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4년 7월 4일 주민등록인구수 자료를 기준으로 경기도 김포시의 2024년 6월 주민등록인구수를 인구 피라미드와 인구의 성별, 연령대별 인구수를 비교하고, 주요 연령대별 구분 인구수를 분석한다. -영유아, 학령인구, 혼인율 높은 연령대, 생산가능인구, 고령인구별로 구분하여 인구수 비율을 분석합니다.
[Report Version - 240616] 경기도 김포시
1. 김포시 인구 피라미드 구성과 주택 가격
1) 인구피라미드와 최다 연령의 성, 연령 인구수
[1] 총 연령대별 인구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는 성별, 연령별 인구수
[2] 중심축을 기준으로 왼편 붉은색은 여성, 오른편 남색은 남성. ( 여성인구의 마이너스 표시는 무시하십시오. )
[3] 아래의 표는 전 연령에서 가장 인구수가 많은 대표 연령과 인구수를 표시합니다.
여성 42세 | 남성 42세 |
5,277명 | 5,483명 |
2. 김포시 인구피라미드 변화와 연령대 구분 비율
*통계청 2024. 7. 4 공개 : 주민등록인구수-시군구-1세 단위 ( 통계기간 2024년 6월 인구수 )
1) 연령대 구분과 인구수, 비율
[1] 42~51세 연령대 인구수와 학령인구 인구수가 가장 높은 인구 비율로 나타남.
2) 연령대별 성 비율 증감
3) 지역 내 과거 인구와 최근 인구수 비교(10년 전 비교)
[1] 2014년1월과 비교
- 10년전과 비교해 전체적인 인구수 증가.
- 특히 40~44세 연령대의 인구수가 크게 증가하여 좌우로 뚫고 나온 형상으로 보임.
- 20대의 경우엔 10년 전과 크게 다르지 않지만, 30대 초중반의 인구 유입으로 학령인구가 동시에 증가하며 홀쭉해 보임.
[2] 아래 도표는 2012년 1월과 비교한 2024년 1월의 인구피라미드 비교표
- 0을 기준으로 윗부분은 해당 연령과 성별로 인구가 증가한 것이고, 반대의 경우 2012년 대비 감소한 것이다.
2014년 1월 피라미드 | 2024년 1월 피라미드 |
![]() |
![]() |
[3] 김포시 총인구와 65세 이상 인구수와 비율 ( 고령화율 15.25% )
통계연월 | 고령인구 | 총인구 | 고령화율 |
24년5월 | 74,098 | 486,017 | 15.25% |
3. 김포시 연령대 구분 세부 분석
(1) 총 인구수와 성비율
[1] 김포시는 전체적으로 남녀의 성비율이 100% 임. ( 가구 구성 유입으로 남/녀 동비율 증가한 것으로 보임. )
[2] 하지만, 젊은 층에서 남성의 인구비율이 여성보다 높고, 고령층에서 여성비율이 높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42,681 | 243,336 | 486,017 | 100.3% |
(2) 영유아 인구수와 성비율 (0세~6세)
영유아보육법 [ 시행 2024. 2. 17 ]
제2조(정의) 1항 : "영유아"란 7세 이하의 취학 전 아동을 말한다.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7세 이하를 영유아에 포함하려 했으나, 통상적으로 만 7세는 기존 우리나라의 나이에서 8세 연령대에 속하여 취학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따라서 본 통계의 영유아 연령은 영아와 유아의 연령대를 0세~6세까지로 하여 집계한다.
[1] 통계상의 영유아 인구비율로 남성인구가 더 많다. ( 통계치보다 남성의 인구가 더 높다. )
[2] 지역 전체 영유아 인구수는 25,799명으로 지역 주민등록 인구수 대비 5.3% 수준이다. ( 매우 높은 수준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3,390 | 12,409 | 25,799 | 92.7% |
(3) 7세~21세 : 학령인구 인구수와 남녀 성비율
본 연령대에서 구분되는 구분
1) 생산가능인구(15세부터), 2) 학령인구, 3) 여성의 경우 통계상의 가임기(15세부터)
[1] 전형적인 인구가 유입되는 지역의 특성이다. ( 김포시의 영유아 비율과 달리 성비율 개선됨. )
- 외부에서 김포시로 유입된 인구가 자녀를 데리로 오므로, 이 지역에서 성비율이 개선된 것.
- 이점에서 19~21세 인구수가 기존 성비율보다 낮은 것은 계속 거주자와 김포시 유출된 인구로 인한 것임.
