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보와정책/경제관련 정보

한국 수출 15대 주력품목-반도체,자동차,차부품-2025년1월 비교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2. 4. 06:30
반응형

1. 한국의 주력수출품목-반도체, 차, 차부품 수출실적-2025년 1월

1) 2025년 1월 비교

  • 역대 연도별 1월 수출실적에서 반도체는 1월 수출실적에서는 2022년 1월에 비해서만 감소한 상황
  • 반도체의 2024년 12월 실적에 비해서 수출액이 급락함. (2024년 12월 : 145.1억 달러->2025년 1월 : 101.3억 달러)
  • 자동차는 2023년 1월과 비슷한 수출실적이며, 2024년에 비해서 크게 하락한 상황임.
  • 자동차 수출의 경우에도 2024년 12월 60.5억 달러 -> 2025년 1월 49.9억 달러로 큰 폭의 하락.
  • 차부품의 수출실적은 2022년 이후 가장 낮은 수출실적을 보이고 있으며, 전월인 2024년 12월 18.7억 달러->15.7억 달러 감소

한국 주력수출품목 분류 - 반도체,자동차,차부품 역대 1월 비교

 

 

2) 반도체, 자동차, 차부품 합계 실적

  • 2025년 1월 반도체, 자동차, 차부품의 합계 수출실적은 2023년 10월 수준의 실적을 나타냄.
  • 누계에서 2024년 1월에 비하여 수출실적이 더 하락한 상황이며, 조업일수가 명절인 설날로 인해서 4일 감소한 것을 고려해도 너무 많이 하락한 상황임. ( 2025년 1월 27일은 정부에서 임시공휴일 지정 )

한국 주력수출품목의 월별 수출합계 실적

 

 

3) 반도체, 자동차, 차부품 총 수출액 점유율

  • 심화되고 있는 반도체, 자동차 관련 수출의존도
  • 반도체와 자동차, 차부품의 총수출액이 전월에 비해서 크게 감소했음에도 점유율은 2.5% p 감소한 수준임.
  • 다른 품목의 수출액 감소도 컸다는 의미로 생각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3가지 주력품목의 수출점유율은 여전히 높음.
  • 수출 산업자체가 대기업과 그 계열회사의 실적에 크게 의존적이란 의미가 되며, 이 수출주력품목의 성패가 우리나라 수출실적과 직결됨을 의미한다.

반도체,자동차,차부품 합계수출액의 총수출액 점유율

 

 

4) 역대 1월 총 수출액과 반도체, 자동차, 차부품 총 수출액 점유율

  • 2022년 1월 총 수출액과 비교에서도 총수출액이 감소한 2025년 1월에 반도체와 자동차 관련 수출액은 비슷하지만, 오히려 총수출액에 대한 점유율은 3.3% p가 증가한 상황임.
  •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교역물품이 편중되어 가고 있으며, 주력품목 외에 다른 수출품목들의 경쟁력 혹은 수출에서 계속해서 상황이 나빠지고 있는 상황으로 보인다.
  • 이는 전체 산업에 악영향을 끼칠 것으로 보이고, 추후 우리나라의 다른 산업에 대한 육성 및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 미래 먹거리 산업이 절실히 필요해 보이는건 어제오늘의 얘기는 아니지만, 시급해 보인다.
구 분 2022년 1월 2023년 1월 2024년 1월 2025년 1월
총수출액 553.2 462.7 546.9 491.2
반도체외 169.7 127.1 174.9 166.9
점유율 30.7% 27.5% 32.0% 34.0%

 

연도별 1월 총 수출액과 주력품목 수출액 및 비율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