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2024년 7월 4일 주민등록인구수 자료를 기준으로 경기도 양주시의 2024년 6월 주민등록인구수를 인구 피라미드와 인구의 성별, 연령대별 인구수를 비교하고, 주요 연령대별 구분 인구수를 분석한다. -영유아, 학령인구, 혼인율 높은 연령대, 생산가능인구, 고령인구별로 구분하여 인구수 비율을 분석합니다.
[Report Version - 240616] 경기도 양주시 2024년 6월 인구
1. 양주시 인구 피라미드 구성과 주택 가격
1) 인구피라미드와 최다 연령의 성, 연령 인구수
[1] 총 연령대별 인구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차지하는 성별, 연령별 인구수
[2] 중심축을 기준으로 왼편 붉은색은 여성, 오른편 남색은 남성. ( 여성인구의 마이너스 표시는 무시하십시오. )
[3] 아래의 표는 전 연령에서 가장 인구수가 많은 대표 연령과 인구수를 표시합니다.
여성 32세 | 남성 42세 |
6,142명 | 5,637명 |

2. 양주시 인구피라미드 변화와 연령대 구분 비율
*통계청 2024. 7. 4 공개 : 주민등록인구수-시군구-1세 단위 ( 통계기간 2024년 6월 인구수 )
1) 연령대 구분과 인구수, 비율

2) 연령대별 성 비율 증감

3) 지역내 과거 인구와 최근 인구수 비교(동월비교)
[1] 2014년1월과 비교
- 20대 여성인구수가 많이 증가하여, 비 정상적이었던 2014년보다 인구 구조가 견고해 보인다.
- 40대 인구가 최근 들어서 연령대별로 10년전에 비하여 증가했다.
- 전체적인 인구 구성과 비율은 좋아졌으나, 0~6세 사이의 영유아 인구는 소폭씩 감소했다.
[2] 아래 도표는 2012년 1월과 비교한 2024년 1월의 인구피라미드 비교표
- 0을 기준으로 윗부분은 해당 연령과 성별로 인구가 증가한 것이고, 반대의 경우 2012년 대비 감소한 것이다.
2014년 1월 피라미드 | 2024년 1월 피라미드 |
![]() |
![]() |
[3] 양주시 총인구와 65세 이상 인구수와 비율 ( 초고령화율 17.31% )
통계연월 | 고령인구 | 총인구 | 고령화율 |
24년6월 | 48,497 | 280,188 | 17.31% |
3. 양주시 연령대 구분 세부 분석
(1) 총 인구수와 성비율
[1] 경기도 양주시 전체의 인구에서 남성인구대비 여성인구수 비율이 98.5%로 여성인구수가 적다.
[2] 여성인구는 70세 전후로 남성보다 많은 인구수를 나타낸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41,168 | 139,020 | 280,188 | 98.5% |

(2) 영유아 인구수와 성비율 (0세~6세)
영유아보육법 [ 시행 2024. 2. 17 ]
제2조(정의) 1항 : "영유아"란 7세 이하의 취학 전 아동을 말한다.
상기 법령을 기준으로 7세 이하를 영유아에 포함하려 했으나, 통상적으로 만7세는 기존 우리나라의 나이에서 8세 연령대에 속하여 취학한 것으로 가정한다. 이에 따라서 본 통계의 영유아 연령은 영아와 유아의 연령대를 0세~6세까지로 하여 집계한다.
[1] 양주시에서 영유아 여성의 인구비율이 남성보다 95.9%로 적은 편이다. ( 정상범위 )
[2] 지역 전체 영유아 인구수는 21,296명으로 지역 주민등록 인구수 대비 5.2% 수준이다. ( 매우 높은 수준이다.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7,391 | 7,088 | 14,479 | 95.9% |

(3) 7세~21세 : 학령인구 인구수와 남녀 성비율
본 연령대에서 구분되는 구분
1) 생산가능인구(15세부터), 2) 학령인구, 3) 여성의 경우 통계상의 가임기(15세부터)
[1] 19세 연령대에서 성비율이 급하게 벌어진다. (대학진학 전 이사가 아니라면, 진학 후 근처에 주거마련 가능성)
[2] 전반적으로 학령인구에 속하는 연령대에서 성비율은 나쁘지 않다.
[3] 이 지역에서 학령인구에 속하는 연령대의 인구비율은 14.7%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0,853 | 20,205 | 41,058 | 96.9% |

