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정보는 2025년 3월 3일 국토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의 전국 아파트 거래량 2025년 1월~2월 말까지 등록건을 기준으로 작성한 자료이며, 추후 계약해지등에 의해서 데이터가 변경될 가능성이 높으므로 참고용으로 보십시오.
- 전월세 임대거래량이 많은 지역은 직주근접의 유리한 지역일 수 있다.
- 전월세 임대거래량이 많은 지역은 아파트의 경우엔 "거주여건", "양육환경"등의 영향을 크게 받는 지역이다.
- 전월세 거래 중, 월세 거래량이 많은 지역은 정부의 공공임대 아파트들이 공급된 지역일 가능성이 높다.
- 아파트 전월세 거래 중, 전세 거래의 경우엔 전세가격과 거주여건(환경,학교(양육관련))이 매우 큰 영향.
- 전월세 임대거래량이 많은 지역은 임대로 나오는 아파트 투자물건이 많은 지역이다. ( 이건 조금 당연하게도 직주 할게 아니니 전세든, 월세든 임대로 놓는 것이다. 직접 거주할 경제적 여력이 없는 상황에서 투자된 것일 가능성이 높다. )
전국에서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가장 많은 "충청북도 청주시"
- 2025년 2월 말까지 전국에서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충청북도 청주시 1526건 매매.
- 두번째로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많은 지역은 경상남도 창원시 1292건
- 세 번째로 아파트 매매 거래량이 많은 지역은 전라북도 전주시 1252건
행 레이블 | 매매 | 월세 | 전세 |
충청북도 청주시 | 1526 | 899 | 1366 |
경상남도 창원시 | 1292 | 812 | 1855 |
전라북도 전주시 | 1252 | 987 | 925 |
충청남도 천안시 | 1150 | 1038 | 1144 |
경기도 용인시 | 1148 | 1103 | 2465 |
경기도 수원시 | 1127 | 1364 | 2503 |
경기도 화성시 | 943 | 3148 | 2801 |
경기도 고양시 | 887 | 873 | 2523 |
강원도 원주시 | 772 | 514 | 1322 |
경상남도 김해시 | 771 | 418 | 593 |
전국에서 아파트 전세 거래량이 가장 많은 "경기도 화성시"
- 2025년 2월 말까지 전국에서 아파트 전세 거래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 화성시 2801건 전세거래.
- 두 번째로 아파트 전세 거래량이 많은 지역은 경기도 고양시 2523건
- 세 번째로 아파트 전세 거래량이 많은 지역은 경기도 수원시 2503건
행 레이블 | 매매 | 월세 | 전세 |
경기도 화성시 | 943 | 3148 | 2801 |
경기도 고양시 | 887 | 873 | 2523 |
경기도 수원시 | 1127 | 1364 | 2503 |
경기도 용인시 | 1148 | 1103 | 2465 |
경기도 성남시 | 565 | 1358 | 2228 |
서울시 송파구 | 427 | 1355 | 2123 |
서울시 강동구 | 353 | 1389 | 1976 |
경상남도 창원시 | 1292 | 812 | 1855 |
경기도 안양시 | 597 | 565 | 1666 |
경기도 남양주시 | 603 | 1106 | 1598 |
전국에서 아파트 월세 거래량이 가장 많은 "경기도 화성시"
- 2025년 2월 말까지 전국에서 아파트 월세 거래량이 가장 많은 지역은 경기도 화성시 3148건 월세거래.
- 두 번째로 아파트 월세 거래량이 많은 지역은 서울시 강동구 1389건
- 세 번째로 아파트 전세 거래량이 많은 지역은 경기도 수원시 1364건
행 레이블 | 매매 | 월세 | 전세 | 임대량 |
경기도 화성시 | 943 | 3148 | 2801 | 5949 |
서울시 강동구 | 353 | 1389 | 1976 | 3365 |
경기도 수원시 | 1127 | 1364 | 2503 | 3867 |
경기도 성남시 | 565 | 1358 | 2228 | 3586 |
서울시 송파구 | 427 | 1355 | 2123 | 3478 |
경상북도 구미시 | 687 | 1331 | 401 | 1732 |
서울시 강남구 | 331 | 1293 | 1423 | 2716 |
경기도 평택시 | 670 | 1292 | 1098 | 2390 |
인천시 남동구 | 490 | 1273 | 547 | 1820 |
경기도 파주시 | 427 | 1115 | 890 | 2005 |
반응형
'경제정보와정책 > 통계자료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년인구(15세~29세) 쉬었음 인구 50만명과 저출산 해소 골든타임. (2) | 2025.03.17 |
---|---|
한국의 출생아수와 출산율, 일본의 출생율과 출생아 비교 (0) | 2025.03.10 |
서울과 광역시의 초등학생 사교육비 리포트-충격적 비용 (4) | 2025.02.22 |
초등학생 사교육비 현황 (0) | 2025.02.22 |
결혼 적령기-결혼 상대가 없어 결혼하지 못하는 남자들 (0) | 2025.0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