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주택(오피스텔 포함)의 종류 및 주거면적별 가구(일반가구) -시군구" 자료를 기준으로 수도권 아파트 거주 가구수의 변화도를 확인해 보면, 아파트 거주 가구만을 기준으로 본다면 수도권으로의 인구 및 가구의 유입은 줄지 않고 계속해서 증가함을 알 수 있다.
1. 수도권 아파트 거주 가구수
아래의 표는 수도권 거주 가구 중, 아파트에 거주하고 있는 서울시, 경기도, 인천시의 *일반가구 합계이다.
단위는 1만가구이고, 2015년 조사시점을 기준으로 아파트로 한정 한다면 경기도의 거주 가구수는 가장 많이 증가함.
* 일반가구 : 가족으로 이루어진 가구, 가족과 5인 이하의 남남이 함께 사는 가구, 1인가구, 가족이 아닌 남남끼리 사는 5인 이하의 가구(통계청 통계자료설명)
조사연도 | 서울시 | 경기도 | 인천시 | 가구계 |
2015년 | 158.6 | 241.0 | 55.5 | 455.2 |
2016년 | 158.9 | 247.8 | 56.4 | 463.1 |
2017년 | 161.1 | 255.7 | 57.1 | 474.0 |
2018년 | 162.0 | 270.3 | 59.4 | 491.6 |
2019년 | 166.9 | 284.4 | 61.6 | 512.9 |
2020년 | 171.3 | 297.5 | 63.0 | 531.8 |
2021년 | 175.8 | 309.1 | 65.2 | 550.1 |
2022년 | 178.8 | 317.6 | 67.8 | 564.2 |
2. 수도권 아파트 거주 가구수 전년비 증가 가구수
기준년인 2015년을 기준으로 매년 전년대비 증가한 아파트 거주 가구수다. 기존 아파트의 멸실외엔 감소할 부분이 없으므로, 아파트의 공급량으로 봐도 무방할 것이다.
2019년의 아파트 가구수 공급량은 212,453가구 순증으로 폭발적인 증가량을 기록했고, 증가한 가구수 만큼이나 투자등의 유입이 잇달았다. 이 시점에서 코로나가 없었다면 과잉공급에 의한 조정장세가 나타날 개연성이 있으나, 바로 다음해 코로나로 인한 역사상 가장 낮은 0.5%의 금리가 전국을 투기판으로 만들어 버렸다.
조사연도 | 전년비-서울 | 전년비-인천 | 전년비-경기 |
2015년 | |||
2016년 | 3,091 | 8,536 | 67,669 |
2017년 | 21,882 | 7,372 | 79,166 |
2018년 | 8,966 | 22,382 | 145,313 |
2019년 | 48,331 | 22,296 | 141,826 |
2020년 | 44,191 | 14,005 | 130,700 |
2021년 | 45,180 | 21,798 | 116,435 |
2022년 | 30,179 | 26,526 | 84,209 |
3. 수도권 아파트 거주 비율
비율상으로 2015년을 기준으로 2022년을 살펴보면 서울시에서 감소된 아파트 거주 가구가 경기도로 모두 유출되었다고 봐도 무방할 수준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다. 인천의 경우 수도권 아파트 거주가구 비율이 12% 이하로 떨어진 2020년, 2021년이 있었으나, 2022년 곧바로 다시 회복되었다.
조심스러운 소견이지만, 서울->경기->인천으로 밀려나는게 아닐지 우려스럽다.
2020년의 서울시 비율의 0.32%감소와 인천시의 0.16%감소. 그리고 경기도의 0.52%증가한 아파트 거주 가구의 변동이 그 의심을 하게한 이유다.
조사연도 | 서울시 | 경기도 | 인천시 |
2015년 | 34.85% | 52.95% | 12.20% |
2016년 | 34.32% | 53.51% | 12.17% |
2017년 | 34.00% | 53.95% | 12.05% |
2018년 | 32.96% | 54.97% | 12.07% |
2019년 | 32.53% | 55.46% | 12.01% |
2020년 | 32.21% | 55.94% | 11.85% |
2021년 | 31.96% | 56.20% | 11.85% |
2022년 | 31.69% | 56.28% | 12.02% |
통계청이 이 조사를 또 언제할지 알 수 없지만, 수도권에 아파트 거주가구수와 거주인구수는 가히 압도적인 숫자다. 통계표에 이것 저것 다 집어넣은 상태라 하나씩 분류해서 보니 아파트 공화국이란 말이 괜한 소리가 아닌 것 같다.
'경제정보와정책 > 통계자료 설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토부 실거래가 데이터 오류, 신뢰성 하락 국토부-경기도 부천시 사례 (0) | 2024.03.24 |
---|---|
대전광역시-행정구역(시군구)별, 성별 인구수 (0) | 2024.02.07 |
인구 순유입률과 부동산 상관 관계 분석(2023년 국내인구이동통계)-양주시(시군구 2위 순유입률 지역) (2) | 2024.02.05 |
서울시 일자리와 주택가격 관계(의료보험 적용 사업장 수 기준) (0) | 2024.02.01 |
전국 악성미분양 통계와 준공후미분양을 감소시킨 코로나19 사태 (0) | 2024.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