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아파트와주택분석/경기도 인구와 주택

경기 수원시 영통구 인구피라미드와 인구의 연령, 성별 특징 보고서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1. 20. 14:32
반응형

본 통계보고서는 통계청의 2024년 12월 말 주민등록인구수와 행정안전부의 세대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대한민국 각 시군구별 인구수를 기준으로 하며, 여성인구수를 기준으로 인구문제의 근본적인 이유를 찾고자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번 문서부터 각 시군구의 유소년, 고령인구와 생산연령의 부양비율을 산출하여 각 시군구의 생산연령대 인구의 삶의 무게를 살펴보는 시도를 포함하며, 매월 전국평균과 비교하도록 한다.

 

 

1. 경기 수원시 영통구 인구피라미드와 주요 특징

1) 경기 수원시 영통구 인구피라미드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180,977 180,328 361,305 99.6%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인구피라미드-통계청 2024년12월 말

 

 

2) 주요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 매우 두터운 인구구조 ( 7세~64세까지 학령인구와 생산연령인구 비율이 두텁다. )
  • 이 연령대의 인구는 영통구 전체 인구수의 85.5%로 절대적이다.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3) 고령화율

  • 경기 수원시 영통구의 고령인구수는 34,874명으로 총인구수 대비 9.7%에 불과한 젊은 도시.
고령화율 총인구 65세이상 고령비율
361,305 34,874 9.7%

 

 

4) 여성인구와 양육비율

  • 여성인구에서 출산 및 양육을 실제로 할 수 있는 연령은 기준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 다만, 현실적으로 25세 미만과 60세 초과연령에서 가능성을 낮게 생각한다. (또한 남성 홀로 자녀를 키우는 조건도 배제)
  • 오직 해당연령대 여성인구가 21세 이하 인구를 양육하고 있다고 가정한 양육비율이다.
여성인구 25세~60세 21세이하 양육비율
108,176 76,804 71.0%

 

  • 통계적 가임기 여성인구(15세~49세)는 다소 비현실적이다.
  • 다만 이는 다른 여타 통계와의 비교를 위한 수단으로써 표시한다.
여성인구 총인구 가임기여성 여성인구비율
361,305 97,552 27.0%

 

 

 

2. 경기 수원시 영통구 세대수와 부양비율

1) 경기 수원시 영통구 행정동별 총 인구와 세대수

행정동별 총인구수와 세대수( 세대당 인구수 )

 

행정구역 총인구수 세대수 세대당 인구
매탄1동 11,443 5,142 2.23
매탄2동 13,629 6,380 2.14
매탄3동 34,207 15,641 2.19
매탄4동 19,784 9,444 2.09
원천동 45,637 21,245 2.15
영통1동 32,840 12,566 2.61
영통2동 25,049 13,390 1.87
영통3동 31,455 13,985 2.25
망포1동 31,484 11,432 2.75
망포2동 33,555 11,340 2.96
광교1동 53,732 23,203 2.32
광교2동 28,490 11,705 2.43

 

 

2) 유소년 부양비율, 고령인구 부양비율 및 총 부양비율

  • 유소년(0세~14세)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낮으면 유소년이 적다는 것 )
  • 고령인구(65세 이상)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높으면 고령인구가 많다는 것 )
  • 합계부양(유소년+고령인구)은 생산연령인구가 짊어진 삶의 무게와도 같다.
  • 다만, 해당 지역의 생산연령인구가 모두 고령(부모세대) 인구를 부양한다 단정할 수 없다. (유소년 마찬가지)

유소년 부양비와 고령인구 부양비, 총 부양비율

 

 

반응형

3. 경기 수원시 영통구 성별, 연령별 인구수

1) 영유아(0세~6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8,889 8,446 17,335 95.0%

연령, 성별 영유아 인구수

 

 

2) 학령인구(7세~21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30,578 28,891 59,469 94.5%

연령, 성별 학령인구 인구수

 

 

3) 생산연령 1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30,498 28,123 58,621 92.2%

22세~31세 연령, 성별 인구수

 

4) 생산연령 2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30,394 29,200 59,594 96.1%

32세~41세 연령, 성별 인구수

 

5) 생산연령 3단계 - 인구 (42세~51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31,929 33,254 65,183 104.1%

42세~51세 연령, 성별 인구수

 

 

6) 생산연령 4단계(은퇴연령) - 인구 (52세~64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32,981 33,248 66,229 100.8%

52세~64세 연령, 성별 인구수

 

7) 전기 고령인구 (65세~74세)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10,827 11,290 22,117 104.3%

전기 고령인구의 성별, 연령별 인구수

 

7) 후기 고령인구 (75세 이상) 인구

남성(명) 여성(명) 총인구 여성비율
4,881 7,876 12,757 161.4%

후기 고령인구의 성별, 연령별 인구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