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보와정책/경제관련 정보

우리나라의 자살률과 경제의 연관성-전체와 성별, 연령별 특징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2. 8. 18:28
반응형

참고사항 : 우리나라 자살률과 실업자수 연관성-20대에서 50대

 

우리나라의 자살률과 실업자 수의 관련성-20대부터 50대까지

참고자료 : 우리나라의 자살률과 경제의 연관성-전체와 성별, 연령별 특징 우리나라의 자살률과 경제의 연관성-전체와 성별, 연령별 특징본 문서는 매우 어렵고 괴로운 주제를 다뤄야 하므로

apt-micro.tistory.com

 

 

본 문서는 매우 어렵고 괴로운 주제를 다뤄야 하므로 딱딱한 어조로 글이 작성된다는 점을 미리 말씀드립니다.

본 문서는 지표누리 "국민 삶의 질 지표"와 통계청 "연령별 경제활동인구 총괄"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되며, 각 수치는 통계청의 자료를 그대로 대입합니다. 또한 연도별 통계이므로 통계청의 수치를 자살률에 대입하여 각 연령대별로 결과를 추정하는 자료입니다.

 

한해 우리나라에서 스스로 생을 마감하는 사람들

1) 대한민국 자살률 통계

  • 아래표는 한국의 자살률 통계. ( 10만 명 기준이다. )
  • 2023년 전체 자살률은 27.3명으로 가장 최근인 2014년과 같은 수치다. 
  • 2011년 31.7명으로 정점을 찍은 후 다행히 하락하고 있었는데, 2017년 이후 다시 상승하고 있다.
  • 매우 안타까운 통계수치로 도대체 왜 이런 것인지를 살펴보려 했다. (코로나 시기엔 역설적이게도 소폭 감소했었다.)

지표누리-자살률

 

 

2) 대한민국 자살률 통계 ( 성별 )

  • 모든 연령대에서 성별분류한 자살률이다. 
  • 이 수치에서 느껴지는 것은 남성 자살자 수치다. 1998년 IMF와 2008년 세계경제위기(서브프라임), 
  • 남성의 수치가 여성들에 비해서 유독 튀는 구간들이 눈에 띄었다.
  • 그렇다면 경제적 상황이 자살률에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을 하고, 여러 자료들을 찾아서 대조해 봤다.

지표누리-자살률(성별)

 

3) 대한민국 자살율 통계 ( 연령별-10대 ) - 가정내 경제상황, 경쟁

  • 시급한 정책적 대응이 필요한 수치다. 
  • 2015년 이후 10대 자살률이 상승하고 있다. 이 어린 청소년들이 극단적 선택을 하게 만든 게 무엇인지 철저히 조사해야 한다.
  • 그리고 이들이 그러한 선택을 하지 않도록 정부가 나서야 한다.
  • 이 청소년 시기의 아이들도 경제적 위기 시기에 상승하고 있다. 앞서 말했던 IMF, 서브프라임 시기에 갑자기 튀는 수치가 보인다. 그리고 가장 최근엔 이전 경제위기보다 더 상승한 것을 볼 수 있다.
  • 경제적 위기 외에 다른 요인이 있다는 것이다.( 학업, 경쟁, 가정 내 경제상황이 특히 중요할 것이다. )

지표누리-자살률(10대)

 

 

4) 대한민국 자살율 통계 ( 연령별-60~79세 ) : 경제적 빈곤율과 유관한 상황

  • 고령층의 자살률이 급등하기 시작한 것은 1998년 외환위기를 지난 2000년부터다. 
  • 2000년 ~ 2015사이 고령층 인구에서도 70~79세 연령대의 어르신들의 자살률이 급등한 것을 볼 수 있다.
  • 이 부분에서도 우리나라 고령빈곤율을 빼놓고 얘기할 수 없다. 
  • 2016년부터 자살률은 급격히 낮아지고 있으며 최근인 2023년 소폭 상승했으나, 정점이었던 2011년 이후 개선되고 있다.
  • 특징은 연령대의 동기화 비슷한 모습이다. 
  • 60대와 70대가 어떠한 공유하는 가치가 있을지도 모르겠으나, 이 부분은 정확히 알 수 없다.

지표누리-자살률(60대와 70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