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와 주택통계/전라도 인구와 주택

전라남도 화순군 인구피라미드와 인구의 연령, 성별 특징 보고서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2. 19. 13:36
반응형

본 통계보고서는 통계청의 2025년 1월 말 주민등록인구수와 행정안전부의 세대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대한민국 전라남도 화순군 인구수를 기준으로 하며, 특히 여성인구수를 기준으로 인구문제의 근본적인 이유를 찾고자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번 문서부터 각 시군구의 유소년, 고령인구와 생산연령의 부양비율을 산출하여 각 시군구의 생산연령대 인구의 삶의 무게를 살펴보는 시도를 포함하며, 매월 전국평균과 비교하도록 한다.

 

 

1. 전라남도 화순군 인구피라미드와 주요 특징

1) 전라남도 화순군 인구수와 인구피라미드

  • 전남 화순군의 2025년 1월 주민등록인구수는 60,737명( 주로 고령 여성인구가 다수인 여성인구수 상위 지역임. )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30,078 30,659 60,737 101.9%

전라남도 화순군 인구피라미드-통계청 2025년1월 말

 

 

2) 주요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 전라남도 화순군의 경우 52세 이후 인구수 비율이 총인구수에서 56.4%
  • 인구의 절반 이상이 50대 이상인 것이며, 특히 영유아 인구수가 매우 적다. 
  • 하지만, 영유아 인구수의 부족과 관련하여, 32세~51세 해당 인구수가 매우 적은 상황을 고려하면 긍정적인 지역이다.

전라남도 화순군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3) 전라남도 화순군 고령화율

  • 전남 화순군의 고령인구수는 18,835명으로 총인구수 대비 31.0%의 높은 고령화율 보임.
고령화율 총인구 65세이상 고령비율
60,737 18,835 31.0%

 

 

4) 여성인구와 양육비율

  • 여성인구에서 출산 및 양육을 실제로 할 수 있는 연령은 기준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 다만, 현실적으로 25세 미만과 60세 초과연령에서 가능성을 낮게 생각한다. (또한 남성 홀로 자녀를 키우는 조건도 배제)
  • 오직 해당연령대 여성인구가 21세 이하 인구를 양육하고 있다고 가정한 양육비율이다.
  • 적정 연령의 여성인구수 기준으로 양육비율은 66.9%로 낮지 않다. ( 자녀 양육에 최선을 다하고 있다는 것 )
여성인구 25세~60세 21세이하 양육비율
12,669 8,475 66.9%

 

 

5) 가임기 여성인구와 양육비율

  • 통계적 가임기 여성인구(15세~49세)는 다소 비현실적이다.
  • 다만 이는 다른 여타 통계와의 비교를 위한 수단으로써 표시한다.
가임기 여성인구 총인구 가임기여성 여성인구비율
60,737 9,524 15.7%

 

 

 

2. 전라남도 화순군 세대수와 부양비율

1) 전라남도 화순군 행정동별 총 인구와 세대수

  • 화순군 인구의 절반 이상인 39,123명이 화순읍에 거주하고 있다. 
  • 화순읍을 제외하면 일반적으로 세대당 인구수는 2명 이하로, 상당히 많은 비율로 1인 세대가 많다.
  • 특히 청풍면의 경우, 총 주민등록인구수 945명에 664세대로 평균 세대당 인구수는 1.42명으로 가장 낮다.

행정동별 총인구수와 세대수( 세대당 인구수 )

 

행정구역 총인구수 세대수 세대당 인구
화순읍 39,123 18,359 2.13
한천면 900 555 1.62
한천면영외출장소 404 271 1.49
춘양면 1,690 1,066 1.59
청풍면 945 664 1.42
이양면 1,699 1,108 1.53
능주면 2,912 1,568 1.86
도곡면 2,708 1,594 1.7
도암면 1,347 881 1.53
이서면 937 593 1.58
백아면 1,510 1,018 1.48
동복면 1,496 974 1.54
사평면 2,096 1,294 1.62
동면 2,970 1,877 1.58

 

 

2) 유소년 부양비율, 고령인구 부양비율 및 총 부양비율

  • 유소년(0세~14세)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낮으면 유소년이 적다는 것 )
  • 고령인구(65세 이상)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높으면 고령인구가 많다는 것 )
  • 합계부양(유소년+고령인구)은 생산연령인구가 짊어진 삶의 무게와도 같다.
  • 유소년에 대한 부양비율은 상대적으로 전국 평균에 비하여 낮다. 고령인구가 31%를 넘는 지역으로 고령부양비율은 높다.
  • 특징적으로 후기고령인구(75세 이상)에서 여성인구가 남성인구에 비하여 2배 수준이다.
구분 총인구 남성인구 여성인구 인구비율
유소년 4,767 2,464 2,303 7.8%
생산연령 37,135 19,548 17,587 61.1%
전기고령 9,193 4,758 4,435 15.1%
후기고령 9,642 3,308 6,334 15.9%

유소년 부양비와 고령인구 부양비, 총 부양비율

 

 

반응형

3. 전라남도 화순군 성별, 연령별 인구수

1) 전라남도 화순군 영유아(0세~6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810 754 1,564 93.1%

연령, 성별 영유아 인구수

 

 

2) 전라남도 화순군 학령인구(7세~21세) 인구

  • 7세~11세와 12세~21세의 인구수가 의미 있는 격차가 있다. 
  • 11년 전인 2014년부터 인구감소가 크게 일어난 것이다. ( 학령인구 연령대를 양육할 부모세대가 지역에서 유출된 것 같다. )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3,611 3,300 6,911 91.4%

연령, 성별 학령인구 인구수

 

 

3) 생산연령 1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 12세~31세 범위내의 인구수는 매우 잔잔한 흐름이다. ( 큰 인구유입 / 큰 인구유출이 보이지 않는다. )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3,074 2,759 5,833 89.8%

22세~31세 연령, 성별 인구수

 

4) 생산연령 2단계 - 인구 (32세~41세) 인구

  • 혼인과 출산율이 높은 33세~39세 사이의 인구수가 크게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 이 부분은 살펴볼 필요가 있다. )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2,339 2,268 4,607 97.0%

32세~41세 연령, 성별 인구수

 

  • 아래 표는 ;전남 화순군의 32세~39세 연령대 인구의 2014년 1월 ~ 2025년 1월까지의 인구수 변화다.
  • 다행히 최근인 2024년 4월부터 이 연령대 인구가 소폭 증가했다.

전남 화순군 32세~39세 연령대 총 인구수의 장기간 변화

 

5) 생산연령 3단계 - 인구 (42세~51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3,875 3,707 7,582 95.7%

42세~51세 연령, 성별 인구수

 

 

6) 생산연령 4단계(은퇴연령) - 인구 (52세~64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8,303 7,102 15,405 85.5%

52세~64세 연령, 성별 인구수

 

 

7) 전기 고령인구 (65세~74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4,758 4,435 9,193 93.2%

전기 고령인구의 성별, 연령별 인구수

 

 

7) 후기 고령인구 (75세 이상) 인구

  • 후기 고령인구에서 100세는 100세를 포함하여 그 이상의 연령 인구수를 의미한다.
  • 후기 고령인구에서 여성인구 비율이 크게 증가하며, 전남 화순군은 총인구에서 여성인구수가 남성보다 많은 지역이다.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3,308 6,334 9,642 191.5%

후기 고령인구의 성별, 연령별 인구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