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계청 행정구역 시군구 별 주민등록세대수 기준자료의 2025년 1월과 2024년 1월을 비교한 자료와 전체 전국 세대수 자료를 공유합니다.
전국 시군구 별 세대수의 증감
1) 세대수 증가 상위 5개 시군구
- 경기도 화성시에서 2024년 대비 세대수가 무려 13,042개 세대가 증가했다.
- 2순위 지역인 강동구는 11,418세대 증가 ( 여긴 둔촌주공영향이 클 것이다. )
- 3순위 지역인 경기도 양주시는 10,420세대가 증가했다.

2) 세대수 감소 상위 5개 시군구
- 서울시 용산구에서 2024년 대비 세대수가 무려 -4,124개 세대가 감소했다.
- 2번째로 많은 세대수 감소 지역은 경기도 의왕시 -1,420 세대가 감소했다.
- 3번째로 많은 세대수 감소 지역은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로 -1,406세대가 감소했다.

3) 충청북도 제천시 : 세대수 전년동월대비 변동 0%
- 어찌 된 일인지는 몰라도 2024년 1월 세대수와 2025년 1월 세대수가 정확히 일치한다.
- 2월~3월 사이에 주민등록상 세대수가 크게 증가한 이유는 모르겠으나, 세대수가 매월 소폭으로 감소해 갔다.
- 이 경우엔 기존 임차세대들이 계약기간 종료 후 재계약하지 않고 지역을 떠나간 것이다.

4) 전국에서 세대수가 가장 많은 12개 시군구지역
- 주민등록세대수 22만 세대가 넘는 시군구 지역
- 경기도 화성시에 세대수 집중이 지속되고 있다. 2위 지역인 남양주시와 11만 세대 이상의 차이

- 전국 세대수 22만세대 이상 지역에서 서울시 강서구의 -261세대 감소를 빼면 모든 지역에서 세대수는 증가했다.
- 만일 부동산이 세대수에 의해서 좌우되는 부분이 있다면 아래 지역의 부동산 가격은 상승했거나, 보합은 했을 것이다.
- 이들 지역에 세대수가 증가한 만큼 인접 지역에서 세대수는 감소했을 것이다. ( 인구가 감소하는 시기다. )
도시 | 시군구 | 2024년1월 | 2025년1월 | 증감 |
경기도 | 화성시 | 405,653 | 418,695 | 13,042 |
경기도 | 남양주시 | 305,063 | 307,429 | 2,366 |
서울특별시 | 송파구 | 286,180 | 286,796 | 616 |
서울특별시 | 관악구 | 284,877 | 286,279 | 1,402 |
경기도 | 평택시 | 280,380 | 285,490 | 5,110 |
서울특별시 | 강서구 | 274,034 | 273,773 | -261 |
인천광역시 | 서구 | 266,720 | 272,493 | 5,773 |
서울특별시 | 강남구 | 241,315 | 244,962 | 3,647 |
대구광역시 | 달서구 | 235,455 | 237,488 | 2,033 |
경상남도 | 김해시 | 231,951 | 234,519 | 2,568 |
경기도 | 시흥시 | 228,275 | 229,141 | 866 |
경기도 | 파주시 | 221,066 | 226,886 | 5,820 |
제주특별자치도 | 제주시 | 224,312 | 225,733 | 1,421 |
인천광역시 | 부평구 | 224,024 | 225,553 | 1,529 |
인천광역시 | 남동구 | 224,237 | 224,930 | 693 |
경기도 | 고양시 덕양구 | 220,431 | 220,907 | 476 |
반응형
'경제정보와정책 > 경제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환보유고와 외환 통계-실제 외환보유고 2018년 수준으로 감소 (0) | 2025.02.27 |
---|---|
전국 전용59㎡(24평) 아파트 시세-2025년1월기준 전년비교 (0) | 2025.02.24 |
평균 임금 수준과 남자와 여자의 평균 임금 격차와 저출산 (0) | 2025.02.11 |
우리나라의 자살률과 실업자 수의 관련성-20대부터 50대까지 (0) | 2025.02.08 |
우리나라의 자살률과 경제의 연관성-전체와 성별, 연령별 특징 (0) | 2025.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