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경제정보와정책/경제관련 정보 63

서울시 전지역 아파트 전세보증금 문제점

결론적으로 서울의 역전세는 우려할 상황이 아니라면 이상한 상황이다. 겨우 2년간의 총액비교에서 22조 원 상승했고, 아파트의 절대량이 경기도에 비해서 적고, 경기도는 2년간의 비교에서 36조 원이 상승했기에, 서울 경기지역에서의 "아파트"만, 전세 대환금액이 합쳐서 증가 금액만 2년간 58조 원이다. 전세가가 상승하지 않는 한 집주인들 스스로가 마련하기엔 역부족인 상황이 맞는 것 같다. 21년 말의 전세가라면 말이다. 하지만 전세가 상승은 갭투기, 영끌과 함께 이미 2020년 중반부터 시작되어 올해 첫 파고가 7월부터 시작되었고, 그 파고는 2025년 3월까지 갈 것 같다. 이 기간 동안 가계부채는 무조건 2000조를 돌파하게 된다. 전세보증금 반환대출로만이 아니라, 기존 주담대와 시너지를 일으키게 될 ..

경기도 전지역 APT 전세보증금 문제점

1. 경기도 전체 아파트의 전세보증금 총액과 문제점 1) 문제 인식 추경호 기재부 장관이 뜬금없이 집주인에 대하여 DSR을 우회한 대출을 검토하고 있다고 발표했었다. 어째서 전세보증금의 반환을 위해서 대출규제인 DSR을 우회하며, DTI규제를 이용하면서 집주인들에게 대출을 해주겠다고 이리 서두르는 것일까? 집주인이 돌려줄 보증금의 규모가 도대체 어느 정도길래 추가 대출이 필요한 것인가? DSR규제를 넘어선 DTI규제까지 해줘야 할 정도로 절박한가? 라는 의구심이었다. 아니 근본적으로 전세보증금을 돌려주기 위해서(?) 집주인들이 대출을 받아야 한다는 형용모순적인 상황의 인식이 우선이었다. 대출자가 마치 은행에서 대출받아서 만기에 상환하려 하는데, 상환할 돈이 부족해서 은행에서 다시 돈을 빌려서 갚겠다는 것..

중소벤처기업부-중소기업 장기근속자 주택우선공급 정책

1. 중소기업 장기근속자를 사업주체에 추천해 주는 제도 - 중소기업에 장기근속한 근로자 및 중소기업에 근무하는 근로자의 주택마련을 위한 중기청의 정책 - 본인이 근무하는 곳과 주택특별공급지가 가깝다면 손해볼 일 없는 특별공급에 지원해 보시길 바랍니다. - 중소기업에 장기 근속하신 근로자라면 좋은 조건일 수 있습니다. ( 지역, 근무지 가깝다면 더욱 좋죠. ) - 지금까지 다닌 중소기업의 근무 햇수가 합산 5년이면 됩니다. - 혹은 현재 직장이 중소기업이고 근무한지 3년이 넘었다면 가능합니다. - 중소기업에 장기근속자한 분에게 유리하지만, 본 정책자체가 중기 장기근속자를 우대하기 위한 것 같음. 1) 지원 대상자 (1) 중소기업 근로자 ( 중소기업에 5년 이상근무, 중소기업 한곳에서 3년 이상 근무 경력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