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자료는 국가지표체계 내 월평균 임금 통계표를 기준으로 작성한 것이며, 월임금총액(명목)은 세전 소득으로 실제 세금을 제한 후 소득은 이보다 더 낮아지는 것을 양지하시길 바랍니다. 또한 이 자료에서 말하는 월임금총액(명목)은 전년도 총소득을 12개월로 나눈 것입니다.
- 합계출산율과 비교한 총임금총액에서 남성대비 여성 총 임금격차가 -38% 안쪽으로 개선되며 출산율이 하락한다.(2017년)
- 여성의 사회진출과 남/여의 총임금격차(명목금액상 여전히 상당한 평균차이)가 감소하며 여성들 사회활동 많아짐.
출처: 고용노동부, 「고용형태별근로실태조사」, 통계청, 「소비자물가조사」
*자료: 고용노동부, 「고용노동통계」
주석:
1) 월임금총액 = 정액급여 + 초과급여 + 직전 연도 연간특별급여 ÷ 12개월.
2) 연간특별급여는 당해 연도 기준으로 조사할 수 없으므로 직전 연도 기준으로 조사하여 이를 12개월로 나누어 당해 연도 6월 임금총액에 합산함.
3) 특수형태근로종사자 제외.
4) 월임금총액(실질)은 소비자물가지수(2020년 기준)를 적용하여 실질화한 금액임.
여성의 평균 소득
1) 여성의 평균총임금은 개선되었는가?
- 여성의 평균 월임금은 2006년에 비하여 2023년 상당히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 ( -42.4% -> -34.7% )
- 하지만 이를 개선이라 말할 수 없는 이유는 차고도 넘치는 상황이므로, 우리 사회에서 고질적 성차별에 의한 것인지는 차치하고 생각해 볼 문제다.
- 사회에서 성별 월평균 총임금이 -40~ -30% 차이가 나는 건 계급사회나 마찬가지다. ( 남성 고임금 / 중역임원 / 사업 사장이 남성이 더 많기 때문에 이러한 격차가 발생하고 있다고 여길 수는 있다. )

2) 여성의 평균 총임금과 합계출산율 추이
- 아래그래프는 모두 통계상의 최저점을 기준으로 했다. ( 2006년 -42.4% 격차 최대, 2023년 0.72명 최저 )
- 대학 입학자를 기준으로 2015년부터 고학력 여성이 증가하며 합계출산율이 감소한 것보다는 2년 정도 지연되었다.
- 소득격차가 조금이라도 개선된 2017년부터 합계출산율이 감소하는 크로스가 된 것을 볼 수 있다.
- 두 통계는 레인지 범위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인위적 조정을 했지만, 두 그래프는 역의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다.
- 남자와 여자의 소득격차가 -38%이내로 좁혀지며 출산율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 여성의 임금이 늘어나면 출산율이 하락하는가? 그렇다.

3) 성별 총임금총액(명목) 월 소득과 소득격차
- 2023년 평균 여성 총임금(명목)은 2010년의 남성 월임금총액(명목)과 비슷한 수준이다.
- 평균 임금이므로 사업소득, 성과급등 고연봉 직장에 남성이 상당히 많다는 것과 그에 비하여 저연봉 직장에 여성들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 연구, 의료서비스, 대기업, 특정 직종에서 남녀 임금격차가 크진 않을 것이다. )
-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은 1인가구 기준 2,077,892(세후) 원으로 여성 평균 총 임금(세전) 큰 차이는 없다.

4) 통계 데이터 ( 여성 평균 임금 격차를 주목해야 한다. )
- 여성의 총임금월액(명목)은 전년대비로 계속 나아지고 있으나, 명목 금액상 남성대비 소득의 격차는 계속 증가
- 2024년 중위소득(1인가구) 기준은 2011년 전체 월임 총액 수준인 223만 원(세후)으로 보인다. 이는 여성평균임금 기준 2020년 수준으로 여성 평균임금이 너무 낮다는 것을 반증한다.
구분 | 월임금총액(명목) - (단위 : 천원) | |||
기간 | 전체 | 남성 | 여성 | 소득격차 |
2006년 | 2,069 | 2,451 | 1,413 | 1,038 |
2007년 | 2,178 | 2,570 | 1,524 | 1,046 |
2008년 | 2,279 | 2,700 | 1,583 | 1,117 |
2009년 | 2,277 | 2,691 | 1,588 | 1,103 |
2010년 | 2,326 | 2,754 | 1,633 | 1,121 |
2011년 | 2,428 | 2,869 | 1,714 | 1,155 |
2012년 | 2,527 | 2,974 | 1,815 | 1,159 |
2013년 | 2,617 | 3,095 | 1,873 | 1,222 |
2014년 | 2,700 | 3,218 | 1,925 | 1,293 |
2015년 | 2,740 | 3,269 | 1,944 | 1,325 |
2016년 | 2,833 | 3,364 | 2,040 | 1,324 |
2017년 | 2,896 | 3,433 | 2,112 | 1,321 |
2018년 | 3,028 | 3,569 | 2,259 | 1,310 |
2019년 | 3,138 | 3,682 | 2,371 | 1,311 |
2020년 | 3,180 | 3,722 | 2,408 | 1,314 |
2021년 | 3,271 | 3,833 | 2,476 | 1,357 |
2022년 | 3,526 | 4,127 | 2,683 | 1,444 |
2023년 | 3,640 | 4,260 | 2,783 | 1,477 |
반응형
'경제정보와정책 > 경제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국 전용59㎡(24평) 아파트 시세-2025년1월기준 전년비교 (0) | 2025.02.24 |
---|---|
전국 252개 시군구-세대수 증가 지역과 세대수 감소지역 (0) | 2025.02.12 |
우리나라의 자살률과 실업자 수의 관련성-20대부터 50대까지 (0) | 2025.02.08 |
우리나라의 자살률과 경제의 연관성-전체와 성별, 연령별 특징 (0) | 2025.02.08 |
한국 수출 15대 주력품목-반도체,자동차,차부품-2025년1월 비교 (0) | 2025.02.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