(4-1) 22세~31세 인구와 남녀 성비율
본 연령대는 많지는 않으나 혼인율이 서서히 올라가는 시기다. ( 취업 및 취업활동이 시작되는 시기 )
- 혼인율이 서서히 발생하는 시기이며, 실제 생산가능인구로 들어서는 시기라 할 수 있다.
[1] 남성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 동반하여 여성인구도 증가하는 모습을 보인다. )
[2] 성비율이 남성위주로 증가하는 시기다. ( 상대적으로 저렴한 주택가격 때문일 가능성이 높다. )
[3] 이 지역에서 생산가능인구 초반 연령대의 인구비율은 11.7%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7,391 | 15,479 | 32,870 | 89.0% |

(4-2) 32세~41세 인구와 남녀 성비율
본 시기는 생산가능인구 시기에서 가장 왕성한 활동이 기대되는 시기다.
- 특히 본 연령대에서 여성은 31~32세, 남성은 32~34세 연령대에서 혼인율이 가장 높다.
[1] 혼인율이 높아지는 시기를 지나며 성비율이 개선되어 간다. ( 혼인 및 기타사유로 함께 유입된 가족일 가능성 )
[2] 전반적이고, 추세적으로 해당 연령대의 39세로 갈수록 인구수가 줄어드는 것은 경향이 적다.
[3] 이 지역에서 생산가능인구이며, 가장 많은 혼인율을 나타내는 연령대의 인구비율은 13.78%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9,901 | 18,709 | 38,610 | 94.0% |

(5) 42세~51세 인구와 성비율 (생산가능인구)
1) 통계청의 '2023년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 조사' - 중장년 주된 직장 퇴직 연령 평균 49.4세
2) 여성 가임기 통계 49세 ( 가임기 연령구분 : 15세 ~ 49세 )
[1] 1980년생인 현재 45세~48세에서 1979년과 달리 인구수가 떨어진 모습. - 타지역 비교
[2] 2차 베이비붐 끝세대인 50세와 그 후 인구의 숫자 차이 벌어짐.
[3] 이 지역에서 중장년 연령대의 인구비율은 16.7%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3,914 | 22,864 | 46,778 | 95.6% |

(6) 52세~61세 인구와 성비율 (생산가능인구-통계상 퇴직 연령은 49.9세)
[1] 고령층에 가까워 질 수록 인구수가 줄어든 모습을 보인다. ( 25~ 50세의 인구가 양주로 유입되었다는 의미 )
[2] 해당 연령에서 가장 낮은 인구를 나타내는 연령은 60세다. - 타 지역 추세와 같다.
[3] 이 지역에서 생산가능인구 커트라인까지 해당하는 연령대의 인구비율은16.1%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23,298 | 21,936 | 45,234 | 94.2% |

(7) 62세~71세 인구와 성비율 (고령층과 예비 고령층)
향후 5년 이내에 고령층에 편입될 예비 고령층의 성비와 인구수를 추정하여 5년내에 고령층을 조견한다.
[1] 국민연금 수령세대이자, 은퇴 혹은 고령자 취업 등으로 살아가야 하는 시기
[2] 이 지역에서 연령대의 인구비율은12.6%다.
[3] 올해 말부터 고령인구수가 크게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 현재 64세가 고령층 편입이 시작되는데 인구가 많다.)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7,477 | 17,701 | 35,178 | 101.3% |

(8) 72세~84세 인구와 성비율
통계상 초고령인구는 85세부터 통계 분류가 된다. 그 이전의 연령대의 고령인구를 구분한다.
[1] 학회지나 연구 논문에서 말하는 초고령노인의 기준은 85세. ( 하지만 본 문서에서는 81세 이상으로 구분함 )
[2] 본 연령대의 고령인구 비율은 7.5%다. ( 높은 비율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9,399 | 11,597 | 20,996 | 123.4% |

(9) 85세 이상 초고령 인구와 성비율
통계상 초고령인구
[1] 학회지나 연구 논문에서 말하는 초고령노인의 기준은 85세. ( 하지만 본 문서에서는 81세 이상으로 구분함 )
[2] 85세 이상 초고령 노인비율은 1.78%다. ( 낮은 수준 )
[3] 초고령층 이상의 인구수는 양주신도시 이전 거주 인구로 보인다. ( 이 지역 역시 도농 복합도시지역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여성비율 |
1,544 | 3,441 | 4,985 | 222.9% |

'경기도아파트와주택분석 > 경기도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연천군 인구 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 분석 (0) | 2024.07.20 |
---|---|
경기도 김포시 인구 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 분석-2024년6월 (0) | 2024.07.10 |
경기도 파주시 인구 피라미드와 성, 연령별 인구수 분석 (0) | 2024.07.08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인구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 분석 (0) | 2024.06.13 |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인구 피라미드와 성별, 연령별 인구수 분석 (2) | 2024.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