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계청 소비자동향조사 최근인 2024년 12월 28일 자 정보를 기준으로 소비자들의 경기 전망과 현제의 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들을 살펴본다. 이번 편에서는 40세 미만 젊은 경제활동 인구들의 향후 경기 전망과 자신들의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다. 12.3 내란사태 이후, 가장 최근의 통계청 조사로 악화된 경제 상황을 살펴볼 자료다.
- 우리나라 40세 미만 경제활동인구로 보이는 연령대의 향후 경기전망은 매우 나쁘고, 취업기회에 대한 전망도 매우 나쁘다.
- 그들은 향후 소득증가에 대해서 보수적인 반면, 소비지출은 향후 증가되었으면 하는 희망을 갖고 있다.
- 다만 향후 소비지출 전망이 부정적으로 감소하며 수입과 지출 전망의 갭이 역대급으로 감소했다. (이는 소비감소할 계획과 현재 소득 개선에 대해 보수적 판단 결정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
- 현재 가계저축은 간신히 전망과 부합했던 것으로 보이고, 향후 저축은 늘 가계저축을 늘리려 했던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동기와 결과가 우상향으로 현재 저축에 대한 긍정적 운영평가와 향후에도 저축을 운영하려는 계획 증가로 이어진다.
수입감소와 향후 경기전망, 취업기회에 대한 부정적 전망과 향후에도 저축운영계획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미뤄 본다면 향후 6개월내에 국내 내수소비 진작은 매우 어려울 것이다.
* "현재"는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전망"은 현재와 비교한 6개월 후에 대한 소비자들의 판단을 조사한 결과
** 다만, 물가수준, 주택가격, 임금 수준 전망은 각각 향후 1년 후에 대한 소비자들의 판단을 조사한 결과
1. 40세미만 경제활동인구의 향후 수입/지출 전망
- 2024년 11월부터 괴리율이 급격히 좁혀지고 있다. ( 소비지출이 늘어날 것이란 전망과 수입이 증가할 것이란 전망 차이 )
- 향후 소비지출이 감소할 것이란 전망이 커지며, 가계수입 전망과 가깝게 붙었다.
- 결론 : 수입은 그런대로 유지될 테지만, 소비지출은 점차 줄일 것이다.
반응형
2. 40세미만 경제활동인구의 향후 경기전망/취업기회 전망
- 2024년 4월과 2024년 12월 두 전망의 괴리가 크게 벌어졌다. 향후 경기는 100 이하에서 부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 반면 취업기회 전망은 100이하의 부정적 상황에서도 향후 경기보다 높은 전망치를 두고 있다.
- 결론 : 여전히 향후 경기, 취업전망은 부정적이지만, 취업전망은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있다. ( 경기 나쁘고, 취업어려움)
3. 40세미만 경제활동인구의 "현재 가계저축"과 "전망 가계저축"
- 현재는 6개월 전과 비교한 현재, 전망은 현재와 6개월 후 상황을 전망한 것
- 현재 가계저축은 6개월 전 계획에 비교적 부합한 결과를 보이지만, 향후 가계저축은 더 늘릴 것으로 전망
- 결론 : 현재 저축관리는 간신히 긍정적, 향후 저축으로 운영하려는 전망이 상당히 높다.( 소비감소 )
반응형
'경제정보와정책 > 통계자료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영업자와 직장인들-자영업 폐업이 더 많아질 2025년 전망 (2) | 2024.12.29 |
---|---|
4050세대 경제 활동 인구의 향후 경기 전망-고난의 길을 걷고 있다. (0) | 2024.12.28 |
차량용 경유 가격과 휘발유 가격의 원달러 환율 관계-물가 상승이 시작된다. (2) | 2024.12.27 |
부산시와 인천시 연령대별 인구비교-6년내 제2의 수도는 인천시 (0) | 2024.12.26 |
5. 전국 252개 시군구 성별 인구수와 전라남,북도 인구(광주) (2) | 2024.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