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본 자료는 2025년 2월 14일 08:00 기준 국토부실거래가 자료를 기준으로 작성한 자료이며, 이 시점에서 계약해지건은 제외한 통계자료입니다. 본 통계는 국토부 실거래가 자료를 기준으로 아파트, 빌라(다세대/연립주택), 오피스텔, 단독(다가구)을 대상으로 하므로 시장의 흐름을 파악하는 참고용으로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서울시 전체 주거용 주택의 매매 거래량
1) 서울시 아파트 매매 거래량 (서울 주택거래량 1위 : 아파트)
- 서울시에서 거래된 아파트 매매 거래량의 14개월 현황입니다.
- 2025년 1월은 2월 말까지 집계되는 기간임을 감안하면 2024년 1월에 비하여 매매 거래량이 증가했다.
- 1월~3월 사이의 매매 거래량은 전년과 비슷하거나 소폭 감소한 거래량을 보일 것으로 예측했으나 1월은 전년보다 매매 거래량이 오히려 증가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다만 2024년 서울의 아파트 매매 거래량 정점인 6월~8월까지 거래량이 집중된 시기가 있기 때문에 2024년 수준의 거래량을 기록하긴 불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 스트레스 DSR 3~4단계를 또다시 2달 연장한다는 선 발표가 있지 않는한 말이다. )
2) 서울시 빌라(다세대/연립주택) 매매 거래량
- 서울시에서 거래된 빌라(다세대/연립)-이하 빌라- 거래량의 14개월 현황입니다.
- 전반적으로 2월 말까지 보더라도 전년인 2024년 1월 수준의 매매 거래량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아파트와 달리 빌라의 매매 거래량은 비교적 일정한 수준을 보이지만, 2025년 1월이 중요한 분기점이 될 것이다.
- 2024년 12월 수준보다 낮은 매매 거래량을 보인다면, 빌라의 매매 거래량은 2024년 10월 이후 4개월 연속 하락할 것이다.
3) 서울시 오피스텔 매매 거래량
- 서울시에서 거래된 오피스텔 거래량의 14개월 현황입니다.
- 오피스텔의 매매 거래량은 2024년 1월보다 증가한 모습이다.
- 최근 월세주거 트렌드가 맞물리며, 오피스텔을 이용한 월세 수익을 추구하는 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작년 성수기를 기준으로 3월까지 거래량이 증가하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 현재 추세대로라면 오피스텔의 매매 거래량은 작년 수준의 매매 거래량을 기록하는 것은 추세상 어렵지 않아 보인다.
- 다만, 월세 수익을 바란다면 오피스텔의 자산 매입시 대출 이자와 수익률을 꼼꼼히 챙겨야 하는 문제가 있다.
4) 서울시 단독(다가구) 매매 거래량
- 서울시에서 거래된 단독(다가구) 거래량의 14개월 현황입니다.
- 다가구는 통계의 의미가 크지 않다. 거래량도 적으며 금액대가 매우 높은 편이다. 금리, 대출조건이 아예 없지는 않지만 이를 통한 다가구 월세 등의 수익화로 사용될 수 있다.
- 다만 단독의 경우엔 강남 아파트 가격보다 높기 때문에 소시민들에겐 의미없는 숫자에 불과하다.
반응형
'서울시아파트와주택분석 > 서울시 인구와 주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형아파트 월세 거래량과 평균 월세금-서울,경기,인천 아파트 월세 (2) | 2025.02.18 |
---|---|
소형아파트 전세 거래량과 평균 보증금-서울,경기,인천 지역 전세 (0) | 2025.02.18 |
서울시 세대수 감소로 지역 내 주택 수요 감소할 지역들 (0) | 2025.02.10 |
강남구 연령별 인구 증가와 감소수-인구증가 연령과 감소 연령대 분석 (0) | 2025.02.08 |
서울시 구 총인구와 생산연령, 고령인구 비율-2025년1월 (0) | 2025.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