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통계보고서는 통계청의 2024년 12월 말 주민등록인구수와 행정안전부의 세대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대한민국 각 시군구별 인구수를 기준으로 하며, 여성인구수를 기준으로 인구문제의 근본적인 이유를 찾고자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번 문서부터 각 시군구의 유소년, 고령인구와 생산연령의 부양비율을 산출하여 각 시군구의 생산연령대 인구의 삶의 무게를 살펴보는 시도를 포함하며, 매월 전국평균과 비교하도록 한다.
1. 경상북도 문경시 인구피라미드와 주요 특징
1) 문경시 인구피라미드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33,041 | 34,216 | 67,257 | 103.6% |

2) 주요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 문경시의 경우 52세 이후 인구수 비율이 총인구수에서 60%

3) 고령화율
- 문경시의 고령인구수는 24,095명으로 총 인구수 대비 35.8%의 높은 고령화율 보임.
고령화율 | 총인구 | 65세이상 | 고령비율 |
67,257 | 24,095 | 35.8% |
4) 여성인구와 양육비율
- 여성인구에서 출산 및 양육을 실제로 할 수 있는 연령은 기준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 다만, 현실적으로 25세 미만과 60세 초과연령에서 가능성을 낮게 생각한다. (또한 남성 홀로 자녀를 키우는 조건도 배제)
- 오직 해당연령대 여성인구가 21세 이하 인구를 양육하고 있다고 가정한 양육비율이다.
여성인구 | 25세~60세 | 21세이하 총인구 | 양육비율 |
12,572 | 8,906 | 70.8% |
- 통계적 가임기 여성인구(15세~49세)는 다소 비현실적이다.
- 다만 이는 다른 여타 통계와의 비교를 위한 수단으로써 표시한다.
여성인구 | 총인구 | 가임기여성 | 여성인구비율 |
67,257 | 9,045 | 13.4% |
2. 경상북도 문경시 세대수와 부양비율
1) 문경시 행정동별 총 인구와 세대수

행정구역 | 총인구수 | 세대수 | 세대당 인구 |
문경읍 | 5,592 | 3,181 | 1.76 |
문경읍갈평 | 1,068 | 599 | 1.78 |
가은읍 | 3,031 | 1,823 | 1.66 |
가은읍북부 | 853 | 528 | 1.62 |
영순면 | 2,271 | 1,449 | 1.57 |
산양면 | 2,909 | 1,727 | 1.68 |
호계면 | 2,283 | 1,425 | 1.6 |
산북면 | 2,569 | 1,589 | 1.62 |
동로면 | 1,916 | 1,166 | 1.64 |
마성면 | 3,279 | 2,069 | 1.58 |
농암면 | 2,508 | 1,590 | 1.58 |
점촌1동 | 5,330 | 2,750 | 1.94 |
점촌2동 | 6,480 | 3,471 | 1.87 |
점촌3동 | 8,435 | 4,329 | 1.95 |
점촌4동 | 2,948 | 1,707 | 1.73 |
점촌5동 | 15,785 | 7,235 | 2.18 |
2) 유소년 부양비율, 고령인구 부양비율 및 총 부양비율
- 유소년(0세~14세)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낮으면 유소년이 적다는 것 )
- 고령인구(65세 이상)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높으면 고령인구가 많다는 것 )
- 합계부양(유소년+고령인구)은 생산연령인구가 짊어진 삶의 무게와도 같다.
- 다만, 해당 지역의 생산연령인구가 모두 고령(부모세대) 인구를 부양한다 단정할 수 없다. (유소년 마찬가지)

반응형
3. 경상북도 문경시 성별, 연령별 인구수
1) 영유아(0세~6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934 | 866 | 1,800 | 92.7% |

2) 학령인구(7세~2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3,817 | 3,289 | 7,106 | 86.2% |

3) 생산연령 1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773 | 2,124 | 4,897 | 76.6% |

4) 생산연령 2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644 | 2,355 | 4,999 | 89.1% |

5) 생산연령 3단계 - 인구 (42세~5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4,297 | 3,873 | 8,170 | 90.1% |

6) 생산연령 4단계(은퇴연령) - 인구 (52세~64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8,407 | 7,783 | 16,190 | 92.6% |

7) 전기 고령인구 (65세~74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6,094 | 6,620 | 12,714 | 108.6% |

7) 후기 고령인구 (75세 이상)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4,075 | 7,306 | 11,381 | 179.3% |

반응형
'인구와 주택통계 > 경상도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상북도 시군구 인구-2025년 2월 말 주민등록인구수 (0) | 2025.03.09 |
---|---|
경남 창원시 마산합포구 인구피라미드와 고령화 도시 (2) | 2024.12.25 |
경상북도 경산시 인구 연령별 피라미드와 성별 인구수 (6) | 2024.12.18 |
경북 경주시 인구수 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비율(교육도시) (3) | 2024.12.13 |
경상남도 시군별 총 인구수와 인구변화 분석-인구감소 속도가 빠르다 (0) | 2024.1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