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4년 7월 4일 주민등록인구수 자료를 기준으로 충청남도 예산군의 2024년 6월 주민등록인구수를 인구 피라미드와 인구의 성별, 연령대별 인구수를 비교하고, 주요 연령대별 구분 인구수를 분석한다. -영유아, 학령인구, 혼인율 높은 연령대, 생산가능인구, 고령인구별로 구분하여 인구수 비율을 분석합니다.
[Report Version - 240616] 충청남도 예산군
1. 예산 인구 피라미드 구성과 주택 가격
1) 인구피라미드와 최다 연령의 성, 연령 인구수
[1] 총 연령대별 인구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는 성별, 연령별 인구수
[2] 중심축을 기준으로 왼편 붉은색은 여성, 오른편 남색은 남성. ( 여성인구의 마이너스 표시는 무시하십시오. )
[3] 아래의 표는 전 연령에서 가장 인구수가 많은 대표 연령과 인구수를 표시합니다.
여성 63세 | 남성 63세 |
1,051명 | 1,024명 |
2) 예산군 주택유형별 매매, 전세 평균가격 (2024년 5월 기준)
[1] 2024년 5월 마감 자료기준 ( 국토부실거래가 2024. 5 )
- 예산군에서 주택의 거래량은 매우 저조할 것으로 예상된다.
- 아래 표는 예산군의 2024년 5월 주택거래 평균가격(매매, 전세) 시세다.
군구 | 다가구 | 빌라 | 아파트 | 오피스텔 |
매매평균가 | 12,134 | 5,958 | 10,295 | |
전세평균가 | 3,250 | 4,150 | 12,393 | 6,500 |
2. 예산군 인구피라미드 변화와 연령대 구분 비율
*통계청 2024. 7. 4 공개 : 주민등록인구수-시군구-1세 단위 ( 통계기간 2024년 6월 인구수 )
1) 연령대 구분과 인구수, 비율
2) 연령대별 성 비율 증감
3) 지역내 과거 인구와 최근 인구수 비교(동월비교)
[1] 10년 전과 비교해보면, 10년전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던 53세는 지역에 남았으나, 이 연령을 중심으로 두고 그 이하의 연령대와 그 이상의 연령대에서 인구가 상당히 많이 감소한 것이 눈에 들어온다.
[2] 아래 도표는 2014년 1월과 비교한 2024년 1월의 인구피라미드 비교표 ( 10년전 비교 )
- 0을 기준으로 윗부분은 해당 연령과 성별로 인구가 증가한 것이고, 반대의 경우 2012년 대비 감소한 것이다.
2014년 1월 피라미드 | 2024년 1월 피라미드 |
![]() |
![]() |
[3] 예산군 총인구와 65세 이상 인구수와 비율 ( 고령화율 34.67% )
통계연월 | 고령인구 | 총인구 | 고령화율 |
24년5월 | 27,152 | 78,324 | 34.67% |
3. 예산군 연령대 구분 분석
(1) 총 인구수와 성비율
[1] 예산군 전체의 인구에서 남성인구대비 여성인구수 비율이 99.4%로 전연령대에서 여성인구수가 부족하다.
[2] 예산군은 특히 18세 경부터 62세까지 여성인구 비율이 남성보다 매우 적다.
- 고령층 여성으로 간신히 비율은 비슷해 보이는 수준이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39,286 | 39,038 | 78,324 | 99.4% |
(2) 영유아 인구수와 성비율 (0세~6세)
영유아보육법 [ 시행 2024. 2. 17 ]
제2조(정의) 1항 : "영유아"란 7세 이하의 취학 전 아동을 말한다.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7세 이하를 영유아에 포함하려 했으나, 통상적으로 만7세는 기존 우리나라의 나이에서 8세 연령대에 속하여 취학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따라서 본 통계의 영유아 연령은 영아와 유아의 연령대를 0세~6세까지로 하여 집계한다.
[1] 예산군에서 연령별 여성의 인구비율이 남성보다 97.5%로 적은 편이다. ( 정상범위다. )
[2] 지역 전체 영유아 인구수는 2,119명으로 지역 주민등록 인구수 대비 2.7% 수준이다. ( 매우 낮은 수준이다.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073 | 1,046 | 2,119 | 97.5% |
(3) 7세~21세 : 학령인구 인구수와 남녀 성비율
본 연령대에서 구분되는 구분
1) 생산가능인구(15세부터), 2) 학령인구, 3) 여성의 경우 통계상의 가임기(15세부터)
[1] 영유아 시기에는 정상범주에 속했던 성비율이 무너지기 시작한다.
- 중학교 입학시기인 12세~13세와 고등학교 입학시기인 16세~17세, 대학 입학시기인 19세~21세에 여성인구가 이탈.
- 주요 진학시기에 예산군을 떠날 수 밖에 없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2] 현재 이 연령대의 인구로 학교들이 운영 가능할 지 생각해 봐야 할 것 같다.
[3] 이 지역에서 학령인구에 속하는 연령대의 인구비율은 9.8%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4,024 | 3,679 | 7,703 | 91.4% |
(4-1) 22세~31세 인구와 남녀 성비율
본 연령대는 많지는 않으나 혼인율이 서서히 올라가는 시기다. ( 취업 및 취업활동이 시작되는 시기 )
- 혼인율이 서서히 발생하는 시기이며, 실제 생산가능인구로 들어서는 시기라 할 수 있다.
