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대 광역시와 세종시 주택분석/특례 및 광역시 인구와 주택

부산시 중구 인구피라미드와 연령, 성별 인구수 특징 보고서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2. 12. 10:40
반응형

본 통계보고서는 통계청의 2025년 1월 말 주민등록인구수와 행정안전부의 세대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부산광역시 중구에 대한 인구 보고서입니다. 
대한민국 각 시군구별 인구수를 기준으로 하며, 여성인구수를 기준으로 인구문제의 근본적인 이유를 찾고자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번 문서부터 각 시군구의 유소년, 고령인구와 생산연령의 부양비율을 산출하여 각 시군구의 생산연령대 인구의 삶의 무게를 살펴보는 시도를 포함하며, 매월 전국평균과 비교하도록 한다.
 
 

<요약>

  1. 부산시 중구는 10년 전인 2014년에 비하여 1만 명 이상 인구가 감소했다.
  2. 20~30대 젊은 남녀가 비율상 많이 거주하지만, 그들은 부산시 중구를 빠르게 "탈출"하고 싶어할 것이다.
  3. 부산시 중구의 영유아 인구비율은 전국 최하위라고 말해도 된다. ( 총인구대비 영유아 인구비율 1.0% -2025.1 기준 )
  4. 현재 부산시중구 영유아, 학령인구를 보면 이 지역의 공교육은 유지될 수 없다. ( 원거리 등하교, 학원 등 없을 것 )
  5. 아이를 낳고 키울 수 없도록 부산시와 중구가 방치한 지역이라고 단언한다.
부산시 중구 10여년 인구수 변화(2014년1월~2025.1)

 
 

1. 부산시 중구 인구수와 인구피라미드와 주요 특징

1) 부산시 중구  인구피라미드

  • 총 인구수가 37,469명으로 "구"로써의 인구수가 맞는지 의아한 지역구임.
  • 20~30대 남녀 인구가 많은 편이지만, 그들의 자녀 양육비율은 매우 낮다. 젊은 인구들이 이 지역에서 거주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거주비용이 저렴한 이유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남성(명)여성(명)총인구여성비율
18,20919,26037,469105.8%
부산시 중구 인구피라미드-통계청 2025년1월 말

 
 

2) 주요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 부산시 중구 의 경우 52세 이후 인구수 비율이 총인구수에서 55.6%
  • 경북 문경의 인구비율과 비슷하지만, 경북 문경은 학령인구수가 많고, 부산시 중구는 22~31세 청년층이 많다는 점.
  • 영유아 비율은 부산시 중구 전체 인구수 대비 1.0%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영유아 인구비율로 보인다.
부산시 중구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3) 부산시 중구 고령화율

  • 부산시 중구의 고령인구수는 12,206명으로 총인구수 대비 32.6%의 매우 높은 고령화율 보임.
고령화율총인구65세이상고령비율
37,46912,20632.6%

 
 

4) 여성인구와 양육비율

  • 여성인구에서 출산 및 양육을 실제로 할 수 있는 연령은 기준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 다만, 현실적으로 25세 미만과 60세 초과연령에서 가능성을 낮게 생각한다. (또한 남성 홀로 자녀를 키우는 조건도 배제)
  • 양육비율은 33.8%로 통상적인 일반 도시지역의 50%도 안 되는 수준의 지역이다. ( 절반이하도 안됨. )
여성인구25세~60세21세이하양육비율
8,5762,89733.8%

 
 

  • 통계적 가임기 여성인구(15세~49세)는 다소 비현실적이다.
  • 다만 이는 다른 여타 통계와의 비교를 위한 수단으로써 표시한다.
  • 가임기로 정한 연령대의 여성인구수 비율은 18.3%로 결코 낮지 않은 수준이다. ( 이는 결국 혼인을 하지 않은 여성 혹은 혼인을 했더라도 아이를 양육하지 않는 여성이 다수 살고 있다는 말과 다름이 없다. )
여성인구총인구가임기여성여성인구비율
37,4696,84618.3%

 
 
 

2. 부산시 중구  세대수와 부양비율

1) 부산시 중구  행정동별 총 인구와 세대수

  • 예상되었던 바와 같이 중구에서 각 세대당 평균 세대원은 2명이 되지 않는다. 
  • 자녀가 없는 1인세대가 대부분 부산시 중구에 거주하고 있다.
행정동별 총인구수와 세대수( 세대당 인구수 )

