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울과 광역시를 "대도시" 카테고리로 묶어서 대도시 사교육비 현황을 통계청에서 집계하고 있다.
이번에 집계할 대도시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초등학생의 연간 평균 인구수를 기준으로 대도시 초등학생의 사교육비 현황을 추가로 조사하여 리포트한다.
번 리포트는 사교육비 지출현황(통계청 자료와 주민등록인구수 기준 7세~12세의 초등학생 연령의 인구를 연간 평균하여 계산하였다. ) 또한 대도시(서울시, 대전시, 부산시, 광주시, 대구시, 울산시)를 기준으로 한 통계를 기준으로 한 것이므로 참고용 데이터로 봐주시길 바랍니다. 초등학생 수의 정확성에서 통계청의 결과와 비교해 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었는데, 정확한 자료를 갖고 있는 데이터의 결과와 큰 차이가 없어서 흥미로웠다.
참고자료 : 2023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 ( 통계청 보도자료 )
2023년+초중고사교육비조사+결과.pdf
3.60MB
*데이터 수정 : 2025/2/23/07:00 ( 전국사교육비 -> 대도시 사교육비로 정정 )
초등학생 사교육비 현황
솔직히 이 통계를 보기 전까지 초등학생들의 사교육비에 관심이 없었다. 초등학교 애들이 학원을 다녀봐야 얼마나 다닐까? 하는 순진한 생각도 했었던 게 사실이다. 내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
apt-micro.tistory.com
반드시 생각해봐야 한다.
이렇게 사교육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초등학생이 의대반을 꿈꾸는 것일 수 있고 맞벌이 부부의 근무시간 동안 아이가 머물 수 있는 안전한 학원이 필요했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그리고 무엇보다 사교육을 통해서 자녀가 다른 집 자녀보다 나아지길 바랄 것이다. 왜 나아지길 바라는가? 남보다 더 잘 살길 바라기 때문이 아닌가? 그럼 이대로 계속 사교육비는 전년보다 더 증가하며 자녀를 키우는 것은 그 이전보다 더욱 어려운 상황이 될 것이다. 진정 그런 사회를 바라는 것인가? 끝이 정해진 사회를 바라는가?
하는 근본적 질문이 필요할 것 같다.
대도시 초등학생과 사교육비
1) 대도시 초등학생 사교육비 : 5조 4천9백억 원( 2023년 기준 )
- 대도시권의 사교육비는 2007년 4조 9천억 원에서 2023년 5조 4천9백억 원 수준으로 증가액은 크지 않다.
- 하지만, 이 시기 초등학생 연령대의 인구수는 2007년 171만 명에서 109만 명으로 감소했다는 점이 중요하다.
- 서울시와 광역시를 대도시로 묶었기 때문에 서울시, 대전시, 부산시, 울산시, 광주시, 대구시를 포함한 초등학생 연령을 따로 연도별로 추출하여 연평균 학생수를 추렸다는 점은 양지해 주시길 바란다.
- 아래는 총 초등학생의 사교육비 현황이다.
연도 | 전체 | 대도시 | 대도시 이외 |
2007년 | 102,098 | 49,070 | 53,028 |
2008년 | 104,307 | 49,143 | 55,164 |
2009년 | 102,309 | 45,515 | 56,794 |
2010년 | 97,080 | 41,508 | 55,572 |
2011년 | 90,461 | 38,837 | 51,623 |
2012년 | 77,554 | 35,353 | 42,200 |
2013년 | 77,375 | 34,489 | 42,886 |
2014년 | 75,949 | 34,163 | 41,786 |
2015년 | 75,287 | 33,634 | 41,653 |
2016년 | 77,438 | 33,884 | 43,555 |
2017년 | 81,311 | 37,163 | 44,148 |
2018년 | 85,531 | 37,935 | 47,597 |
2019년 | 95,597 | 41,180 | 54,417 |
2020년 | 76,107 | 34,561 | 41,546 |
2021년 | 105,279 | 46,646 | 58,633 |
2022년 | 119,055 | 52,300 | 66,755 |
2023년 | 124,222 | 54,900 | 69,321 |
2) 대도시 초등학생 인구수와 사교육비 증감액
- 연도별 대도시 초등학생 사교육비 / 대도시 초등학생수 / 12개월 / 6년 = 1인 월평균 사교육비
- 2023년 초등학생 사교육비가 대도시의 경우엔 1인 월평균 42만 원이 되었다. ( 매우 현실과 다른 금액이다. )
- 아는 지인의 경우 피아노(주 3일), 영어학원, 태권도, 수영(주 3일)로 100~110만 원가량이 든다고 했다. (맞벌이)
- 평균이므로 이보다 낮게 보이는 것이다. ( 사교육을 받지 않는 아이들도 다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
- 아래 해당 기간 동안 대도시권의 초등학생은 171만 명 -> 109만 명으로 감소했는데, 오히려 사교육비는 24만 원에서 42만 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 이는 사교육 건수, 비용증가의 사유일 것이다. )

3) 대도시 초등학생 인구수와 사교육비 전년 대비 증감률
- 코로나 대유행 시기에 -19.7%로 감소한 기간.
- 하지만 2010년~2012년 소폭이지만 사교육비가 감소했다.
- 두 시기를 잠시만 생각해 보자. ( 2008년~2010년 리먼사태로 국제 금융위기 시기였다. 그리고 2020년 코로나 대유행시기)
- 위기의 시기가 되면 아이들의 사교육비도 감소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대도시 지역에서 초등학생인구수가 가장 급격하게 감소한 시기는 2009년과 2013년으로 연평균 88000명 이상 감소했다.
- 대도시권의 사교육 비용은 2012년까지 감소했다. ( 초등학생 수가 감소하며 총비용이 감소한 것으로 보인다. )
- 하지만 2013년 이후 초등학생 감소율이 차차 낮아지며 다시 사교육비용은 크게 증가한다. ( 코로나 제외 )

반응형
4) 대도시 초등학생 사교육비와 사교육비 전년 대비 증감률
- 초등학생 아이가 한 명인 집에서 월평균 사교육만 시키면 2023년 월평균 42만 원
- 2명의 초등학생을 키우는 집안이라면 100만 원의 평균 사교육비가 지출된다.
- 결론적인 얘기지만, 이 사교육을 잡지 못한다면 우리나라의 내수 소비회복은 불가능한 환상과 같다.
- 초등학생이 감소하며 사교육비도 감소할 것 같았으나, 마치 대량생산이 불가능한 소비재의 고가 제품화가 되는 듯 한 사교육 시장의 모습이 보인다.

반응형
'경제정보와정책 > 통계자료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의 출생아수와 출산율, 일본의 출생율과 출생아 비교 (0) | 2025.03.10 |
---|---|
전국에서 아파트 매매가 가장 많은 곳-2025년 2월말까지 (2) | 2025.03.04 |
초등학생 사교육비 현황 (0) | 2025.02.22 |
결혼 적령기-결혼 상대가 없어 결혼하지 못하는 남자들 (0) | 2025.02.22 |
통계청 자료 기준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 조사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