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 자료 : 인천시와 부산시 아파트 거래량과 연령대별 인구수 분석
인천시와 부산시 아파트와 비아파트 거래량 비교, 연령 별 인구 격차 보고서
인구수를 기준으로 부산시와 인천시를 비교한 적이 있었다. 그렇다면 과연 부산시와 인천시의 주거용 부동산 거래는 어떤 양상으로 나타났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어서 비교해 본다. 부산시와
apt-micro.tistory.com
인천시와 부산시 부동산 가격 비교에 대한 개인적 견해
부산시에 거주하며 계속 지내는 사람들은 일정 수준의 자산을 갖추고 있거나, 자산을 형성한 부모세대와 같이 거주하는 청년세대일 가능성이 높다. 그들의 주거는 부모와 거주하거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여 독립한다고 해도 주거비용에서 상대적으로 인천시보다 저렴하다. 반대로 인천시는 젊은 인구가 유입되고 새로운 거처로써 인천시에 유입된 인구들이다. 이들은 자산 형성이 안되어 있거나 형성된 부모의 도움을 받기도 할 테지만, 전반적으로 자산형성이 덜 되어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생각하는 근거는 바로 "월세"다. 인천시는 모든 주택유형에서 월세가 모두 부산시보다 비싸다. 월세는 통상 보증금과 연동되어 보증금이 높으면 월세가 하락하는 경향을 갖는데, 이 모든 주택유형에서 월세가 비싸다는 것은 보증금을 낮춘 상태에서 적정 수준의 월세를 지불할 자산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게다가 인천시의 경우 신도시 조성 지역에 대규모 임대아파트, 청년주택, 행복주택등을 공급하여 월 임대("월세")를 낮췄을 텐데, 부산시에 비하여 오히려 더 비싼 평균가격을 보였다.
임대인들 스스로 높은 이자를 물고 자산을 매입한 상태에서 수익성을 맞추기 위한 고육책일 수 있으나, 이는 젊은 세대들이 해당지역에서 경제적 자립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말 그대로 인천시의 가능성과 생활의 편리성으로 그들이 인천을 택했다고 생각한다면 그건 오산일 수 있다. 아무튼 직주근접할 산업생산시설, 무역, 자영업, 직장 등이 인천시에 비교적 많이 있으므로 인구의 유입이 지속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무엇보다 수도권 이라 불리는 지역이기 때문에 서울과의 접근성에서는 부산과 비교 불가인 것은 사실이다.
또 하나, 아파트와 빌라에서 전세 시세 평균가격이 인천시, 부산시 서로 비슷하다는 점이다. 실거주 가치는 비슷한 상황이라 생각된다. 부산시, 인천시에도 비슷한 일자리,문화, 여가시설이 있다. 실거주 가치는 매우 비슷하다는 점이다.
한 번에 우리나라 광역시 2곳을 모두 비교할 수 없으나 2024년 연간 평균 가격대를 기준으로 생각해 본 결과였다.
1. 부산시와 인천시 아파트 평균 거래가격 비교
- 부산시는 인구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지역이다. 인천시는 인구수가 증가하고 있는 지역이다.
- 부산시는 남해, 동해를 접하고 있고, 인천시는 서해를 접하고 있는 지역이다.
- 부산시와 인천시 아파트 전세 가격은 놀랍도록 비슷한 2억 3천5백만 원대( 연간 평균 ) /월세는 인천이 더 높다.
- 하지만, 매매 가격에서 부산시가 평균가격에서 5천만원 가량 더 비싼 가격에 거래되었다.
구분 | 매매 | 전세 | 월세 |
부산시 | 38,045 | 23,438 | 62 |
인천시 | 33,827 | 23,227 | 68 |
2. 부산시와 인천시 빌라(다세대/연립) 평균 거래가격 비교
- 부산시는 빌라의 매매 평균가격에서도 인천시보다 2천만원 가량 더 비싼 가격에 거래되었다.
- 하지만 전세 평균가격은 1천만원 가량 차이가 나고 있다.
- 다만, 인천시의 연평균 빌라 매매가격과 연평균 빌라 전세가격이 너무 가깝게 붙어 있어서 보증금에 대한 안정성은 인천시가 더 불안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 월세 거래에서 아파트에 이어서 빌라마저도 인천시가 월세가 더 비싸다.
구분 | 매매 | 전세 | 월세 |
부산시 | 13,029 | 10,309 | 35 |
인천시 | 10,862 | 9,359 | 44 |
3. 부산시와 인천시 오피스텔 평균 거래가격 비교
- 오피스텔 평균가격에서 인천시가 더 비싼 매매가격을 보이고 있다. ( 2천만 원가량 인천시가 더 비싸다. )
- 여전히 평균 월세는 인천시가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에서 부산시보다 더 비싼 평균가격을 보인다.
- 다만 오피스텔 전세의 경우엔 전세 시세가 1500만원 더 인천시가 비싸다. ( 인천시의 오피스텔이 더 새것일 수 있다. )
- 하지만, 여기서도 빌라와 마찬가지로 부산시, 인천시 모두 매매평균가격과 전세 평균가격이 붙어 있다.
구분 | 매매 | 전세 | 월세 |
부산시 | 14,022 | 13,174 | 43 |
인천시 | 15,976 | 14,627 | 54 |
4. 부산시와 인천시 다가구(단독) 평균 거래가격 비교
- 다가구(단독) 주택의 매매 가격에서는 부산시와 인천시의 가격이 큰 차이를 보인다. ( 9천만 원가량 인천시가 비쌈 )
- 전세에서도 인천시가 부산시보다 3천만원 가량 더 비싸다.
- 인천시 월세는 주택유형 전체에서 아파트, 빌라, 오피스텔, 다가구에서 모두 부산시보다 더 비싸다.
구분 | 매매 | 전세 | 월세 |
부산시 | 37,021 | 6,533 | 31 |
인천시 | 46,376 | 9,332 | 43 |
'경제정보와정책 > 경제관련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수출 15대 주력품목-반도체,자동차,차부품-2025년1월 비교 (0) | 2025.02.04 |
---|---|
부산과 인천의 GRDP역전과 연도별 인구 증감 비교 (0) | 2025.01.21 |
인천시와 부산시 아파트와 비아파트 거래량 비교, 연령 별 인구 격차 보고서 (0) | 2025.01.16 |
2025년 경제가 위험한 이유-경제심리지수 마음 읽어보기 (0) | 2025.01.14 |
국제유가(두바이유)와 주유소 경유 가격변화, 다시 시작되는 물가상승 고통 (0) | 2025.01.12 |