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수 기준 총인구수와 세대수의 4년간 변화를 살펴본다. ( 2021년 1월 ~ 2025년 1월 )
- 2023년 이후 매년 1월이 되면 세대수가 감소하는 패턴을 보인다. ( 이후 세대수가 다시 점핑될지 알 수 없다. )
- 이미 인구수 대비한 세대수가 너무 많은 것은 아닌지 생각이 들 지경이다.
- 제주도의 모든 곳이 그렇지는 않겠지만, 식당을 기준으로 보면 사장님과 외국인 직원(혹은 할머니 직원)이 많았다.
- 그 외국인 직원들이 우리나라 취업비자로 입국하여 거주하며 생활하던지, 사장이 월세 계약을 해주는 것인지는 알 수 없다.
- 다만, 제주도가 섬이라는 닫힌계인 상황에서 인구가 감소하는데, 세대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건 어느 정도 한계가 있을 것.
- 제주도 서귀포시와 같이 2023년 이후 세대수의 증감이 정체되는 시기가 올 것으로 보인다.
- 가장 의아한 것은 이 수많은 세대수를 감당할 주택이 제주도에 있었다는 것이다.(주택이 있으니, 세대가 될 것 아닌가)
제주도 서귀포시 지역은 세대수 증가 정체기, 제주시는 인구수가 있어서 세대수 추가 증가 여력은 되겠으나
그래야 할 이유가 있을지 생각할 여지가 있어보인다. 그럼 수요가 없다는 것이고 주태가격 상승은 제한될 것으로 거래량은 전월세 위주로 증가하며, 인구가 계속 감소하며 주택가격은 안정화될 것으로 보인다.
제주도 총인구수 감소와 세대수 증가
1) 제주도 전체 총인구수 감소세와 세대수 증가세 멈춤
- 제주도 전체에서 2022년 8월이 인구수 정점인 최대 679,016명의 주민등록인구수 기록
- 이후 2025년 1월 현재는 669,460명으로 약 1만명의 인구가 감소했다. ( 다만, 세대수는 그 이후로 지속적으로 상승함. )
- 제주도 세대수 감소패턴 (매년 1월에 세대수 감소 혹은 증가율 낮아짐. ( 2024년 1월 감소, 2025년 1월 감소 )
2) 제주도 전체 세대수 증감과 아파트 임차비율 비교
- 제주도 전체 세대수 증감수와 아파트 전월세 임차비율의 대입 비교.
- 아파트 전월세 임차량이 제주도의 전체 세대수 증감수와 일정 비율에서 수렴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월세 거래량에서 아파트는 전체 제주도 주택유형에서 거래량이 빌라(연립/다세대) 수준보다 약간 높은 수준임.
- 단독/다가구 주택의 월세 거래랴량이 가장 많고, 다수의 세대를 대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반응형
3) 제주도 전체 주택에서 월세 거래량(2024년)
- 제주도의 세대수는 2023년 1월이 되면 세대수가 감소.
- 하지만 2024년 1월에도 세대수 감소가 있었던 기간에 월세 거래량은 크게 증가.
- 분명히 인구는 감소세며, 세대수는 매년 1월 감소하는데, 2024년만 그런 것인지 월세 거래량이 연중 최고 거래량 보임.
- 그리고 이러한 월세 거래량에는 취업, 쉼(휴가포함)등의 이유가 있을 것으로 이들이 주택 매매에 적극적이리라 보지 않음.
2024년 | 단독다가구 | 아파트 | 연립다세대 | 월세량 |
1월 | 684 | 485 | 348 | 1517 |
2월 | 582 | 369 | 358 | 1309 |
3월 | 497 | 309 | 363 | 1169 |
4월 | 476 | 262 | 308 | 1046 |
5월 | 448 | 242 | 321 | 1011 |
6월 | 446 | 221 | 246 | 913 |
7월 | 428 | 252 | 259 | 939 |
8월 | 386 | 338 | 206 | 930 |
9월 | 360 | 238 | 225 | 823 |
10월 | 436 | 280 | 255 | 971 |
11월 | 441 | 272 | 228 | 941 |
12월 | 444 | 265 | 219 | 928 |
총합계 | 5628 | 3533 | 3336 | 12497 |
4) 제주도 제주시 총인구수 변동과 세대수 변동
- 제주시의 총 인구수는 2021년부터 시작한 기간 내에 가장 적은 인구수를 보인다.
- 세대수가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은 1인가구 증가가 원인으로 보인다
5) 제주도 서귀포시 총인구수 변동과 세대수 변동
- 서귀포시의 총인구수는 2021년 1월보다 하락했다.
- 조사기간인 2021년 1월 이후 서귀포시 총인구수는 가장 적은 인구다. ( 대규모 아파트 같은 곳은 보기 힘든 곳이다. )
- 자연관광지 지역이며, 풍광이 매우 좋은 지역이다.
반응형
'5대 광역시와 세종시 주택분석 > 특례 및 광역시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제주도 아파트 가격전망과 아파트 거래량, 전월세 비율 비교 (0) | 2025.02.05 |
---|---|
대구 아파트 전망-2024년부터 거래량 감소가 더욱 심화될 것이다. (0) | 2025.01.31 |
부산시 아파트 전용면적별 거래량과 선호하는 아파트 평형 (0) | 2025.01.17 |
부산시 오피스텔 거래량과 전월세 거래비율 리포트-2025년1월 (0) | 2025.01.16 |
부산시 아파트 거래량과 전월세 거래비율 리포트-2025년1월 (0) | 2025.01.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