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계청 가구주의 성,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일반가구)-시군구 자료를 기준으로 서울시 서초구 가구주의 성,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일반가구)-시군구 자료를 기준으로 서울시 서초구의 2023년 가구주 연령별, 세대구성별 가구수 정보를 살펴보고, 주요한 세대구성별 가구수를 중심으로 해당지역의 인구적 특성과 주택의 수요 현황들을 유추해 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구수에 포함되는 이러한 연령대별, 세대특징별 가구들이 자가 거주인지, 전세, 월세와 같은 방식인지, 또한 주택유형이 아파트인지, 빌라인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추정가능한 정보는 인구마이크로데이터에 주택거래량과 함께 제공한다.
서울시 서초구 인구수와 세대수, 아파트 거래량 최신자료 (https://www.popin.kr)
서초구 부동산 거래량 마이크로데이터
서초구의 아파트 매매거래, 전세거래, 월세거래 현황과 선호되는 거래유형 의 아파트 거래유형(매매,전세,월세)의 월별 현황 시각화
www.popin.kr
1. 서초구-가구주 연령대별 가구수
- 서초구의 총 일반가구수는 2023년 기준 157,290 가구.
- 전체 연령대에서 가장 많은 가구수를 보이는 연령은 50~54세 가구수로 19,781 가구와 45~49세의 17,647 가구가 있다.
- 서초구 전체적으로 40세~54세까지 연령대가 최상위 가구수를 나타내고 있다.
- 서초구 가구수 정점의 가구주 연령은 50~54세이며, 45~49세, 55~59세 가구주보다 많은 가구수를 나타낸다.
- 특히, 서초구 가구주 연령대별 가구수는 피라미드 모형을 보이고 있어서, 정점을 지나며 가구수는 계단식으로 감소한다.
- 올해 7~8월에 새로운 통계가 나왔을 때, 이 50~54세가 우측으로 이동한다면 이 연령대로 고착화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즉 새로운 가구가 이 지역에 유입되는 게 아닌, 그대로 늙어가는 도시가 될 수 있다. ( 세대 간 뒤섞임이 없을 수 있다. )
2. 서초구-세대별 특징 구분 가구수(총 가구수의 92.6%)
- 서초구의 총 가구수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2세대가구(부부+미혼자녀)"는 총 51,906 가구로 33.0% 비율
- 그다음은 1인가구로 48,756 가구 ( 총 가구수 대비 31.0% 비율 )
- 서초구에서 가장 많은 가구비율은 2세대 가구로 일반적인 가족 구성형태이며, 일반적인 가정의 모습으로 비치는 부부와 미혼자녀와 같이 거주하는 가구가 가장 많은 가구수를 나타내고 있다. (강남 3구에서 유일하게 1인가구보다 2세대 가구가 더 많다.)
반응형
3. 서초구-연령대별 1인가구 현황 ( 2순위 가구수 비율 )
- 서초구에서 두번째 많은 가구 비율을 보이는 "1인가구"에서 가장 많은 연령대는 30~34세 연령. ( 직장 때문일 것이다. )
- 이 연령대 전인 25세~29세가 다음으로 많은 가구수인 7,255 가구다.
- 35세~39세의 가구수부터 급감하는 것을 보면, 해당 연령대에 혼인 후 서초구에서 도저히 거주할 수 없는 높은 주택가격으로 이 지역을 이탈해 가는 모습이 확인된다. (강남구와 동일한 패턴이다.)
- 다만 이들이 이탈하는 것은 거주지의 이탈이며, 중심업무지역에서 한번 더 멀어지는 것으로 추정한다.
4. 서초구-연령대별 2세대 가구 현황 ( 1순위 가구수 비율 )
- 서초구에서 가장 많은 가구수를 차지하는 2세대 가구(부부+미혼자녀)의 가구수는 45세~54세 범주에 속하는 가구다.
- 강남구와 마찬가지로 35~39세와 40~44세의 현격한 격차는 서초구 거주의 부의 격차 탓이다.
- 서초구에서 계속거주한 연령대의 유입은 40~44세가 서초구로 유입된 시기일 것이다. 이외 새로운 유입은 주택가격의 상승으로 막혔을 것으로 보인다. ( 그 근거가 35~39세 가구주와 40~44세 가구주의 격차 )
- 가장 많은 거주자들이 40세부터 시작되며 그들은 최소 초등학교 연령대의 자녀를 하나 또는 둘 양육하고 있을 것이다.
- 혹은 그보다 더 많은 연령의 미혼자녀를 양육할 수 있기 때문에 서초구를 벗어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 이후 그들의 자녀가 독립 및 혼인에 나서는 고령 연령이 되면 서서히 가구수가 줄어든다.
- 자가 거주가 아니란 의미다. ( 확연하게 연령대별 가구주의 연령에 의해 가구수가 감소하는 패턴이라면 이들은 자가 주택이 아닌 전세, 월세 등의 임대 거주자일 가능성이 높다. 혹은 주택을 매매하고 나가는 것일 수 있다. )
반응형
'서울시아파트와주택분석 > 서울시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대문구 행정동별 인구와 피라미드, 연령, 성별 인구수 보고서 (5) | 2025.05.21 |
---|---|
송파구 가구주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수-송파구 1인가구 (1) | 2025.05.03 |
강남구 가구주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수-강남구 1인가구 (0) | 2025.05.03 |
강남구 대치동 아파트 전용84㎡ 매매, 전세, 월세 거래가격대 (0) | 2025.05.02 |
서울시 아파트거래량-아파트 가격상승과 하락 거래율-3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