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아파트와주택분석/경기도 인구와 주택

경기 성남시 분당구 인구피라미드와 인구수의 연령, 성별 특징 보고서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1. 20. 19:32
반응형

본 통계보고서는 통계청의 2024년 12월 말 주민등록인구수와 행정안전부의 세대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대한민국 각 시군구별 인구수를 기준으로 하며, 여성인구수를 기준으로 인구문제의 근본적인 이유를 찾고자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번 문서는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의의 유소년 부양비율, 고령인구 부양비율을 산출하여 각 시군구의 생산연령대 인구의 삶의 무게를 살펴보는 시도를 포함하며, 매월 전국평균과 비교하도록 한다.

 

 

1. 경기 성남시 분당구 인구피라미드와 주요 특징

1) 경기 성남시 분당구 인구피라미드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228,331 242,823 471,154 106.3%

경기 성남시 분당구 인구피라미드-통계청 2024년12월 말

 

 

2) 경기 성남시 분당구 주요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 경기 성남시 분당구 중요 연령은 42세~64세 연령대의 인구로 해당 연령대 인구수 비율은 37.4%(175,924명)
  • 0세~21세의 피양육자 인구수 93,166명이다. ( 뒷세대인 22세~31세의 연령대로 비교하면 46,583명이 된다. )
  • 영유아의 증가가 멈추고 오히려 이 연령대 인구가 감소하기 시작했다는 의미다. ( 분당 이사 올 젊은 사람이 적다는 뜻 )

경기 성남시 분당구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3) 경기 성남시 분당구 고령화율

  • 경기 성남시 분당구의 고령인구수는 73,855명으로 총 인구수 대비 15.7%의 고령화율 보임.
고령화율 총인구 65세이상 고령비율
471,154 73,855 15.7%

 

 

4) 경기 성남시 분당구 여성인구수와 양육비율

  • 연령대를 25세~60세로 한 이유는 출산, 혼인연령이 집중되는 20대 후반 ~ 30대 초반의 출산과 60세까지 양육 때문.
  • 현재까지 경북 문경, 성남시 분당구를 비교했을 때, 분당구의 양육비율은 상대적으로 낮다. ( 인구대비 양육 적음. )
여성인구 25세~60세 21세이하 양육비율
135,876 93,166 68.6%

 

 

  • 통계적 가임기 여성인구(15세~49세)는 다소 비현실이지만, 통계 기준이므로 적용해 본다.
  • 해당 통계적 연령대의 인구수는 상당히 많다. 
여성인구 총인구 가임기여성 여성인구비율
471,154 116,291 24.7%

 

 

 

2.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세대수와 부양비율

1) 경기 성남시 분당구 행정동별 총 인구와 세대수

행정동별 총인구수와 세대수( 세대당 인구수 )

행정구역 총인구수 세대수 세대당 인구
분당동 24,497 10,054 2.44
수내1동 17,801 7,837 2.27
수내2동 10,455 3,203 3.26
수내3동 13,300 5,118 2.6
정자동 13,977 6,301 2.22
정자1동 30,148 13,978 2.16
정자2동 14,277 7,261 1.97
정자3동 16,698 6,620 2.52
서현1동 30,904 12,662 2.44
서현2동 17,469 6,569 2.66
이매1동 24,794 9,038 2.74
이매2동 12,998 4,406 2.95
야탑1동 16,647 7,538 2.21
야탑2동 15,703 6,011 2.61
야탑3동 26,215 12,514 2.09
판교동 26,572 9,035 2.94
삼평동 23,777 9,083 2.62
백현동 26,472 10,466 2.53
금곡동 26,904 12,034 2.24
구미1동 16,182 7,014 2.31
구미동 28,182 12,524 2.25
운중동 37,182 13,582 2.74

 

 

2) 경기 성남시 분당구 유소년 부양비율, 고령인구 부양비율 및 총 부양비율

  • 유소년(0세~14세) 부양비율은 전국 평균보다 높다. ( 이 시기 아이들이 많다 )
  • 고령자(65세 이상) 부양비율은 전국 평균의 절반 이하다. ( 고령인구가 적다. )
  • 합계 부양비에서 전국평균보다 높은 합계 부양비율을 보이고 있다. ( 이 부분은 생산연령인구 감소로 이해된다. )

유소년 부양비와 고령인구 부양비, 총 부양비율

 

 

반응형

3. 경기 성남시 분당구 성별, 연령별 인구수

1) 영유아(0세~6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9,963 9,452 19,415 94.9%

연령, 성별 영유아 인구수

 

 

2) 학령인구(7세~21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37,649 36,102 73,751 95.9%

연령, 성별 학령인구 인구수

 

 

3) 생산연령 1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30,552 30,291 60,843 99.1%

22세~31세 연령, 성별 인구수

 

4) 생산연령 2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32,543 34,823 67,366 107.0%

32세~41세 연령, 성별 인구수

 

 

5) 생산연령 3단계 - 인구 (42세~51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38,553 43,269 81,822 112.2%

42세~51세 연령, 성별 인구수

 

 

6) 생산연령 4단계(은퇴연령) - 인구 (52세~64세) 인구

  • 58세~64세까지 매우 정형화된 인구 구조를 가지고 있다. 
  • 고령 대기자들은 대부분의 경우 지역 이동에서 매우 보수적인 경향을 띤다. ( 결국 이들은 이 지역에 머무른다. )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45,702 48,400 94,102 105.9%

52세~64세 연령, 성별 인구수

 

7) 전기 고령인구 (65세~74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20,665 22,119 42,784 107.0%

전기 고령인구의 성별, 연령별 인구수

 

 

7) 후기 고령인구 (75세 이상)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12,704 18,367 31,071 144.6%

후기 고령인구의 성별, 연령별 인구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