[1] 가장 젊고 활기찬 시기의 연령대의 인구비율은 매우 적다. 또한 이 시기 성비율은 매우 악화된다.
- 2024년 6월 주민등록상에서 조금 특이한 27세 여성인구가 유독 많다.
- 이 연령대의 여성은 대학을 졸업하고 취업한 지 2~3년의 경력자일 것으로 보인다.
( 증가원인이 학교 선생님일 수 있다. )
[2] 이 지역에서 생산가능인구 초반 연령대의 인구비율은 7.64%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3,361 | 2,623 | 5,984 | 78.0% |
(4-2) 32세~41세 인구와 남녀 성비율
본 시기는 생산가능인구 시기에서 가장 왕성한 활동이 기대되는 시기다.
- 특히 본 연령대에서 여성은 31~32세, 남성은 32~34세 연령대에서 혼인율이 가장 높다.
[1] 전반적이고, 추세적으로 해당 연령대의 39세로 갈수록 인구수가 줄어드는 것은 경향적이다.
[2] 독신 남성들이 많을 것으로 보인다. 이 인원을 기준으로 영유아 인구를 본다면 결코 적은 아이들이 아니다.
- 영유아의 부모세대의 숫자가 턱없이 부족한 상황에서 많은 편이란 의미다.
[3] 이 지역에서 생산가능인구이며, 가장 많은 혼인율을 나타내는 연령대의 인구비율은 8.42%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3,538 | 3,055 | 6,593 | 86.3% |
(5) 42세~51세 인구와 성비율 (생산가능인구)
1) 통계청의 '2023년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 조사' - 중장년 주된 직장 퇴직 연령 평균 49.4세
2) 여성 가임기 통계 49세 ( 가임기 연령구분 : 15세 ~ 49세 )
[1] 1980년생인 현재 45세~48세에서 1979년과 달리 인구수가 떨어진 모습. - 타지역 비교
[2] 송파구 여성인구수는 23세부터 100세 이상까지 여성인구가 남성인구수 보다 높다.
[3] 이 지역에서 중장년 연령대의 인구비율은 12.3%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5,241 | 4,399 | 9,640 | 83.9% |
(6) 52세~61세 인구와 성비율 (생산가능인구-통계상 퇴직 연령은 49.9세)
[1] 중장년을 넘어서며 연령대별 인구수도 증가하고, 여성의 숫자도 그 이전의 연령대와 차별화된 모습이다.
[2] 하지만 여전히 남성인구 비율이 높으며, 상당히 많은 남성은 홀로 살고 있다.
[3] 이 지역에서 생산가능인구 커트라인까지 해당하는 연령대의 인구비율은17.2%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7,233 | 6,221 | 13,454 | 86.0% |
(7) 62세~71세 인구와 성비율 (고령층과 예비 고령층)
향후 5년 이내에 고령층에 편입될 예비 고령층의 성비와 인구수를 추정하여 5년내에 고령층을 조견한다.
[1] 국민연금 수령세대이자, 은퇴 혹은 고령자 취업 등으로 살아가야 하는 시기
[2] 예산군의 중심연령대다.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고 있으며, 드디어 성비율이 100%를 넘어서며 여성이 많다.
[3] 이 지역에서 연령대의 인구비율은20.6%다.
[4] 2년 후, 현재 63세의 연령대가 65세인 고령층에 진입하게 되면, 고령화율은 40%를 넘어서게 된다.
- 현재 기준으로 딱히 이 추세를 막을 방법도 여력도 없어 보인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8,031 | 8,078 | 16,109 | 100.6% |
(8) 72세~84세 인구와 성비율
통계상 초고령인구는 85세부터 통계 분류가 된다. 그 이전의 연령대의 고령인구를 구분한다.
[1] 학회지나 연구 논문에서 말하는 초고령노인의 기준은 85세. ( 하지만 본 문서에서는 81세 이상으로 구분함 )
[2] 본 연령대의 고령인구 비율은 15.9%다.
[3] 62세 이후의 인구대에 비정상적인 쏠림이 있다. ( 이는 그 이하 연령의 세대가 예산군을 떠났기 때문이다. )
- 현재 62~63세 인구는 그 사이 왜 예산군을 떠나지 않았을지 궁금하지만, 아마도 1차산업 특성상 자녀세대들을 도시로 보내고 부모 세대가 지역을 지키고 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5,483 | 6,979 | 12,462 | 127.3% |
(9) 85세 이상 초고령 인구와 성비율
통계상 초고령인구
[1] 학회지나 연구 논문에서 말하는 초고령노인의 기준은 85세. ( 하지만 본 문서에서는 81세 이상으로 구분함 )
[2] 85세 이상 초고령 노인비율은 5.44%다. ( 매우 높은 초고령 비율이다.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302 | 2,958 | 4,260 | 227.2% |
'인구와 주택통계 > 충청도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청북도 시군구별 총인구수와 세대수(2024년10월) (0) | 2024.12.02 |
---|---|
충청남도 시군구별 총 인구수와 지역별 인구 분포도 (0) | 2024.12.01 |
충청남도 금산군 인구 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 분석 (0) | 2024.06.26 |
충남 서산시 인구 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 분석 (0) | 2024.06.26 |
충청남도 당진시 인구 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 분석 (2) | 2024.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