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주민등록인구수를 기준으로 울산광역시의 2008년 ~ 2024년 12월 말까지 17년간의 인구변화를 살펴본다. 해당 통계기간 내 2015년 11월 울산시의 최대 인구수는 117만 명까지 증가했었고, 현재 110만 명선이 붕괴되었다. 최초 통계인 2008년과 비교하여 비슷한 인구수를 나타내고 있는 것은 고령인구의 증가 및 고령인구의 지역 이동이 매우 적기 때문이다.
생산연령 전반에 걸쳐 인구수는 감소하고 있었고, 그 최고 인구수 대비 비율은 -5.4% 감소했고, 특히 이 중에서 청년인구(20~35세) 들의 인구감소는 -6.1%로 더 많았다. 이 청년 인구에서 여성인구는 특히 더 많은 감소를 보였다. 청년 연령대 인구에서 감소한 차이는 여성이 더 가파른 상황을 볼 수 있었다.
청년인구의 감소는 지역내 영유아 인구의 감소를 불러왔으며, 특히 유소년 인구수의 감소와 고령인구의 증가로 인한 울산시 전체의 노령화율은 상당히 급하게 상승하고 있다. 게다가 이 추세가 바뀔만한 여지도 없으며, 2015년 인구 정점을 기준으로 월평균 8천 명에서 1만 명가량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으므로, 추세상 10년 내 울산시 전체 인구수는 100만 명이 무너질 것이다. 또한 동 기간 동안 고령화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될 것이며, 청년세대의 지역 이탈은 더욱 심화될 것이다. 추세가 그렇다. 울산시 만의 문제는 아닐 수 있지만, 이는 울산시의 부동산 소유와 임차에 우선 심각한 영향을 끼치게 될 것으로 판단되며, 그중 임대차 시장에서 먼저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울산시 거주인구의 20%가 고령화되는 시점은 향후 몇년내에 진행될 것이며 실수요인 전세, 월세 등으로 소득을 삼고 있는 임대인들은 빠른 수요감소를 향후 몇 년 내에 맞이할 가능성이 높다. 젊은 세대인 청년세대가 현재의 추세로 감소해 간다면 말이다. 산업구조의 재편이나, 청년들이 열정을 갖고 일할 수 있는 일자리등으로 지역의 청년들이 더 이상 울산시 이외 지역으로 이탈하는 것을 막을 특단의 조치가 있어야 할 것이다.
1. 울산광역시 2008년~2024년 총인구수 변화
- 통계청 주민등록인구수를 기준으로 2008년부터 2024년 말까지의 인구수 변화도
- 통계 기간상 최초 2008년 1월 1,101,448명 -> 2024년 12월 1,098,049명으로 거의 변화 없는 듯 했다.
- 하지만 2015년 11월 통계 기간 내 최대 인구수 1,174,051명과 비교하면 현재 -6.5%의 인구가 감소한 것이다.
- 울산시 성별인구는 일정한 수준의 성별 인구수 격차가 존재했다. ( 남성이 대략 36,000명 더 많다. )
- 울산시의 산업 자체가 중공업 관련 종사자에 큰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으로 해석할 여지가 크다.
- 2015년 11월 울산시 인구 최고치였을 때, 남성은 605,128명, 여성은 568,930명이었다.
2. 울산광역시 생산연령(15세~64세) 인구비율 변화
- 울산광역시에서 가장 생산연령 인구가 많았을 시기는 2014년 11월 ~ 2015년 2월이며 당시 76.4%의 비율
- 생산연령인구는 지역의 생산성과 직결되는 인구이며, 왕성한 경제활동을 하는 시기의 인구수
- 최고 생산연령인구 비율 76.4% -> 최근 2024년 12월 말 기준 71.0%로 5.4% 감소.
3. 울산광역시 영유아(0세~6세) 인구비율 변화
- 울산시의 2008년 영유아 인구 비율은 최대 7.3%
- 울산시의 영유아 인구수 비율은 2009년 ~ 2016년까지 7% 수준의 인구비율이었다.
- 울산시 영유아 인구수 비율이 급락하기 시작한 시기는 정확히 2017년부터다.
