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한국의 외환보유고는 2025년 1월 말 기준 4,110.15억 달러로 결코 적지 않은 외환보유고를 가지고 있다. 다만, SDR. IMF포지션, 금과 같은 외환보유고 내 계정이 아닌 실제로 우리나라의 외환보유고는 "외환" 부분을 봐야 한다. 게다가 최근 환율개입과 기준금리 인하 전, 명분을 쌓기 위한 인위적 환율하락 시도, 외환보유고 지표를 좋게 보이게 하기 위한 것인지 외환도 증가시키는 등, 실물과 실제 경기체감 등과 정말 괴리된 지표상의 움직임이 보이고 있는 점이 우려스럽다.
1) 최근 4개월 외환보유고와 외환
- 아래 표와 같이 외환보유고에서 SDR, IMF포지션, 금 등은 통계상 거의 변동이 없다.
- 실제로 움직이는 통계는 "외환" 부분이다.
- 2024년 12월 당연히 감소할 것으로 예상했던 외환이 오히려 3억달러 증가했다. ( 이는 은행권이 왜 그런 것인지는 모르지만, 연말에 한국은행에 외환을 예치시키며 3억 달러가 증가한 것이다. )
- 바꾸어 말하면 은행이 2024년 연말에 한국은행에 외환을 예치시키지 않았다면, 당연히 외환이 크게 감소했을 것을 의미한다.
기간 | 외환보유 | 외환 | 외환증감율 |
2024-10 | 4156.896 | 3,916.7 | |
2024-11 | 4153.917 | 3,915.1 | -0.04% |
2024-12 | 4156.038 | 3,918.9 | 0.10% |
2025-01 | 4110.149 | 3,873.2 | -1.17% |
2) 2024년 대외무역액 최대와 계속된 외환 감소
- 외환보유고에서 변동이 적은 부분을 제외한 "외환"부분은 2018년 3월 수준을 보이고 있다.
- 게다가 은행이 예치시킨 외환에 대해서 은행들이 2025년이 시작되자 마자 다시 찾아간 것으로 보이는 외환 감소도 보인다.
- 결국 은행들이 2024년 연말 행했던 외환 한국은행 예치는 통상적이지 않은 행위였음을 보인다.
- 3년 사이 우리나라의 외환보유고는 2018년 수준으로 하락한 것이다.

반응형
'경제정보와정책 > 경제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1990년대 출생자들. 그들의 심리적 상처-부동산, 남아선호와 성비율 편 (0) | 2025.03.11 |
---|---|
외환보유고와 원달러환율 상관관계 (5) | 2025.02.27 |
전국 전용59㎡(24평) 아파트 시세-2025년1월기준 전년비교 (0) | 2025.02.24 |
전국 252개 시군구-세대수 증가 지역과 세대수 감소지역 (0) | 2025.02.12 |
평균 임금 수준과 남자와 여자의 평균 임금 격차와 저출산 (0) | 2025.02.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