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와 주택통계/전라도 인구와 주택

전북 완주군 인구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2025년3월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4. 27. 22:10
반응형

본 통계보고서는 통계청의 2025년 3월 말 주민등록인구수와 행정안전부의 세대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대한민국 전라북도에서 유일하게 인구수가 증가하고 있는 완주군 인구수를 기준으로 하며, 여성인구수를 기준으로 인구문제의 근본적인 이유를 찾고자 작성하는 것입니다.

 

완주군 장기 인구수 추계( 2008년 1월 ~ 2025년 3월)

 

이번 문서부터 각 시군구의 유소년, 고령인구와 생산연령의 부양비율을 산출하여 각 시군구의 생산연령대 인구의 삶의 무게를 살펴보는 시도를 포함하며, 매월 전국평균과 비교하도록 한다.

 

 

1. 전북 완주군 인구피라미드와 주요 특징

1) 전북 완주군 인구피라미드

  • 인구 구조는 좋지만, 총인구수는 적다.
  • 0~1세 인구수를 주목해야 한다. 비쭉 튀어나온 이들은 완주군의 미래를 바꿀지 모를 세대들이다.
  • 다만 여성인구수가 학령인구에서 생산연령 전반에 걸쳐 매우 적다. ( 기업 유치에 있어서 IT, 서비스개발 및 여성 일자리를 중점적으로 증가시킬 필요성이 높다. )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51,259 48,560 99,819 94.7%

전라북도 완주군 인구피라미드-통계청 2025년3월 말

 

 

2) 주요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 전북 완주군의 인구비율은 나쁘지 않다. 가장 많은 인구비율은 52세~64 세이잠, 42세~51세와 65세~74세 인구 비율 좋다.
  • 더구나 7세~21세 인구비율이 12.6%로 매우 긍정적 인구 구성으로 보인다.
  • 전라북도에서 0세~6세 영유아 인구가 3.7%로 높은 편이다. ( 이 인구 구성에서 학령인구가 12.6% 보다 더 늘어날 필요성 )
  • 22세~31세 인구가 계속 성장하려면 학령인구인 7세~21세가 완주군에 정주해야할 필요가 있다.

전북 완주군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3) 고령화율

  • 전북 완주군의 고령인구수는 25,660명으로 총 인구수 대비 25.7%의 높은 고령화율 보임.
고령화율 총인구 65세이상 고령비율
99,819 25,660 25.7%

 

 

4) 여성인구와 양육비율

  • 여성인구에서 출산 및 양육을 실제로 할 수 있는 연령은 기준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 다만, 현실적으로 25세 미만과 60세 초과연령에서 가능성을 낮게 생각한다. (또한 남성 홀로 자녀를 키우는 조건도 배제)
  • 오직 해당연령대 여성인구가 21세 이하 인구를 양육하고 있다고 가정한 양육비율이다.
여성인구 여성 25세~60세 21세이하 총인구 양육비율
22,284 16,289 73.1%

 

 

  • 통계적 가임기 여성인구(15세~49세)는 다소 비현실적이다.
  • 다만 이는 다른 여타 통계와의 비교를 위한 수단으로써 표시한다. 
가임기 여성인구 총인구 가임기여성 여성인구비율
99,819 17,710 17.7%

 

 

 

2. 전북 완주군 세대수와 부양비율

1) 전북 완주군 행정동별 총 인구와 세대수

  • 삼례읍과 봉동읍, 용진읍에 인구가 집중되어 있다. ( 차라리 이렇게 집중된 게 나은 환경이다. )
  • 사회간접자본과 병의원등이 인구 집중지역에 더 집적되어야 한다. ( 학령인구에 대한 인근 대학진학과 수준 높은 교육이 필수 )
  • 이들이 이곳에 정주하며 새로운 일자리를 만들어 낼 자립기반과 창업지원이 필요하다. ( 기반이 없기 때문이다. )

행정동별 총인구수와 세대수( 세대당 인구수 )

 

행정구역 2025년03월_총인구수 2025년03월_세대수 2025년03월_세대당 인구
삼례읍 21,977 11,242 1.95
봉동읍 24,204 10,923 2.22
용진읍 10,811 5,319 2.03
상관면 3,990 2,062 1.94
이서면 15,241 7,480 2.04
소양면 5,620 2,921 1.92
구이면 5,509 2,940 1.87
고산면 4,289 2,296 1.87
비봉면 1,725 995 1.73
운주면 1,865 1,150 1.62
화산면 2,600 1,335 1.95
동상면 1,045 601 1.74
경천면 943 558 1.69

