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아파트와주택분석/서울시 인구와 주택

송파구 가구주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수-송파구 1인가구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5. 3. 12:05
반응형

통계청 가구주의 성,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일반가구)-시군구 자료를 기준으로 서울시 송파계청 가구주의 성, 연령 및 세대구성별 가구(일반가구)-시군구 자료를 기준으로 서울시 송파구의 2023년 가구주 연령별, 세대구성별 가구수 정보를 살펴보고, 주요한 세대구성별 가구수를 중심으로 해당지역의 인구적 특성과 주택의 수요 현황들을 유추해 보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가구수에 포함되는 이러한 연령대별, 세대특징별 가구들이 자가 거주인지, 전세, 월세와 같은 방식인지, 또한 주택유형이 아파트인지, 빌라인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다만 추정가능한 정보는 인구마이크로데이터에 주택거래량과 함께 제공한다.

 

 

1. 송파구-가구주 연령대별 가구수

  • 송파구의 총 일반가구수는 2023년 기준 265,857 가구.
  • 전체 연령대에서 가장 많은 가구수를 보이는 연령은 50~54세 가구수로 28,608 가구와 40~44세의 28,009 가구가 있다.
  • 송파구 전체적으로 30세~69세까지 연령대가 매우 고른 분포를 나타내고 있다. 즉 송파구는 거주용 업무 배후지역이다.
  • 강남구에 이어 송파구의 가구수를 분석한 목적이 바로 이러한 인구구조를 살펴보기 위함이기도 하다. (생산연령 비율 높음)

송파구 연령별 일반가구수-2023년

 

 

2. 송파구-세대별 특징 구분 가구수(총 가구수의 93.3%)

  • 송파구의 총 가구수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1인가구"는 총 87,140 가구로 전체 가구에서 32.8% 비율
  • 1인가구엔 홀로 거주하는 젊은 사람들도 있을 수 있으나, 독거노인들도 포함된다.
  • 그다음은 2세대 가구(쉽게 부부와 그 자녀)의 가구로 82,585 가구 ( 총 가구수 대비 31.1% 비율 )
  • 송파구에서 가장 많은 가구비율은 1인 가구이며, 일반적인 가정의 모습으로 비치는 부부와 미혼자녀와 같이 거주하는 가구가 그다음으로 많은 비율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송파구 주요특징 세대의 가구수-2023년

 

반응형

3. 송파구-연령대별 1인가구 현황 ( 1순위 가구수 비율 )

  • 송파구에서 가장 많은 가구비율을 보이는 "1인가구"에서 가장 많은 연령대는 30~34세 연령.
  • 이 연령대 전인 25세~29세가 다음으로 많은 가구수인 13,816 가구다. 
  • 35세~39세의 가구수부터 급감하는 것을 보면, 해당 연령대에 혼인 후 강남구에서 도저히 거주할 수 없는 높은 주택가격으로 이 지역을 이탈해 가는 모습이 확인된다. (강남구와 동일한 패턴이다.)
  • 다만 이들이 이탈하는 것은 거주지의 이탈이며, 중심업무지역에서 한번 더 멀어지는 것으로 추정한다.

송파구 연령대별 1인가구수-2023년

 

 

4. 송파구-연령대별 2세대 가구 현황 ( 2순위 가구수 비율 )

  • 송파구에서 2번째로 많은 가구수를 차지하는 2세대 가구(부부+미혼자녀)의 가구수는 40세~54세 범주에 속하는 가구다.
  • 강남구와 마찬가지로 35~39세와 40~44세의 현격한 격차는 송파구 거주의 격차 탓이다. 
  • 송파구에서 계속거주한 연령대의 인구들은 서서히 감소하는 게 아닌 급격한 감소를 보인다. ( 이 또한 강남구와 다르다. )
  • 강남구에 거주하던 고령층은 강남구에서 계속 거주하며 점차 감소하지만, 송파구는 급격한 감소를 보인다. ( 이는 기존 송파구에 거주하던 고령층 인근의 연령대의 인구가 송파구에서 "구축"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 이들은 인근 지역인 하남이나 기타 지역으로 이주했을 가능성이 높다. )
  • 30세~39세 사이에 혼인하며 송파구에서 거주하려는 사람과 이미 그 이전에 혼인하여 이미 거주하는 40~54세 가구주들이 있다는 것은 한 번에 송파구로 엄청난 인구가 유입된 계기가 있다는 것이다. ( 아마 헬리오시티와 같은 대단지 아파트들 영향일 것이다. )

송파구 연령대별 2세대 가구수-2023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