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정보와정책

GDP대비 가계부채와 기업부채 비율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3. 11. 19. 22:31
반응형

https://apt-micro.tistory.com/entry/GDP%EB%8C%80%EB%B9%84-%EA%B0%80%EA%B3%84%EB%B6%80%EC%B1%84%EA%B8%B0%EC%97%85%EB%B6%80%EC%B1%84-%EA%B0%80%EA%B3%84%EB%B6%80%EC%B1%84-2270%EC%A1%B0%EC%9B%90-%EA%B8%B0%EC%97%85%EB%B6%80%EC%B1%84-2772%EC%A1%B0%EC%9B%90

 

GDP대비 가계부채,기업부채-가계부채 2270조원, 기업부채 2772조원

통계청의 GDP대비 가계부채비율은 80% 중반이다. 한국은행 총재가 말하는 GDP대비 가계부채비율은 101.5%다. 누구의 말이 맞는지 보다는 그래서 총액이 얼마인지가 궁금했고, 추정값을 기준으로 글

apt-micro.tistory.com

 

가계부채와 기업부채의 증가가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장기 시계열 자료와 GDP대비 가계부채비율, GDP대비 기업부채로 함께 살펴본다.

 

 

1. GDP대비 가계부채와 기업부채

2023년 1분기 까지는 한국은행의 GDP대비 가계부채비율, GDP대비 기업부채.

2023년 2분기 이후는 국제금융협회(IIF)의 2023년 2분기, 2023년 3분기 비율을 대입한 그래프

 

 

2. 외환위기 이전과 이후의 부채비율

외환위기 시기의 이 엄청난 가계의 안정성을 보라. 

그 시기를 안전하게 넘길 수 있었던 원천적인 힘은 국가가 아니라, 건실한 가계였다.

부채를 진 사람들의 자산을 이 시기 가계가 받아줄 수 있었기 때문에 시스템 리스크가 크게 터지는 것의 완충역할이 되었다는 의미가 된다. 이 부분이 지금(2023년)과 다른 부분이다.

 

 

3. 세계금융위기 이전과 이후의 부채비율

외생위기다. 미국발 위기로 원자재 수입사들과 그 원자재를 비싸게 구입하여 생산해야 할 기업들이 외화수급 문제로 어려움을 겪었다. 동시에 우리나라의 환율방어를 위해서 금리를 올리는 시기였다. 외생 위기였기 때문에 우리나라에서는 환율관련한 컨트롤이 중요했고, 그나마 선방하며 넘어갈 수 있었던 시기다. 2008년을 넘어서 2009년도의 기업부채는 GDP대비 100에 근접했으나, 세계 금융위기로 교역량 감소로 성장율이 하락했기에 부채비율이 상승한 것으로 봐야 한다. 

 

 

4. 코로나 펜데믹 이전부터 이후의 부채비율

외환위기 시기의 기업의 GDP대비 부채비율은 이미 예전에 돌파했다.

이제 외환위기 시절의 기업부채 수준의 가계부채비율을 보게되었다. 다행히 GDP가 증가하며, GDP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감소하는 모습을 보인다. 

 

GDP가 성장하며 가계부채비율이 낮아진 것일 뿐, 가계부채가 감소한건 아니다. 그렇다. 계속해서 성장을 멈추면 안된다는 얘기가 된다. 그리고 GDP성장에 기여해야 할 기업은 부채비율이 증가했다.

 

자세한 정보는 통계상에서 보기 힘들지만, 부채를 이용해서 일단 투자(기업이 사용하는 돈은 다 투자다)를 벌리고 재고를 쌓아놓던지 했다는 얘기일 수 있다. 임금도 지급해야 하고 말이다.

 

코로나 시절에 공격적 투자를 통해서 신성장 동력을 마련한게 아니라면, 살기 위해서 대출을 늘렸을 기업들이다. 아니면 부동산 투자에 동참한 기업일 가능성도 있다. IMF이전의 과잉설비 투자처럼 그나마 후일 그 투자들이 성장의 원동력이 될 투자라면 다행이겠다. 그렇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5. 가계신용 잔액과 분기별 증감율

가계의 가장 큰 착각과 경제 전문가란 사람의 가장 큰 착각은 보통 그렇다. 

 

세타리스 파리부스.

가계에서 최소한 1인 이상의 직장은 문제없이 잘 급여를 벌어오고, 해당 기업은 건실하며, 가계가 부채를 지고 구입한 자산은 떨어지지 않는한, 가계부채의 본질적인 문제는 취약차주와 자영업 부채에 국한한 문제일 뿐이다. 라는 개념이다.

한국은행 - 가계신용잔액, 증감율

 

주기적으로 가계신용이 추세적으로 증가했지만, 2019년 4분기부터 시작된 가계신용의 증가 기간은 상당히 짧다. 가계부채 증가의 기간이 가장 길었던 시기는 경기 호황과 세계적인 주택가격이 동시에 진행되던 시기로 굉장히 장기간에 걸쳐서 일어났다. 그러한 가계신용 증가 기간은 횟수가 진행될수록 증가량은 비슷했으나, 그 지속 기간이 점차 짧아짐을 알 수 있다. 

 

임계점이 아닐지 걱정되는 부분이다. 거기에 더하여 기업의 부채가 문제로 표면화된다면, 가계는 지금까지 일으킨 부채를 상환할 방법을 잃게 된다. 자산을 팔고 싶어도 팔지 못하는 시기가 된다. 이 부분이 바로 청와대가 그 폭발력이 IMF의 몇십배라는 의미가 된다. 자산을 털어서 부채를 상환할 수 없게되면 바로 시스템리스크가 된다. IMF때의 가계는 굉장히 건전한 상황에서 버텨내고, 금을 팔아서 국가부채를 상환하려 했지만, 지금 터지면 그럴 여유는 없다. 

 

아직도 가계부채는 일부의 국소적인 문제라는 전문가들에게 경고를 보내고 싶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