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통계 보고서는 통계청의 2025년 4월 말 주민등록인구수와 행정안전부의 세대수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보고서입니다.
서울시 서대문구에 주민등록인구를 기준으로 하며, 여성인구수를 중심에 두고 인구문제의 근본적인 이유를 찾고자 작성하는 것입니다. 이번 문서부터 각 시군구의 유소년, 고령인구와 생산연령의 부양비율을 산출하여 각 시군구의 생산연령대 인구의 삶의 무게를 살펴보는 시도를 포함하며, 매월 전국평균과 비교하도록 한다.
* 한국의 전국 252개 시군구 주민등록인구수와 주택유형(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다가구) 거래량 및 평균 시세정보
https://www.popin.kr ( Population information - 인구정보와 시군구별 주택 평균가격 정보 )
1. 서울시 서대문구 인구피라미드와 주요 특징
1) 서대문구 인구피라미드
- 서대문구의 인구 구성에서 20~30대 남성, 여성인구수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 이후 50대 남성, 여성인구가 다시 큰 규모의 인구수를 보이고 있다. ( 남성과 여성을 기준으로 "M"자 모양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42,729 | 158,884 | 301,613 | 111.3% |
2) 주요 연령대별 인구수와 인구비율
- 서대문구 인구수 비율이 가장 높은 연령은 52세~64세로 20.2%로 60,879명이다.
3) 서대문구 고령화 사회 ( 고령화율 )
- 서대문구의 고령인구수는 60,563명으로 총인구수 대비 20.1%의 높은 고령화율 보임.
고령화율 | 총인구 | 65세이상 | 고령비율 |
301,613 | 60,563 | 20.1% |
4) 여성인구와 양육비율
- 여성인구에서 출산 및 양육을 실제로 할 수 있는 연령은 기준보다 낮거나, 높을 수 있다.
- 다만, 현실적으로 25세 미만과 60세 초과연령에서 가능성을 낮게 생각한다. (또한 남성 홀로 자녀를 키우는 조건도 배제)
- 오직 해당연령대 여성인구가 21세 이하 인구를 양육하고 있다고 가정한 양육비율이다.
서대문구의 25세~60세 여성인구는 84,750명이고, 이들이 양육할 것으로 보이는 21세 이하 청소년 인구는 44,511명으로 서대문구의 총 여성인구수를 기준으로 52.5%의 양육비율을 보인다. ( 이는 매우 낮은 비율이다. )
여성인구 | 25세~60세(여성) | 21세이하(남/녀합계) | 양육비율 |
84,750 | 44,511 | 52.5% |
5) 서대문구 총인구대비 가임기여성 인구수
- 통계적 가임기 여성인구(15세~49세)는 다소 비현실적이다.
- 다만 이는 다른 여타 통계와의 비교를 위한 수단으로써 표시한다.
서대문구 양육비율이 52.5% 임에도 불구하고, 서대문구의 가임기 여성인구수 비율은 24.8%로 매우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다.
이들은 교육, 경제활동을 위해서 서대문구에 거주하고 있는 1인 여성인구 혹은 자녀를 양육하지 않는 여성비율이 많다는 의미다.
여성인구 | 총인구 | 가임기여성 | 여성인구비율 |
301,613 | 74,911 | 24.8% |
2. 서울시 서대문구 행정동별 인구, 세대수
1) 서대문구 행정동별 총 인구와 세대수
행정구역 | 총인구수 | 세대수 | 세대당 인구 |
천연동 | 16,452 | 7,609 | 2.16 |
북아현동 | 15,265 | 7,039 | 2.17 |
충현동 | 19,350 | 9,957 | 1.94 |
신촌동 | 20,390 | 15,245 | 1.34 |
연희동 | 33,596 | 18,690 | 1.8 |
홍제제1동 | 24,478 | 11,132 | 2.2 |
홍제제3동 | 17,404 | 7,969 | 2.18 |
홍제제2동 | 12,123 | 5,317 | 2.28 |
홍은제1동 | 21,895 | 9,644 | 2.27 |
홍은제2동 | 27,893 | 12,936 | 2.16 |
남가좌제1동 | 16,653 | 6,157 | 2.7 |
남가좌제2동 | 28,757 | 13,333 | 2.16 |
북가좌제1동 | 17,310 | 6,741 | 2.57 |
북가좌제2동 | 30,047 | 14,494 | 2.07 |
2) 서대문구 유소년 부양비율, 고령인구 부양비율 및 총 부양비율
- 유소년(0세~14세)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낮으면 유소년이 적다는 것 )
- 고령인구(65세 이상) 인구를 생산연령인구가 부양하는 비율이다. ( 평균보다 높으면 고령인구가 많다는 것 )
- 합계부양(유소년+고령인구)은 생산연령인구가 짊어진 삶의 무게와도 같다.
서대문구 지역은 모든 부양비에서 전국 평균보다 낮은 수치를 보이고 있다. 이는 생산연령 인구가 총인구비율에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는 의미다. 특히 유소년부양비에서 전국평균보다 매우 낮은 수준이지만, 고령 부양비율에서는 전국평균과 비슷한 모습을 보이고 있고, 이는 서대문구 지역이 출산, 양육에서 매우 저조한 지역임을 의미한다.
3. 서울시 서대문구 성별, 연령별 인구수
1) 영유아(0세~6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5,194 | 4,817 | 10,011 | 92.7% |
2) 학령인구(7세~21세) 인구
- 가장 극적인 인구 변화가 나타나는 시기다.
- 19세부터 여성 인구수가 기존 인구수대비 크게 상승하며 지역의 인구수를 상승시키는 시점이다. ( 연령이 그렇다.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6,624 | 17,876 | 34,500 | 107.5% |
3) 생산연령 1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3,186 | 26,227 | 49,413 | 113.1% |
4) 생산연령 2단계 - 인구 (22세~3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1,197 | 21,748 | 42,945 | 102.6% |
5) 생산연령 3단계 - 인구 (42세~51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1,255 | 22,047 | 43,302 | 103.7% |
6) 생산연령 4단계(은퇴연령) - 인구 (52세~64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9,345 | 31,534 | 60,879 | 107.5% |
7) 전기 고령인구 (65세~74세)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5,407 | 18,124 | 33,531 | 117.6% |
7) 후기 고령인구 (75세 이상) 인구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0,521 | 16,511 | 27,032 | 156.9% |
참고자료 : 2024년 5월 말 기준 서대문구 인구피라미드 정보
서울 서대문구 인구수 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 분석-2024년5월
통계청 2024년 5월 7일 주민등록인구수 자료를 기준으로 서울시 서대문구의 2024년 4월 주민등록인구수를 인구 피라미드와 인구의 성별, 연령대별 인구수를 비교하고, 주요 연령대별 구분 인구수
apt-micro.tistory.com
'서울시아파트와주택분석 > 서울시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초구 가구주 연령 및 세대원별 가구수-1인가구보다 3인 이상 가구 많음. (0) | 2025.05.03 |
---|---|
송파구 가구주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수-송파구 1인가구 (1) | 2025.05.03 |
강남구 가구주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수-강남구 1인가구 (0) | 2025.05.03 |
강남구 대치동 아파트 전용84㎡ 매매, 전세, 월세 거래가격대 (0) | 2025.05.02 |
서울시 아파트거래량-아파트 가격상승과 하락 거래율-3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