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아파트와주택분석/서울시 인구와 주택

서울시 구 총인구와 생산연령, 고령인구 비율-2025년1월

부동산마이크로데이터 2025. 2. 5. 22:09
반응형

통계청 2025년 1월 말 주민등록인구수 기준 서울시의 강남구를 비롯한 25개 지역구의 총인구수와 생산연령비율, 고령인구비율을 살펴보고, 서울시의 고령화율이 상당히 심각해져 가고 있음을 확인한다. 

 

서울시의 2025년 1월 총 인구수는 9,330,658명(고령인구는 1,822,790명)으로 고령인구 비율은 19.54%

 

 

1. 2025년 1월 서울시 인구의 구별 현황과 3 분위 인구연령 비율

1) 서울시 구별 유소년 비율

  • 서울시에서 유소년(0세~14세) 비율이 높은 지역은 "서초구"로 12.1% ( 강남구 11.7%, 강동구 11.0% 순 )

서울시 구별 유소년 비율-2025.1

 

2) 서울시 구별 생산연령 비율

  • 서울시에서 생산연령(15세~64세) 비율이 높은 지역은 "관악구"로 76.1% ( 마포구 74.6%, 광진구 74.5% 순 )

서울시 구별 생산연령 비율-2025.1

 

3) 서울시 구별 고령인구 비율

  • 서울시에서 고령인구(65세 이상) 비율이 높은 지역은 "강북구"로 25.3% ( 도봉구 24.6%, 중랑구 22.1% 순 )

서울시 구별 고령인구 비율-2025.1

 

 

2. 2025년 1월 서울시 구별 인구현황

1) 서울시 구별 총 인구수 현황

  • 서울시에서 가장 인구수가 많은 구는 송파구 649,071명, 강남구 557,115명, 강서구 555,518명 순

서울시 구별 인구수-2025.1

 

반응형

2) 서울시 구별 / 연령분류별 상위 10% 이내 지역

1) 고령화 지역 ; 노도강 순 부양비율(고령+유소년)에서 도봉구가 32.2%로 가장 높다.

  • 소위 노도강으로 불리던 지역의 고령화율에서 노원구 20.6%, 도봉구 24.6%, 강북구 25.3%로 매우 높다.
  • 이들 지역에서 젊은 생산연령인구들이 빠져나가며 고령층이 남은 것으로 유추할 수 있는 이유는 유소년 비율이다. 
  • 노원구의 유소년은 9.2%, 도봉구는 7.6%, 강북구는 6.7%다. 
  • 이를 토대로 역산하면 생산연령이 가장 낮은 지역에서 고령자와 유소년을 키우는 게 얼마나 힘든 것인지가 보인다.

2) 유소년이 많은 지역은 상대적으로 부유한 지역인 강남구와 서초구, 강동구

  • 유소년 비율 상위 지역이다. 이 지역에 거주하는 모든 사람들이 다 부유하진 않을 것이나, 상대적으로 부유할 것으로 추정.
  • 이들 지역의 여유있는 경제상황이 유소년 비율을 끌어올리는 것이다.
  • 이로써 아이를 양육하는데 있어서 돈이 전부가 아니라는 헛소리는 잠시 접어둬도 괜찮다. 경제적 부유함이나 상대적으로 여유로운 이들은 아이를 낳고 양육한다. ( 다만 모두가 그런 건 아니다. )

3) 생산연령인구가 많은 관악구, 마포구, 광진구

  • 한참 일할 사람들이 많이 모여서 살고 있는 지역이다.
  • 이들 지역 역시 유소년 비율이 낮다. ( 관악구 5.4%, 마포구 8.8%, 광진구 7.5% ) 
  • 경제활동을 통해서 짧은 주 소득활동처에서 최대한 자산을 적립해야 한다. 그들에게 아이를 낳고 양육하는 건 쉽지 않은 선택.
생산연령비율 고령비율 유소년비율
강남구 71.8% 16.5% 11.7%
강동구 70.2% 18.8% 11.0%
강북구 68.0% 25.3% 6.7%
강서구 71.8% 19.4% 8.8%
관악구 76.1% 18.5% 5.4%
광진구 74.5% 18.0% 7.5%
구로구 69.8% 21.3% 8.9%
금천구 72.4% 21.0% 6.6%
노원구 70.2% 20.6% 9.2%
도봉구 67.8% 24.6% 7.6%
동대문구 71.3% 20.5% 8.2%
동작구 72.4% 19.5% 8.2%
마포구 74.6% 16.6% 8.8%
서대문구 71.3% 19.8% 8.9%
서초구 71.1% 16.9% 12.1%
성동구 72.4% 18.7% 8.8%
성북구 71.0% 19.9% 9.1%
송파구 71.6% 17.6% 10.8%
양천구 70.3% 18.7% 10.9%
영등포구 73.1% 18.4% 8.5%
용산구 72.8% 19.1% 8.0%
은평구 70.4% 21.3% 8.3%
종로구 71.4% 21.5% 7.1%
중구 71.3% 22.0% 6.7%
중랑구 70.3% 22.1% 7.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