- 아래의 표는 울산시 영유아의 연도별 월평균 남성, 여성 인구수 변화를 보여준다. ( 17년간 50% 수준의 감소 )
연도 | 남성(명) | 여성(명) |
2008년 | 41,802 | 37,550 |
2009년 | 41,040 | 37,084 |
2010년 | 40,373 | 36,645 |
2011년 | 40,495 | 37,115 |
2012년 | 41,198 | 38,128 |
2013년 | 42,052 | 39,226 |
2014년 | 42,160 | 39,606 |
2015년 | 42,249 | 39,616 |
2016년 | 42,058 | 39,536 |
2017년 | 41,027 | 38,679 |
2018년 | 39,013 | 36,880 |
2019년 | 36,591 | 34,664 |
2020년 | 33,947 | 32,162 |
2021년 | 31,083 | 29,352 |
2022년 | 28,078 | 26,591 |
2023년 | 25,188 | 23,964 |
2024년 | 22,794 | 21,900 |
4. 울산광역시 고령(65세 이상) 인구비율 변화
- 울산시의 2008년 고령 인구 비율은 최대 6.0% -> 이후 2024년 12월 말 17.2%까지 상승.
- 이후 고령화는 계속하여 증가방향으로 진행될 것이다.
5. 울산광역시 청년(20세~35세 이상) 인구비율 변화
- 청년인구 연령을 20세~35세로 분류하여 인구수 변동을 살펴보면 가장 심각한 부분이 바로 이 연령대.
- 2008년 당시 울산시의 청년인구 비율은 24.4% -> 2024년 12월 말 18.3% ( -6.1% 감소 )
- 이 연령대가 중요한 이유는 30세 초반 혼인율과 출산율이 가장 높은 시기이기 때문이다.
- 그나마 20대 초반은 부모의 양육환경하에 있을 가능성이 높은 시기임에도 이 비율이 낮아진 것은 이들 연령대 청년들이 울산시를 많이 떠났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 아래의 그래프에서 볼 수 있는 것은 2008년 청년인구 남녀 인구수 격차는 1만 명가량이었다.
- 지금은 2만 명 이상으로 남녀 성비 격차가 심화되었다는 것으로 지역을 이탈하는 인구에서 여성이 더 많다는 것이다.
- 아래의 표는 청년(20세~25세) 인구의 연도별 월평균 인구수를 나타낸다.
- 청년 여성인구의 10만 명선 붕괴는 2021년에 이미 나타났으며, 이 연령대 여성인구수의 감소세가 특히 크다.
- 일자리와 관련하여 울산시에 여성들이 선호할 일자리가 없다던지, 지역을 떠나야 할 이유들이 있을 것이다.
년도 | 남성(명) | 여성(명) | 총인구 |
2008년 | 140,074 | 127,921 | 267,995 |
2009년 | 138,906 | 124,875 | 263,781 |
2010년 | 136,668 | 121,997 | 258,665 |
2011년 | 137,172 | 121,128 | 258,300 |
2012년 | 140,057 | 121,504 | 261,561 |
2013년 | 142,872 | 122,189 | 265,061 |
2014년 | 144,636 | 122,057 | 266,693 |
2015년 | 145,987 | 121,552 | 267,539 |
2016년 | 144,238 | 119,057 | 263,295 |
2017년 | 139,844 | 115,424 | 255,268 |
2018년 | 134,711 | 111,109 | 245,820 |
2019년 | 130,089 | 106,362 | 236,451 |
2020년 | 126,897 | 102,319 | 229,216 |
2021년 | 123,320 | 98,472 | 221,792 |
2022년 | 119,358 | 94,785 | 214,143 |
2023년 | 115,924 | 90,919 | 206,843 |
2024년 | 114,209 | 88,149 | 202,358 |
'5대 광역시와 세종시 주택분석 > 특례 및 광역시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산시 아파트 거래량과 전월세 거래비율 리포트-2025년1월 (0) | 2025.01.16 |
---|---|
울산광역시 남구 아파트 2024년 거래현황-울산 최대인구 "남구" (0) | 2025.01.10 |
대전시 유성구 아파트 매매 거래량과 동별 평균가격-2024년 (0) | 2025.01.09 |
대전시 아파트 전세와 전세 가격, 매매 평균 가격과 관련성. (0) | 2025.01.09 |
인구와주택-대구시 중구 연간 인구증가율 1위 지역의 부동산 거래량 (0)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