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보와정책/통계자료 설명

통계청 자료 기준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 조사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2. 17. 23:24
반응형

본 자료는 통계청 시군구 경제활동이고 총괄에서 경제활동, 비경제활동 인구수에 집중하여 살펴보는 자료이며, 이에 해당하는 정보와 자료는 2021년 상반기부터 있기 때문에 2021년 상반기~2024년 상반기 자료를 다룬다.

 

 

경제활동인구 정의

 만 15세이상인구 중 조사대상기간 동안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기 위하여 실제로 수입이 있는 일을 한 취업자와 일을 하지는 않았으나 구직활동을 한 실업자를 말함

 

 

취업자 정의 ( 아래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취업자 )

조사대상주간에 수입을 목적으로 1시간 이상 일한 사람
동일가 구내 가구원이 운영하는 농장이나 사업체의 수입을 위하여 조사대상주 간에 18시간 이상 일한 무급 가족종사자
직업 또는 사업체를 가지고 있으나 조사대상 기간 중 일시적인 병 또는 사고, 휴가, 연가, 교육, 노사분규 등의 사유로 일하지 못한 일시휴직자

실업자 정의 ( 아래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실업자 )

조사대상주간에 수입이 있는 일을 하지 않았음
지난 4주간 일자리를 찾아 적극적으로 구직활동을 하였음
일자리가 주어지면 즉시 취업이 가능함

 

비경제활동인구

만 15세이상인구 중 조사대상 기간에 취업도 실업도 아닌 상태에 있는 사람 예) 전업주부, 학생 등

 

 

우리나라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

1) 한국의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

  • 우리나라는 제시된 기간 동안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나라다.
  •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가운데 경제활동인구는 3년 반이 지나서 150만 명이 증가했다.
  • 같은 기간 비경제활동인구는 100만명이 감소했다.
  • 2024년 상반기 기준 대한민국 비경제활동인구는 1652만 명이고, 경제활동인구는 2869만 명이다. ( 통계상 )
  • 대략 3년 사이에 50만명의 경제활동인구 순증이 있었다는 것이다. 

통계청이 제시한 경제활동인구수와 비경제활동인구수 ( 단위 : 천명 )

 

 

2) 한국의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 증가세

  • 인구가 감소하는 와중에도 경제활동에 나선 한국 국민들이 상당히 많음을 알 수 있다.
  • 이 통계에서 (단, 현역군인, 사회복무요원, 교도소 수감자, 의무경찰 등 제외)되었고, 당연히 15세 미만 청소년도 제외된 숫자
  • 정확한 조사는 불가능 하기 때문에 대략 우리나라 인구수에 위에서 제외한 인원을 더해보면 총인구수와 비슷한 모습
  • 다만 이 조사에서는 외국인은 제외되었다.

통계청이 제시한 경제활동인구수와 비경제활동인구수 기간별 합계 ( 단위 : 천명 )

 

반응형

 

3) 한국의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 데이터

  • 자동적으로 증감하는 요인으로 14세에서 15세로 유입되는 인구수와 15세 이상 인구에서의 자연감소(사망 등 사유) 차감
  • 총인구수는 데드크로스로 신생아 출산에 비하여 고령자의 자연 사망이 더 많아지며 인구 순감소중인 점을 감안한다면 조금 이상한 경제활동(비경제활동) 인구수를 보인다.
  • 경제활동인구에 편입되는 허들이 매우 낮은 이유도 있겠지만, 이건 아마도 국제기준 때문일 것으로 보인다. ( 조사대상 주간에 1시간 이상 돈을 벌기 위한 경제활동을 하면 경제활동인구가 되기 때문.)
  • 게다가 우리나라는 15세~19세 경제활동인구가 현저히 낮기 때문에 이들 연령대가 15세 이상으로 편입된다고 하여 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하고, 비경제활동인구가 감소했다 보기 어렵다.
  • 결국 여성이 일자리를 찾아 나섰고, 쉬던 고령자들이 경제활동에 나서야 하는 경제상황에 다다른 것으로 유추할 수 있다.
  • 2024년 하반기 통계를 살펴봐야 할 것이다. ( 현 경제상황에서 취업자가 증가하고, 경제활동인구가 증가했다고 하면 그 누구도 믿을 수 없는 통계가 되기 때문이다. 물론 실업자도 경제활동인구 내에 있기 때문에 누구든 일자리를 구하는 모습만 보이면 경제활동인구가 증가되는 통계의 마법이기 때문이다. )
행 레이블 비경제활동인구 (천명) 경제활동인구 (천명)
2021년 상반기 17,571.0 27,161.7 44,732.7
2021년 하반기 17,285.8 27,562.5 44,848.3
2022년 상반기 17,155.1 27,772.5 44,927.6
2022년 하반기 16,885.3 28,101.1 44,986.4
2023년 상반기 16,823.9 28,227.2 45,051.1
2023년 하반기 16,636.3 28,491.9 45,128.2
2024년 상반기 16,526.5 28,690.0 45,216.5

 

 

  • 본 자료는 추후 시군구 인구정보에 포함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