 

행정구역총인구수세대수세대당 인구
중앙동3,0642,4441.25
동광동2,3441,5531.51
대청동5,6283,4051.65
보수동10,0336,1171.64
부평동4,0752,5931.57
광복동8615291.63
남포동7965681.4
영주제1동4,3172,8581.51
영주제2동6,3513,4421.85

 
 

2) 유소년 부양비율, 고령인구 부양비율 및 총 부양비율

  • 유소년(0세~14세)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낮으면 유소년이 적다는 것 )
  • 고령인구(65세 이상)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높으면 고령인구가 많다는 것 )
  • 합계부양(유소년+고령인구)은 생산연령인구가 짊어진 삶의 무게와도 같다.
  • 다만, 해당 지역의 생산연령인구가 모두 고령(부모세대) 인구를 부양한다 단정할 수 없다. (유소년 마찬가지)
  • 유소년부양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2.5배 낮다. ( 아이를 거의 안 키우는 지역 )
  • 생산연령 중 청년층의 인구가 많아서 합계 부양비는 낮은 지역이다. ( 다만, 이 지역 고령층이 청년층의 부모는 아니다. )
유소년 부양비와 고령인구 부양비, 총 부양비율

 
 

반응형

3. 부산시 중구 성별, 연령별 인구수

1) 영유아(0세~6세) 인구

  • 보육과 향후 초등교육 시스템은 붕괴 수준일 것으로 예상됨.
  • 부산시 중구에서 아이를 낳는 것도 아이를 키우는 것도 이미 규모의 경제 범위를 벗어난 수준.
  •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가 유지될 수 없음. ( 있더라도 원거리 차량 이동을 통해서만 가능할 것. )
남성(명)여성(명)총인구여성비율
20918439388.0%
부산시 중구 영유아 인구 - 연령, 성별 영유아 인구수

 
 

2) 학령인구(7세~21세) 인구

  • 이쯤 되면 부산시청과 중구청등은 이 지역을 버린 것으로 봐야 한다.
  • 부산광역시에 엄연히 중구라고 되어 있는 지역의 학령인구 수준이 지방 읍면동 수준의 학령인구 수준이다.
남성(명)여성(명)총인구여성비율
1,1921,3122,504110.1%
연령, 성별 학령인구 인구수

 
 

3) 생산연령 1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 예상되던 대로 젊은 엿어인구수가 동년 남성인구보다 많은 편이다.
  • 이들은 혼인하지 않고, 중구에 거주하며 인근 지역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일 것이다. (빨리 벗어나고 싶어 할 것 같다. )
남성(명)여성(명)총인구여성비율
2,7482,7905,538101.5%
22세~31세 연령, 성별 인구수

 

4) 생산연령 2단계 - 인구 (32세~41세) 인구

  • 혼인률이 가장 높은 연령에서 여성들은 부산시 중구를 벗어난다.
  • 어떻게든 자산을 악착같이 모아서, 부산시 중구를 벗어나려 하는 것으로 보인다. ( 자녀를 키우기 매우 어려운 조건일 것이다.)
남성(명)여성(명)총인구여성비율
2,0251,7143,73984.6%
32세~41세 연령, 성별 인구수

 
 

5) 생산연령 3단계 - 인구 (42세~51세) 인구

  • 계속 거주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 자녀 양육과 무관한 가구일 가능성이 높다. )
  • 1인세대 혹은 2인부부 세대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남성(명)여성(명)총인구여성비율
2,4252,0494,47484.5%
42세~51세 연령, 성별 인구수

 
 

6) 생산연령 4단계(은퇴연령) - 인구 (52세~64세) 인구

남성(명)여성(명)총인구여성비율
4,3704,2458,61597.1%
52세~64세 연령, 성별 인구수

 
 

7) 전기 고령인구 (65세~74세) 인구

남성(명)여성(명)총인구여성비율
3,2363,7266,962115.1%
전기 고령인구의 성별, 연령별 인구수

 
 

7) 후기 고령인구 (75세 이상) 인구

남성(명)여성(명)총인구여성비율
2,0043,2405,244161.7%
후기 고령인구의 성별, 연령별 인구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