2,178 1.65
포두면 4,548 2,825 1.61
봉래면 1,814 1,115 1.63
점암면 2,528 1,651 1.53
과역면 3,042 1,884 1.61
남양면 2,156 1,345 1.6
동강면 2,893 1,777 1.63
대서면 2,091 1,369 1.53
두원면 2,824 1,809 1.56
영남면 1,195 757 1.58
동일면 1,408 856 1.64

 

 

2) 유소년 부양비율, 고령인구 부양비율 및 총 부양비율

  • 유소년(0세~14세)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낮으면 유소년이 적다는 것 )
  • 고령인구(65세 이상)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높으면 고령인구가 많다는 것 )
  • 합계부양(유소년+고령인구)은 생산연령인구가 짊어진 삶의 무게와도 같다.
  • 다만, 해당 지역의 생산연령인구가 모두 고령(부모세대) 인구를 부양한다 단정할 수 없다. (유소년 마찬가지)
  • 합계 부양비율은 고흥군을 닫힌 지역으로 계산 시, 1명이 1명을 부양해야 하는 지역이다.

유소년 부양비와 고령인구 부양비, 총 부양비율

 

 

반응형

3. 전라남도 고흥군 성별, 연령별 인구수

1) 영유아(0세~6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617 609 1,226 98.7%

연령, 성별 영유아 인구수

 

 

2) 학령인구(7세~21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2,450 2,198 4,648 89.7%

연령, 성별 학령인구 인구수

 

 

3) 생산연령 1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1,883 1,340 3,223 71.2%

22세~31세 연령, 성별 인구수

 

4) 생산연령 2단계 - 인구 (32세~41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1,757 1,527 3,284 86.9%

32세~41세 연령, 성별 인구수

 

 

5) 생산연령 3단계 - 인구 (42세~51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3,347 2,506 5,853 74.9%

42세~51세 연령, 성별 인구수

 

 

6) 생산연령 4단계(은퇴연령) - 인구 (52세~64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8,064 6,394 14,458 79.3%

52세~64세 연령, 성별 인구수

 

 

7) 전기 고령인구 (65세~74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6,254 6,369 12,623 101.8%

고흥군 전기 고령인구의 성별, 연령별 인구수

 

 

7) 후기 고령인구 (75세 이상)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5,225 9,650 14,875 184.7%

후기 고령인구의 성별, 연령별 인구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