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나라지표 "국세수입실적"을 기준으로 1990년부터 2023년까지의 국세 수입실적과 3개의 주요 국세(부가세, 소득세, 법인세)의 변화와 전년 대비 증감을 비교 및 확인한다. 정부의 세수에는 "국세수입 + 세외수입"이 있지만, 세세한 사항을 알 수 없으므로 통계상 명확한 "국세수입"의 변동에 집중한다.
* 2023년에 세수결손은 51.8조원이었고, 2024년 세수결손 예상액은 29조 원이다.
- 2023년에 외평기금 축소로 정부로 산입한 금액은 최소 20조 원 이상이었고 40조 원을 말하는 단체도 있다.
- 2024년에 외평기금 7조원 + 국민주택기금에서 4조 원 등을 예상하는 것으로 보인다. ( 외평기금은 역대 정부들이 적립한 것 )
- 다만, 국민주택기금에 대해서 정부가 지들 마음데로 가져다 쓰는 게 합법적인지는 계속 주시해야 한다.
( 우리가 청약저축 가입한 돈이라는 말이다. 그걸 왜 가져다 국세 적자를 메꾸는 데 사용하는 것인지 아직도 이해 안 된다. )
1. 대한민국의 국세 세입 연도별 추세
[1] 1990년 이후 국세 수입은 몇번의 부침은 있었으나 큰 감소는 없었다.
[2] 역대급 국세수입 감소는 2023년에 51.9조 원 적자 발생. ( 외평기금서 20조원 사용 - 참고 : 연합인포맥스 기사 )
- 기금을 사용한다는 의미는 역대 정부에서 적립해 둔, 돈을 정부가 적자를 메우기 위해서 사용했다는 의미다.
- 이로 인하여 기금은 축소된다. ( 운영 기금 규모를 줄여서 다시 정부로 돈이 들어오게 만드는 메커니즘이다. )
[3] 가장 최근의 국세 적자는 2023년 344.1조 원이며, 이는 2021년 수준의 국세 수입액이다.
2. 대한민국의 국세 수입 전년대비 증감률
[1] 국세는 199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 증감률 - 퍼센트 )
[2] 몇 차례의 국가적 위기 상황이 닥치면 그에 따른 경제 문제로 인한 국세 수입의 감소 ( 세금인하, 면제, 이연 등 )
- 이러한 국가적 위기는 1998년 IMF동아시아 외환위기, 2008년 서브프라임 사태, 2020년 코로나팬데믹, 그리고 이유를 알 수 없는 2023년의 국세 감소다. ( 물론 이유는 있다. 정부가 의도한 적자일 수 있다. - 법인세의 과도한 인하조치 및 수출환경 악화로 인한 매출감소, 이익감소에 따른 법인세 감소도 있다. )
[3] 하지만, 법인세수의 감소 규모가 1990년 이후 정말 최악인 해는 2023년이다.
3. 대한민국의 국세 수입 전년 대비 증감액
[1] 국세는 199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왔다. ( 증감액이다. - 단위는 조원 )
[2] 가장 최근의 국세 감소는 2020년 코로나 사태 때 -8조 원이었다. 그리고 최악은 2023년 -51.8조 원이다.
4. 대한민국의 소득세, 법인세, 부가가치세
[1] 가장 눈여겨볼 부분은 개인소득세가 2015년 이후 국세수입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2] 개인소득세가 법인세보다 많이 걷히기 시작한 시점은 2012~2013년이었다.
[3] 개인소득세가 부가가치세보다 많이 걷히기 시작한 시점은 2015~2016년이었다.
[4] 매우 아이러니한 상황은 극도로 저출산이 시작된 해가 바로 이 시점이라는 것이다.
- 대부분의 우리나라 인구통계에서 가장 큰 변곡점으로 보이는 시점이 바로 2015년이었다.
- 본격적인 출산율 급락이 나타난 시점이 바로 2015년이다.
( 참고자료 : 대학진학률 증가와 출산율-연도별 비교 - 이 자료에서 2015년 이후 출산율의 급락을 볼 수 있다. )
<참고자료> e-나라지표 국세수입현황 자료
* 일반회계에는 소득세, 법인세, 부가세가 주요하고, 이외 세입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 통계자료상에서 소득세+법인세+부가세의 합이 "일반회계"값이 되어야 하지만, 결과값이 다르다.
- 통계상에 잡히지 않는 다른 세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세외수입일 수 있다. 아닐 수도 있다. )
연도 | 총 국세 | 일반회계 | 특별회계 |
1990년 | 26.8 | 26.8 | - |
1991년 | 30.3 | 28.2 | 2.1 |
1992년 | 35.2 | 32.2 | 3 |
1993년 | 39.3 | 35.9 | 3.4 |
1994년 | 47.3 | 42.7 | 4.6 |
1995년 | 56.8 | 50.4 | 6.3 |
1996년 | 65 | 57.1 | 7.9 |
1997년 | 69.9 | 60.9 | 9 |
1998년 | 67.8 | 58.8 | 9 |
1999년 | 75.7 | 65.1 | 10.6 |
2000년 | 92.9 | 82 | 11 |
2001년 | 95.8 | 86.4 | 9.4 |
2002년 | 104 | 94.3 | 9.7 |
2003년 | 114.7 | 104.9 | 9.7 |
2004년 | 117.8 | 108.2 | 9.6 |
2005년 | 127.5 | 122.4 | 5.1 |
2006년 | 138 | 132.7 | 5.4 |
2007년 | 161.5 | 155.4 | 6.1 |
2008년 | 167.3 | 160.7 | 6.6 |
2009년 | 164.5 | 157.9 | 6.6 |
2010년 | 177.7 | 170.9 | 6.8 |
2011년 | 192.4 | 185 | 7.4 |
2012년 | 203 | 196.2 | 6.9 |
2013년 | 201.9 | 195.4 | 6.5 |
2014년 | 205.5 | 199.3 | 6.2 |
2015년 | 217.9 | 210.8 | 7.1 |
2016년 | 242.6 | 235.7 | 6.8 |
2017년 | 265.4 | 258.5 | 6.9 |
2018년 | 293.6 | 285.9 | 7.7 |
2019년 | 293.5 | 286 | 7.4 |
2020년 | 285.5 | 276.3 | 9.3 |
2021년 | 344.1 | 332.5 | 11.6 |
2022년 | 395.9 | 385.2 | 10.8 |
2023년 | 344.1 | 333.9 | 10.1 |
'경제정보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청약저축은 얼마나 가입했을까? 주택도시기금은 잘 운영되고 있나? (6) | 2024.11.01 |
---|---|
주택분양보증과 주택도시기금의 증가, 주택가격 버블과 PF폭탄 퍼펙트스톰 (2) | 2024.11.01 |
서울 남부지방법원-서울에서 부동산 경매가 가장 많은 곳(영등포외 4개구) (5) | 2024.10.22 |
전국적으로 급증하는 부동산 경매-2024년 한국경제 안전한가? 경매 11만건 예상 (8) | 2024.10.21 |
서울중앙지법-강남과 서초 부동산 경매 건수 최고치 경신 (0) | 2024.10.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