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통계보고서는 통계청의 2025년 1월 말 주민등록인구수와 행정안전부의 세대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부산광역시 중구에 대한 인구 보고서입니다.
대한민국 각 시군구별 인구수를 기준으로 하며, 여성인구수를 기준으로 인구문제의 근본적인 이유를 찾고자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번 문서부터 각 시군구의 유소년, 고령인구와 생산연령의 부양비율을 산출하여 각 시군구의 생산연령대 인구의 삶의 무게를 살펴보는 시도를 포함하며, 매월 전국평균과 비교하도록 한다.
<요약>
- 부산시 중구는 10년 전인 2014년에 비하여 1만 명 이상 인구가 감소했다.
- 20~30대 젊은 남녀가 비율상 많이 거주하지만, 그들은 부산시 중구를 빠르게 "탈출"하고 싶어할 것이다.
- 부산시 중구의 영유아 인구비율은 전국 최하위라고 말해도 된다. ( 총인구대비 영유아 인구비율 1.0% -2025.1 기준 )
- 현재 부산시중구 영유아, 학령인구를 보면 이 지역의 공교육은 유지될 수 없다. ( 원거리 등하교, 학원 등 없을 것 )
- 아이를 낳고 키울 수 없도록 부산시와 중구가 방치한 지역이라고 단언한다.

1. 부산시 중구 인구수와 인구피라미드와 주요 특징
1) 부산시 중구 인구피라미드
- 총 인구수가 37,469명으로 "구"로써의 인구수가 맞는지 의아한 지역구임.
- 20~30대 남녀 인구가 많은 편이지만, 그들의 자녀 양육비율은 매우 낮다. 젊은 인구들이 이 지역에서 거주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거주비용이 저렴한 이유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8,209 | 19,260 | 37,469 | 105.8% |

2) 주요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 부산시 중구 의 경우 52세 이후 인구수 비율이 총인구수에서 55.6%
- 경북 문경의 인구비율과 비슷하지만, 경북 문경은 학령인구수가 많고, 부산시 중구는 22~31세 청년층이 많다는 점.
- 영유아 비율은 부산시 중구 전체 인구수 대비 1.0%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영유아 인구비율로 보인다.

3) 부산시 중구 고령화율
- 부산시 중구의 고령인구수는 12,206명으로 총인구수 대비 32.6%의 매우 높은 고령화율 보임.
고령화율 | 총인구 | 65세이상 | 고령비율 |
37,469 | 12,206 | 32.6% |
4) 여성인구와 양육비율
- 여성인구에서 출산 및 양육을 실제로 할 수 있는 연령은 기준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 다만, 현실적으로 25세 미만과 60세 초과연령에서 가능성을 낮게 생각한다. (또한 남성 홀로 자녀를 키우는 조건도 배제)
- 양육비율은 33.8%로 통상적인 일반 도시지역의 50%도 안 되는 수준의 지역이다. ( 절반이하도 안됨. )
여성인구 | 25세~60세 | 21세이하 | 양육비율 |
8,576 | 2,897 | 33.8% |
- 통계적 가임기 여성인구(15세~49세)는 다소 비현실적이다.
- 다만 이는 다른 여타 통계와의 비교를 위한 수단으로써 표시한다.
- 가임기로 정한 연령대의 여성인구수 비율은 18.3%로 결코 낮지 않은 수준이다. ( 이는 결국 혼인을 하지 않은 여성 혹은 혼인을 했더라도 아이를 양육하지 않는 여성이 다수 살고 있다는 말과 다름이 없다. )
여성인구 | 총인구 | 가임기여성 | 여성인구비율 |
37,469 | 6,846 | 18.3% |
2. 부산시 중구 세대수와 부양비율
1) 부산시 중구 행정동별 총 인구와 세대수
- 예상되었던 바와 같이 중구에서 각 세대당 평균 세대원은 2명이 되지 않는다.
- 자녀가 없는 1인세대가 대부분 부산시 중구에 거주하고 있다.

