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토교통부 통계누리정보( https://stat.molit.go.kr/ ) 상에 정리된 전국 지자체별 공동주택 호실의 숫자 증감현황. 기존 아파트, 빌라들이 있는 상황에서 전년동월 대비- 1년 전- 호실이 크게 증가한 것은 통계상 문제가 있어 보인다. 가령 제주도의 경우엔 몇 년간 45000호실의 아파트, 빌라가 있었는데, 2025년 1월 54000호로 급증했다. 이건 정상적 상황으로 보기 어렵다.
인천시 아파트, 빌라 등 공동주택 호실의 개수와 부산시 공동주택 호실의 개수 차이가 점차 좁혀지고 있다. (2020년 12만 호실 차이에서 2025년 7만 호실 차이로 좁혀졌다. ) 과연 미래 대한민국 2위 도시는 부산일 것인가? 인천일 것인가?
그래프상의 아파트는 공동주택을 통칭하는 것이다. (아파트, 빌라 등)
2025년 1월 공동주택 호실 비교 ( 전년동월 비교 )
1) 제주도 전년동월 대비 크게 증가 (주택 호수 증가)
- 제주도에서 2025년 1월 기준으로 아파트 호실은 전년동월대비 16%가 증가했다.
- 아래표를 보면 알 수 있듯, 2021년 큰 폭의 증가도 3.57% 수준이었던 것과 대조적으로 제주도에 아파트 호실이 크게 증가한 모습이다.
- 잘 분양되어 사람들이 살 수 있다면 뭐 나쁠 것도 없으나, 제주도 아파트가 상당히 과잉 공급된 것으로 보인다.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43,800 | 45,362 | 46,012 | 46,543 | 46,707 | 54,214 |
2) 경상북도 전년동월 대비 공동주택 호실 증가
- 경상북도에서 2025년 1월 기준으로 공동주택 호실은 전년동월대비 8.36%가 증가했다.
- 대구의 미분양들을 걱정하던데, 경북이 더 문제일 것으로 보인다.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431,091 | 442,370 | 450,551 | 454,406 | 466,989 | 506,043 |
3) 강원도 전년동월 대비 공동주택 호실 증가
- 경상북도에서 2025년 1월 기준으로 공동주택 호실은 전년동월대비 6.66%가 증가했다.
- 강원도는 2021년, 2022년에 이어서 2025년 비교 기간 동안 최대의 공동주택 호실(201호 같은 호실) 증가를 보였다.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292,422 | 304,008 | 315,118 | 321,352 | 329,421 | 351,349 |
4) 인천시 전년동월 대비 공동주택 호실 증가
- 인천시는 2023년과 2024년 7%를 넘는 공동주택 호실이 생겼다. (주택)
- 2025년 1월엔 이보다 증가율은 낮지만, 누계 증가율이므로 전년인 2024년 1월 수준으로 호실 증가를 보인다.
- 인천시 총 공동주택 호실은 2020년 부산과 12만 채 이상 차이였으나, 2025년 1월 기준 7만 채 차이로 좁혀졌다.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567,522 | 584,085 | 602,115 | 644,637 | 690,238 | 733,554 |
5) 부산시 전년동월 대비 공동주택 호실 증가 ( 인천과 2위 도시를 겨루는 지역 )
- 부산시 공동주택 호실은 꾸준히 3~4%씩 증가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는 상당히 안정적이다.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681,877 | 704,388 | 720,941 | 748,901 | 774,958 | 803,068 |
6) 서울시 전년동월 대비 공동주택 호실(주택) 증감율
- 서울시는 오래된 주택이 많아서 공동주택 공급부족을 말하고, 사람이 많아서 공동주택 공급부족을 말하는 도시다.
- 호수를 기준으로 2025년 서울시 공동주택의 호수는 크게 증가했다.
2020년 | 2021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2025년 |
1,482,414 | 1,525,721 | 1,558,416 | 1,586,467 | 1,620,206 | 1,698,366 |
반응형
'경제정보와정책 > 통계자료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결혼 적령기-결혼 상대가 없어 결혼하지 못하는 남자들 (0) | 2025.02.22 |
---|---|
통계청 자료 기준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 조사 (0) | 2025.02.17 |
한국의 총 출생아수 통계-전국 출생아가 많이 태어나는 월 (0) | 2025.02.10 |
서울시 출생아 현황 분석-영아 급감 추세는 멈췄다. (0) | 2025.02.09 |
가계부채를 진 청년가구주와 부채없는 청년가구주의 투자 결과 (0) | 2025.01.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