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광역시와 세종시 주택분석/특례 및 광역시 인구와 주택

2025년 2월 경상남도 시군구별 인구수 전년비교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3. 15. 23:01
반응형

통계청 시군구 주민등록인구수정보 2025년 2월 말 기준 경상남도의 총인구수 변동을 시군구별로 살펴본다. 이번부터 시군구의 인구수에서 주요한 연령대와 그로 인한 주택의 시세를 실시간으로 살펴볼 수 있는 사이트 자료가 함께 제공되므로, 이 정보와 함께 지역에서의 거주와 주택 임대에 따른 시세도 살펴볼 수 있도록 할 것이다.

 

http://ingu.popin.kr/

 

부동산 마이크로데이터

부동산 마이크로데이터 아파트 거래량,시세(인구와 세대수정보) 빌라 거래량,시세(인구와 세대수) 오피스텔 거래량,시세(인구와 세대수) 다가구 거래량,시세(인구와 세대수) 전국 시군구 중요

ingu.popin.kr

 

1. 경상남도 시군구별 인구수 2025년 2월

1) 경상남도 전체 지역과 시군구별 인구수 현황

  • 1년전인 2024년 2월에 비해서 총인구수는 -23,100명 감소했다.
  • 경상남도 총 22개 시군구에서 경남 양산시만 유일하게 총 인구수가 전년에 비하여 4,571명 증가했다.
  • 이외 나머지 모든 시군구에서 인구수가 감소했다. 
  • 양산시, 김해시, 창원시 진해구 등은 부산을 접하고 있는 지역으로 서울로 봤을 때, 경기도와 같은 역할인 지역이다.
  • 경상남도 총인구수는 2025년 2월 기준 : 3,221,132명 ( 전년 2024년 2월 3,244,232명 대비 -23,100명 감소 )

2025년 2월 주민등록인구수 기준 경상남도 시군구별 인구

 

 

2) 경상남도 전체 지역과 시군구별 전년 대비 인구수 비교

  • 창원시 진해구, 창원시 의창구에서 가장 많은 인구 감소가 나타났다.
  • 창원시 의창구 -2845명 감소, 창원시 진해구 -2699명 감소
  • 경상남도 고령인구의 사망에 의한 자연감소가 있었겠으나, 그만큼 인구의 유입이 있었기 때문에 감소가 적었다고 보인다.
시점 2025년2월 2024년2월 변동
거제시 232,095 233,531 -1,436
거창군 59,452 59,851 -399
고성군 47,719 49,196 -1,477
김해시 531,188 533,236 -2,048
남해군 39,598 40,549 -951
밀양시 100,290 101,806 -1,516
사천시 108,107 108,978 -871
산청군 33,141 33,692 -551
양산시 359,984 355,413 4,571
의령군 25,000 25,395 -395
진주시 338,505 340,053 -1,548
창녕군 55,797 56,891 -1,094
창원시 마산합포구 177,483 178,910 -1,427
창원시 마산회원구 178,965 180,552 -1,587
창원시 성산구 243,386 244,115 -729
창원시 의창구 209,698 212,543 -2,845
창원시 진해구 187,774 190,473 -2,699
통영시 117,944 119,963 -2,019
하동군 40,574 41,385 -811
함안군 58,599 59,975 -1,376
함양군 35,895 36,726 -831
합천군 39,938 40,999 -1,061
 총계 3,221,132 3,244,232 -23,100

 

반응형

3) 경상남도 양산시, 창원시 성산구, 창원시 의창구 인구 추이

  • 경상남도 전체 시군구 22개에서 양산시, 창원시 성산구, 창원시 의창구를 제외하면 모두 인구수 우하향.
  • 총인구수 우하향에서 그 속도가 빠른지, 조금 덜 빠른지의 차이만 있을 뿐이었다.
  • 양산시와 창원시 성산구에서는 2024년 5월 주변에 대량의 아파트, 주택 등이 공급된 것인지 모르나 인구의 유입이 있었다.

 

  • 경남 양산시 2024년 5월이후 인구수가 꾸준히 증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경남 양산시 2024년2월 ~ 2025년 2월 인구변화

 

  • 창원시 성산구 역시 2024년 5월부터 인구수가 증가했다. 하지만, 2024년 8월 정점을 찍은 후 2025년 연초에 인구가 급하게 감소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연초에 인구가 급하게 감소하는 것은 학령인구의 진학이나, 취업등의 사유로 인한 타 지역으로의 이주와 인구의 사망등에 의한 자연감소의 영향일 수 있다. 
  • 성산구에 급격한 인구유입과 5개월이 넘는 기간동안 꾸준한 감소.(인구 자연감소에 의한 것으로 고령사망추정)

경남 창원시 성산구 2024년2월 ~ 2025년 2월 인구변화

 

 

  • 인구 감소가 2024년 10월에 멈췄다. 

경남 창원시 의창구 2024년2월 ~ 2025년 2월 인구변화

 

 

4) 경상남도 전체 생애주기별 인구수 증감

  • 경상남도 전체적으로 생산연령(15세 ~ 64세) 이하 인구는 모두 감소했고, 고령인구(65세 이상)는 증가했다.
  • 특히 경남 양산시는 젊은 사람들보다 고령인구가 크게 증가했다. ( 고령인구 4559명 증가 )
  • 또한 유소년 인구수가 가장 크게 감소한 지역은 경남 김해시로 1년 전에 비하여 유소년 인구가 -3000명 감소했다.
  • 고령인구수가 가장 크게 증가한 지역은 경남 김해시로 1년전에 비하여 5548명 증가했다.
  • 경남 의령군은 유소년 인구수가 -65명 감소로 가장 적게 감소했다.( 하지만 총 유소년 인구수가 1413명뿐이다. )

경상남도 전년대비 인구수 증감 ( 생애주기별 인구 분류 )

 

  • 확실한 것은 젊은 인구수가 매우 빠르게 감소하고 있다는 것이다.
  • 유소년 인구가 감소한 것은 연령이 14세에서 15세가 되며 생산연령으로 통계가 바뀌는 것인데, 자연증가요인이 있음에도 생산연령의 감소가 더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이다.
  • 유소년 인구수가 감소하는 것은 지역내에서 태어나는 신생아가 연령이 증가하여 유소년 통계에서 빠지는 인구수를 채워주지 못할 수준이라는 것이다. ( 즉, 태어나진 않고 나이는 들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
시점 유소년 생산연령 고령인구
거제시 -2,181 -1,912 2,657
거창군 -209 -818 628
고성군 -281 -1,552 356
김해시 -3,000 -4,596 5,548
남해군 -173 -963 185
밀양시 -444 -2,331 1,259
사천시 -810 -1,034 973
산청군 -138 -758 345
양산시 -977 989 4,559
의령군 -65 -532 202
진주시 -1,461 -3,188 3,101
창녕군 -256 -1,592 754
창원시 마산합포구 -796 -2,851 2,220
창원시 마산회원구 -750 -3,045 2,208
창원시 성산구 -507 -3,408 3,186
창원시 의창구 -1,263 -4,214 2,632
창원시 진해구 -1,828 -2,611 1,740
통영시 -1,161 -2,361 1,503
하동군 -191 -1,004 384
함안군 -549 -1,430 603
함양군 -201 -863 233
합천군 -161 -1,140 240
소계 -17,402 -41,214 35,5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