[2] 이 지역에서 학령인구에 속하는 연령대의 인구비율은 16.4%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40,569 | 39,052 | 79,621 | 96.3% |
(4-1) 22세~31세 인구와 남녀 성비율
본 연령대는 많지는 않으나 혼인율이 서서히 올라가는 시기다. ( 취업 및 취업활동이 시작되는 시기 )
- 혼인율이 서서히 발생하는 시기이며, 실제 생산가능인구로 들어서는 시기라 할 수 있다.
[1] 연령대가 높아지며, 인구수가 많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3] 이 지역에서 생산가능인구 초반 연령대의 인구비율은 10.8%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6,821 | 25,673 | 52,494 | 95.7% |
(4-2) 32세~41세 인구와 남녀 성비율
본 시기는 생산가능인구 시기에서 가장 왕성한 활동이 기대되는 시기다.
- 특히 본 연령대에서 여성은 31~32세, 남성은 32~34세 연령대에서 혼인율이 가장 높다.
[1] 10년전 32세였던, 현재 41세의 인구수 증가는 가정 단위의 유입인구 증가였다는 것을 말함.
- 10여년전부터 20대 후반부터 유입된 인구들이 김포시에 거주량이 늘어났고, 그들은 김포시에 살고 있다. (누적)
[2] 이 지역에서 생산가능인구이며, 가장 많은 혼인율을 나타내는 연령대의 인구비율은 14.84%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35,310 | 36,794 | 72,104 | 104.2% |
(5) 42세~51세 인구와 성비율 (생산가능인구)
1) 통계청의 '2023년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 조사' - 중장년 주된 직장 퇴직 연령 평균 49.4세
2) 여성 가임기 통계 49세 ( 가임기 연령구분 : 15세 ~ 49세 )
[1] 10여년전부터 유입된 인구의 대략적 연령대를 확인할 수 있다.
- 20대 후반에서 30대 초반이었던 인구가 김포시로 집중적으로 유입된 것이다.
[2] 이 지역에서 중장년 연령대의 인구비율은 18.9%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47,453 | 44,397 | 91,850 | 93.6% |
(6) 52세~61세 인구와 성비율 (생산가능인구-통계상 퇴직 연령은 49.9세)
[1] 고령층에 다가설 수록 인구수는 줄어들고 있다. ( 김포시 신도시 구축하며 유입 연령이 젊은 층이었다는 것 )
[2] 해당 연령에서 가장 낮은 인구를 나타내는 연령은 60세다. - 타 지역 추세와 같다.
[3] 이 지역에서 생산가능인구 커트라인까지 해당하는 연령대의 인구비율은14.5%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35,601 | 34,642 | 70,243 | 97.3% |
(7) 62세~71세 인구와 성비율 (고령층과 예비 고령층)
향후 5년 이내에 고령층에 편입될 예비 고령층의 성비와 인구수를 추정하여 5년 내에 고령층을 조견 한다.
[1] 국민연금 수령세대이자, 은퇴 혹은 고령자 취업 등으로 살아가야 하는 시기
[2] 이 지역에서 연령대의 인구비율은 11.3%다.
[3] 여성인구 비율이 남성인구를 초월하기 시작했다. 서서히 고령화진행 추세에 있다.
- 3년 이내에 고령인구수는 급격히 증가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 당장 내년부터 고령인구가 되는 64세 인구가 많다.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6,754 | 28,260 | 55,014 | 105.6% |
(8) 72세~84세 인구와 성비율
통계상 초고령인구는 85세부터 통계 분류가 된다. 그 이전의 연령대의 고령인구를 구분한다.
[1] 학회지나 연구 논문에서 말하는 초고령노인의 기준은 85세. ( 하지만 본 문서에서는 81세 이상으로 구분함 )
[2] 본 연령대의 고령인구 비율은 6.6%다. ( 많은 비율 )
[3] 도농복합도시인 김포시는 역설적이게도 고령층 인구가 비율이 상당히 높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4,588 | 17,511 | 32,099 | 120.0% |
(9) 85세 이상 초고령 인구와 성비율
통계상 초고령인구
[1] 학회지나 연구 논문에서 말하는 초고령노인의 기준은 85세. ( 하지만 본 문서에서는 81세 이상으로 구분함 )
[2] 85세 이상 초고령 노인비율은 1.4%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195 | 4,598 | 6,793 | 209.5% |
'경기도아파트와주택분석 > 경기도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하남시 인구 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 분석 (0) | 2024.07.21 |
---|---|
경기도 연천군 인구 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 분석 (0) | 2024.07.20 |
경기도 양주시 인구 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 분석 (0) | 2024.07.09 |
경기도 파주시 인구 피라미드와 성, 연령별 인구수 분석 (0) | 2024.07.08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인구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 분석 (0) | 2024.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