 

 

2) 유소년 부양비율, 고령인구 부양비율 및 총 부양비율

  • 유소년(0세~14세)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낮으면 유소년이 적다는 것 )
  • 고령인구(65세 이상)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높으면 고령인구가 많다는 것 )
  • 합계부양(유소년+고령인구)은 생산연령인구가 짊어진 삶의 무게와도 같다.
  • 유소년 부양비율은 전국 평균보다 높다. ( 인구가 적을 뿐, 상당한 사람들이 자녀들을 양육하고 있다는 것이다. )

유소년 부양비와 고령인구 부양비, 총 부양비율

 

 

반응형

3. 전북 완주군 성별, 연령별 인구수

1) 영유아(0세~6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1,903 1,795 3,698 94.3%

완주군 연령, 성별 영유아 인구수

 

 

2) 학령인구(7세~21세) 인구

  • 19세부터 완주군을 이탈하는 것으로 보인다. ( 특히 여성인구가 완주군을 떠나는 것으로 보인다. )
  • 이 시기의 여성인구들은 대게 대학 진학을 위해서 지역을 떠나게 된다. ( 다만 이와 반대로 남성인구수는 일정수준 유지 )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6,549 6,042 12,591 92.3%

완주군 연령, 성별 학령인구 인구수

 

 

3) 생산연령 1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 22세에서 64세까지 여성인구수는 남성보다 상당히 비율상 적다.
  • 여성들이 이 지역에서 정주할 일자리가 부족하거나 외지에서 혼인을 통해서 완주군으로 전입된 것으로 판단된다.
  • 혹은 외지에서 완주군으로 가족단위 전입되었을 가능성도 높다. ( 일정 비율로 여성인구수가 10%이상 남성보다 적다. )
  • 이 연령대 여성인구수가 계단식으로 상승하고 있는데, 이는 외지에서 전입한 것으로 판단된다. ( 그 이전 연령대인 22세가 해당 연령대에서 가장 적은 인구수인데, 이 시기 여성인구가 정주한 상태로 연령이 증가한 것으로 보이지 않는다. )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5,352 4,406 9,758 82.3%

완주군 22세~31세 연령, 성별 인구수

 

4) 생산연령 2단계 - 인구 (32세~41세) 인구

  • 매우 안정적인 연령대별 인구수를 보인다. ( 다만 이 연령대 인구수가 너무 적다. )
  • 이 연령대의 대부분의 가정에서 아이를 양육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유소년과 학령인구 대부분이 이 연령대에서 양육되고 있을 것이다. ( 그리고 이들은 앞서 살펴봤던 삼례읍, 봉동읍, 이서면 등에 거주할 것으로 추측한다.)
  • 양육 자녀에 대한 교육 수요가 있을 것이다.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5,710 5,285 10,995 92.6%

완주군 32세~41세 연령, 성별 인구수

 

 

5) 생산연령 3단계 - 인구 (42세~51세) 인구

  • 2차 베이비붐 끝세대의 인구수가 확연히 다른 모습의 인구수다. ( 800명 이상 )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7,638 6,648 14,286 87.0%

완주군 42세~51세 연령, 성별 인구수

 

 

6) 생산연령 4단계(은퇴연령) - 인구 (52세~64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12,397 10,434 22,831 84.2%

완주군 52세~64세 연령, 성별 인구수

 

 

7) 전기 고령인구 (65세~74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7,221 6,815 14,036 94.4%

완주군 전기 고령인구의 성별, 연령별 인구수

 

 

7) 후기 고령인구 (75세 이상) 인구

  • 평균 수명과 별개로 남성인구수는 79세를 기준으로 여성인구수 보다 급격히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이전 연령대에서 남성인구가 여성보다 1.3배 이상 많았지만 고령층에서 여성인구수가 남성인구보다 1.5배 많다는 것은 그 만큼이나 남성인구가 고령에서 사망자가 많다는 것이다.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4,489 7,135 11,624 158.9%

완주군 후기 고령인구의 성별, 연령별 인구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