행정구역 | 총인구수 | 세대수 | 세대당 인구 |
중앙동 | 3,064 | 2,444 | 1.25 |
동광동 | 2,344 | 1,553 | 1.51 |
대청동 | 5,628 | 3,405 | 1.65 |
보수동 | 10,033 | 6,117 | 1.64 |
부평동 | 4,075 | 2,593 | 1.57 |
광복동 | 861 | 529 | 1.63 |
남포동 | 796 | 568 | 1.4 |
영주제1동 | 4,317 | 2,858 | 1.51 |
영주제2동 | 6,351 | 3,442 | 1.85 |
2) 유소년 부양비율, 고령인구 부양비율 및 총 부양비율
- 유소년(0세~14세)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낮으면 유소년이 적다는 것 )
- 고령인구(65세 이상)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높으면 고령인구가 많다는 것 )
- 합계부양(유소년+고령인구)은 생산연령인구가 짊어진 삶의 무게와도 같다.
- 다만, 해당 지역의 생산연령인구가 모두 고령(부모세대) 인구를 부양한다 단정할 수 없다. (유소년 마찬가지)
- 유소년부양비율이 전국 평균보다 2.5배 낮다. ( 아이를 거의 안 키우는 지역 )
- 생산연령 중 청년층의 인구가 많아서 합계 부양비는 낮은 지역이다. ( 다만, 이 지역 고령층이 청년층의 부모는 아니다. )

반응형
3. 부산시 중구 성별, 연령별 인구수
1) 영유아(0세~6세) 인구
- 보육과 향후 초등교육 시스템은 붕괴 수준일 것으로 예상됨.
- 부산시 중구에서 아이를 낳는 것도 아이를 키우는 것도 이미 규모의 경제 범위를 벗어난 수준.
- 어린이집, 유치원, 초등학교가 유지될 수 없음. ( 있더라도 원거리 차량 이동을 통해서만 가능할 것.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09 | 184 | 393 | 88.0% |

2) 학령인구(7세~21세) 인구
- 이쯤 되면 부산시청과 중구청등은 이 지역을 버린 것으로 봐야 한다.
- 부산광역시에 엄연히 중구라고 되어 있는 지역의 학령인구 수준이 지방 읍면동 수준의 학령인구 수준이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192 | 1,312 | 2,504 | 110.1% |

3) 생산연령 1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 예상되던 대로 젊은 엿어인구수가 동년 남성인구보다 많은 편이다.
- 이들은 혼인하지 않고, 중구에 거주하며 인근 지역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일 것이다. (빨리 벗어나고 싶어 할 것 같다.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748 | 2,790 | 5,538 | 101.5% |

4) 생산연령 2단계 - 인구 (32세~41세) 인구
- 혼인률이 가장 높은 연령에서 여성들은 부산시 중구를 벗어난다.
- 어떻게든 자산을 악착같이 모아서, 부산시 중구를 벗어나려 하는 것으로 보인다. ( 자녀를 키우기 매우 어려운 조건일 것이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025 | 1,714 | 3,739 | 84.6% |

5) 생산연령 3단계 - 인구 (42세~51세) 인구
- 계속 거주자들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 자녀 양육과 무관한 가구일 가능성이 높다. )
- 1인세대 혹은 2인부부 세대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425 | 2,049 | 4,474 | 84.5% |

6) 생산연령 4단계(은퇴연령) - 인구 (52세~64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4,370 | 4,245 | 8,615 | 97.1% |

7) 전기 고령인구 (65세~74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3,236 | 3,726 | 6,962 | 115.1% |

7) 후기 고령인구 (75세 이상)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004 | 3,240 | 5,244 | 161.7% |

반응형
'5대 광역시와 세종시 주택분석 > 특례 및 광역시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시 아파트, 비아파트 거래량 분석-2024년 (0) | 2025.02.13 |
---|---|
부산시 중구 주택유형별 전세와 월세 거래 건수와 평균가격 (0) | 2025.02.12 |
제주도 총인구수와 세대수 변동, 단독, 아파트, 빌라 월세 거래량 (0) | 2025.02.05 |
2025년 제주도 아파트 가격전망과 아파트 거래량, 전월세 비율 비교 (0) | 2025.02.05 |
대구 아파트 전망-2024년부터 거래량 감소가 더욱 심화될 것이다.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