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서울시 강남구 연령대별 인구와 인구피라미드 비교 ( 2025년 1월과 전년동월 )
- 강남구는 전년동월인 2024년 1월 대비 인구수가 7,961명 증가했다.
- 정체적인 연령에서 감소보다 증가가 더 많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추정컨데, 45세 주변 연령대의 남녀 부부가 중학생~고등학생까지 자녀와 함께 살고 있을 것이다. ( 이사 왔을 수 있다. )
- 비교적 저연령의 초기 유소년 아이들을 키우고 있는 40세 주변 연령대는 강남구를 떠났다.
- 45세, 57세, 72세의 연령대 인구집단이 강남구에 특히 많이 거주한다.
- 이들 연령대의 사람들은 내년 2026년이 되면 46세, 58세, 73세가 될 것이다. ( 그냥 계속 강남거주하는 것이다. )
- 본 비교는 강남구의 2025년 1월과 2024년 1월의 연령대별 인구수를 비교하는 것으로 해당 연령대가 그 이전보다 많아졌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다. ( 그러므로 위에서 언급한 3개의 연령대 인구수는 사망등의 사유가 없다면 계속 해마다 갱신될 것이다. )
1) 2025년 1월 강남구의 인구피라미드 비교
- 2025년 1월 강남구 주민등록인구수 : 557,115명 ( 전년동월 : 549,154명 대비 7,961명 증가 )
- 하지만 전 연령에서 인구가 증가한 것은 아니다.
- 아래의 인구피라미드는 1년 차의 인구피라미드로 몇몇 부분에서 전년도 대비 피라미드의 세부 연령대에서 뭉툭해진 모습이나, 뾰족하게 튀어나오는 모습이 있다.
2025년 1월 | 2024년 1월 |
![]() |
![]() |
2) 2025년 1월 강남구의 연령대별 증가와 감소
- 강남구에서 인구수 증가 비중이 큰 구간 : 12~14세, 17세, 30~36세, 45세, 53~57세, 72세 이상 (73~74세 제외)
- 강남구에서 인구수 감소 비중이 큰 구간 : 2세~11세, 22~23세, 39~42세, 58~59세, 73~74세
- 10대 이하 자녀를 양육하는 사람들은 강남구를 떠났다. ( 추정컨데 39세~42세 일 것으로 보인다. )
- 비교적 젊은 취업 청년층인 22세~23세 인구는 강남구를 떠났다.
- 초등고학년~중학생 자녀를 둔 가구는 강남구로 순유입되었다. ( 이들의 부모세대는 30~45세 사이일 것이다. )
- 45세, 53세~57세 인구가 전년동월대비 증가한 것과 인구수는 압도적이다. ( 강남구 핵심경제 집단으로 추정된다. )

반응형
3) 2025년 1월 강남구의 여성 연령대별 증가와 감소
- 강남구에서 여성 연령대에서 가장 큰 인구수 증가는 45세, 57세, 72세의 인구가 전년동월대비 증가했다.
- 강남구에서 여성 연령대에서 가장 큰 인구수 감소는 23세, 40세, 58세의 인구가 전년동월대비 감소했다.
- 40세 연령 부근의 여성들은 자녀를 양육하고 있었을 것이고, 그들이 떠나며 유소년층의 아이들도 같이 이사 갔을 것이다.

4) 2025년 1월 강남구의 남성 연령대별 증가와 감소
- 강남구에서 남성 연령대에서 가장 큰 인구수 증가는 17세, 45세, 72세의 인구가 전년동월대비 증가했다.
- 강남구에서 남성 연령대에서 가장 큰 인구수 감소는 23세, 40세, 51세의 인구가 전년동월대비 감소했다.
- 남성인구수의 증감은 여성인구의 증감수보다 폭이 적다.

반응형
'서울시아파트와주택분석 > 서울시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 아파트 거래량 전년 수준은 불가능하다-주택별 매매 현황 (0) | 2025.02.14 |
---|---|
서울시 세대수 감소로 지역 내 주택 수요 감소할 지역들 (0) | 2025.02.10 |
서울시 구 총인구와 생산연령, 고령인구 비율-2025년1월 (0) | 2025.02.05 |
2025년 1월 서울시 아파트 거래량 전년대비 거래량 증감 (0) | 2025.01.26 |
강남구 수서동 까치마을 전용49㎡ 매매 가격은 상승 추세, 전세는 조정. (0) | 2025.0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