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행정안전부자료를 기준으로 2025년 4월과 2024년 4월의 남성인구, 여성인구, 세대수 증감을 비교한다.
남성인구와 여성인구는 지역마다 큰 편차를 보이며, 증가하고, 감소했지만 경기도, 인천시를 제외하면 모든 광역시도의 인구가 감소했다고 보는 게 편하다. 이와는 달리 전국 광역시도에서 세대수는 모든 광역시도에서 증가했다. 이는 사람들이 거주하는 주택이나 가구의 숫자가 실질적으로 순증 했다는 것을 말하며, 실 거주하는 가구가 머물러야 하는 "주택" 혹은 "생활가능한 방을 갖춘 주택"이 증가한 것을 의미한다.
1. 전국 세대수 증감현황
- 전국 시도에서 190,518세대가 증가했다. 혼인, 출산, 독립과 대비되는 이혼, 사망, 동거가 있었음에도 세대가 증가했다.
- 전국적 시군구별로 세대수 (가구수)통계는 이전 연도의 데이터가 7월경에 나오기 때문에 2023년도 통계자료를 작성했다.
- 1인가구가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는 것은 다들 주지의 사실이며, 현재 증가하고 있는 세대수는 1인가구 세대다.
행정기관 | 2024년04월 | 2025년04월 | 세대증감 |
소계 | 24,021,667 | 24,212,185 | 190,518 |
2. 수도권 세대수 증감현황
- 수도권 세대수는 2024년, 2025년 동일하게 전국 세대수 대비 49.4%의 비율이다. ( 정말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에 모여있다. )
- 세대증감률에서 수도권의 증가율이 전국 증가유에서 57.7%로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 수도권으로 몰리고 있다는 의미다. )
행정기관 | 2024년04월 | 2025년04월 | 세대증감 |
서울특별시 | 4,486,137 | 4,498,689 | 12,552 |
경기도 | 6,010,717 | 6,084,016 | 73,299 |
인천광역시 | 1,361,550 | 1,385,644 | 24,094 |
전국비율 | 49.4% | 49.4% | 57.7% |
반응형
3. 전국 세대수 증가현황
- 전국에서 세대수가 가장 많이 증가한 지역은 당연하게도 "경기도"로 73,299세대가 증가했다.
- 2위 지역은 인천광역시의 24,094세대였고, 특이한 것인지 모르지만 충청남도가 3위로 13,092세대가 증가했다.
- 전국 세대수 현황과 전년 동월세대수 비교 데이터
행정기관 | 2024년04월 | 2025년04월 | 세대증감 |
강원특별자치도 | 763,568 | 766,296 | 2,728 |
경기도 | 6,010,717 | 6,084,016 | 73,299 |
경상남도 | 1,530,698 | 1,543,107 | 12,409 |
경상북도 | 1,288,344 | 1,296,263 | 7,919 |
광주광역시 | 656,984 | 658,338 | 1,354 |
대구광역시 | 1,098,201 | 1,107,916 | 9,715 |
대전광역시 | 684,540 | 692,420 | 7,880 |
부산광역시 | 1,569,293 | 1,573,173 | 3,880 |
서울특별시 | 4,486,137 | 4,498,689 | 12,552 |
세종특별자치시 | 161,975 | 164,710 | 2,735 |
울산광역시 | 492,911 | 496,578 | 3,667 |
인천광역시 | 1,361,550 | 1,385,644 | 24,094 |
전라남도 | 912,121 | 914,302 | 2,181 |
전북특별자치도 | 863,318 | 866,486 | 3,168 |
제주특별자치도 | 313,797 | 315,066 | 1,269 |
충청남도 | 1,044,592 | 1,057,684 | 13,092 |
충청북도 | 782,921 | 791,497 | 8,576 |
소계 | 24,021,667 | 24,212,185 | 190,518 |
반응형
'경제정보와정책 > 경제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저출산의 덫 - 경쟁사회 속 잠재된 불안(회사, 고용, 경쟁, 영업조직) (5) | 2025.05.06 |
---|---|
남성, 여성 인구 증감과 드디어 무너지는 5100만명 인구수 (0) | 2025.05.04 |
근로자가구(부부)-무자녀/유자녀 근로소득과 교육비 지출과 결론 (2) | 2025.04.30 |
근로자가구(부부 공통) 유자녀와 무자녀 교육비 비교-월 교육비지출 (0) | 2025.04.30 |
현실적 자녀 교육비(교육비+사교육비)-준비할 수 없는 노년 (1)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